• Title/Summary/Keyword: 공기 예측

Search Result 64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y on the Performance Variation of Gas Turbine Air Compressor Integrated with Air Separation Unit in IGCC Power Plant (IGCC 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에 관한 연구)

  • Lee, Chan;Kim, Hyung-Taek;Yoon, Y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98-103
    • /
    • 1996
  • 석탄가스화복합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병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용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는 유선곡률방법과 압력손실모델을 결합한 해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예측결과들을 실제 압축기성능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예측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제안된 압축기성능 해석방법을 근간으로, 압축기와 공기분리장치의 연계조건인 열교환기의 핀치포인트 온도차, 추출공기량 및 추출 공기압력이 압축기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공기추출량이 늘어나거나 핀치포인트 온도차가 커질수록, 압축기의 압축비 및 소요동력은 증가하나, 압축기 효율은 공기추출량의 증가에 따라 고압공기추출시에는 저하되고, 저압공기추출시에는 향상되었다. 더 나아가, 압축기의 일반화된 성능특성곡선의 제시를 통해, 압축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압축기/공기분리장치 간 연계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 PDF

Prediction Equation of Solar Collector Outlet Air Temperature (태양열(太陽熱) 집열기(集熱器) 출구온도(出口温度) 예측방정식(豫測方程式))

  • Moon, Soung H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0 no.1
    • /
    • pp.48-53
    • /
    • 1985
  • 농산물 건조를 위하여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할 경우 가열된 출구공기는 각종 농산물건조적온보다 일반적으로 고온이므로 이의 조절을 위한 출구공기 온도의 예측이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차원해석법(dimensional analysis)을 이용하여 평판형 집열기의 출구에서 나오는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예측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집열기의 출구공기온도 예측방정식들이 유량별로 유도되었다. 이 방정식들로부터 구한 출구온도들은 실측한 값들과 잘 일치하였으며($R^2$=0.917~0.957) 또한 집열기의 효율을 나타내는 이론식이 출구공기온도 예측방정식으로 부터 직접 유도되었다.

  • PDF

Prediction of Final Construction Cost and Duration by Forecasting the Slopes of Cost and Time for Each Stage (공사 진행단계별 기울기 추정을 통한 최종 공사비 및 공기 예측)

  • Jin, Eui-Jae;Kwak, Soo-Nam;Kim, Du-Yon;Kim, Hyoung-Kwan;Han, Seu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137-142
    • /
    • 2006
  • Cost and duration is important factors which directly affect profit therefore must be forecasted correctly to accomplish success of projects. So construction company uses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to forecast final cost and duration. But previous forecasting model has low accuracy because of its linear forecasting method and can't reflect characteristic of company and project and changes as each progress. This paper presents cost and duration forecasting model using the slope prediction of cost and duration as each progress to reflect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EVMS data of 23 road construction projects was used to make up regression analysis equation of slope forecasting model.

  • PDF

An Application of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to Predict How a Rectangular Obstacle with Heat Flux Affects Air Flow in An Experimental Animal House (실험축사의 공기유동예측을 위한 k-$\varepsilon$ 난류모형 적용)

  • Choi, Hong-Lim;Kim, Hyeon-Tae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 no.1
    • /
    • pp.72-83
    • /
    • 1992
  • 우리 나라 축사는 생산효율 제고를 위하여 대형화, 밀폐화, 고밀도화, 자동화 경향이 뚜렷하다. 대형의 밀폐된 고밀도 축사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실내환경을 적절히 제어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한된 공간에 먼지, 병원성 미생물, 유해기체, 수분이나 열의 과도한 집적은 생산과 재생산효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축사내 생산주체인 가축과 작업인이 쾌적한 실내환경에서 생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열적, 화학적/생물학적 환경을 물리적으로 제어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연구는 실험축사내 가축이 일정한 열을 발생할 때 실내공기의 유동형태를 예측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실내환경제어를 위한 환기시스템 책략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실험축사내의 공기유동을 예측하기 위해 Body-Fitted Coordinate(BFC)의 격자배열과 k-$\varepsilon$ 난류모형 및 SIMPLE계열 solution scheme을 사용하였으며, 예측의 유효성 검정은 Boon(1978)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예측한 공기유동의 형태와 실험한 공기유동의 형태를 비교한 결과 대체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유입공기의 온도가 1$0^{\circ}C$인 경우의 공기유동은 실험유동형태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에서는 수평슬롯으로 유입 된 공기가 바로 아래로 굴절되어 유동하였으나, 예측의 결과는 일정 거리로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아래로 굴절하였다. 이런 유동의 차이는 k-$\varepsilon$ 난류모형 자체가 경험적으로 부력에 민감하게 반응않는 결함이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실험의 부적절한 수행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유동의 경우 Reynolds 수가 3,000정도의 난류이며, 완전발달유동 (fully-developed flow)이므로 관성력 (inertia force)이 부력 (buoyancy force)보다 커, 일정거리 수평으로 유동하다가 아래로 굴절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를 규명하기 위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The Prediction of Air Flow and Pressure Loss at Inlet Duct (입구덕트 공기유량 및 압력손실 예측방법)

  • Lee, Bo-Hwa;Lee, Kyung-Jae;Yang, S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4 no.1
    • /
    • pp.48-5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ddress the methodology of the air flow measurement using duct mach number that was considered area-weighed average obtained by total, static pressure and temperature measured at engine inlet duct. Without installing boundary rake, the prediction of air flow measurement was discussed. Actual air flow measurement and pressure value using pressure loss through inlet seal were describ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operability of altitude engine test facility.

The Air Flow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Pressure Loss at Engine Inlet Duct (엔진 입구 덕트에서 공기유량 측정 및 압력손실 예측방법)

  • Lee, Bo-Hwa;Yang, In-Young;Yang, Soo-Seo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2
    • /
    • pp.29-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ddress the methodology of the air flow measurement using duct mach number that was considered area-weighed average obtained by total pressure and temperature measured at engine inlet duct. Without installing boundary rake, the prediction of air flow measurement was discussed. Actual air flow measurement and pressure value using pressure loss through inlet seal were describ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operability of altitude engine test facility.

  • PDF

The Effect of Thermal Buoyancy on Air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Slot-Ventilated Livestock Building (환기중(換氣中)인 축사(畜舍)의 열부력(熱浮力)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 Choi, H.L.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8 no.2
    • /
    • pp.144-157
    • /
    • 1993
  • 환기중인 실험축사내에서 가축의 현열과 환기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열부력(熱浮力)(thermal buoyancy)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EACH 컴퓨터프로그램($k-{\varepsilon}$ 난류모형 및 SIMPLE계열 Algorithm)을 Curvilinear Coordinates에 맞게 변형하였다. 계산한 축사내 공기유통 및 온도분포의 유의성(有意性) 검증은 Boon(1978)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열부력의 크기에 따른 유동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유입공기의 온도를 $17^{\circ}C$$10^{\circ}C$ 두 수준으로 입력하였으며, 가축의 현열플릭스(flux)는 실내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유압공기의 온도가 $17^{\circ}C$일 때는 130W/$m^2$, $10^{\circ}C$일 때는 170W/$m^2$을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다. 예측한 공기유동의 형태는 실험값(Boon, 1978)과 비교하여 대체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유입공기의 온도가 $10^{\circ}C$인 경우, 예측 공기유동은 실험 유동형태와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에서는 수평슬롯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로 아래로 굴절되어 유동(流動)하였으나, 계산의 결과는 일정 거리로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아래로 굴절하였다. 이런 유동의 차이는 경험적으로 열부력(熱浮力)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k-${\varepsilon}$ 난류(亂流)모형의 적용이 원인이 되거나 실험의 부적절한 수행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유동(流動)의 Reynolds 수(數) (Re)는 약 3,300, 수정Ar수(修正Ar數)(Corrected Archimedes Number : $Ar_c$)64로써, $Ar_c$ <30 이거나 $Ar_c$ >75이면 유입공기의 제트는 수평유동한다는 Randall & Battams(1979)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다. 그러나 공기제트의 굴절은 유동의 특성이 같다하더라도 유체의 성질, 축사의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실제 실험을 통한 재검정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9와 Fig. 10의 기하학적 형태의 지점별 예측온도와 측정온도(Boon, 1978)와의 편차는 대부분의 지점에서는 $1^{\circ}C$ 미만으로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최대의 온도차는 Fig. 10의 지점 13에서 $1.7^{\circ}C$이었다.

  • PDF

Indoor Air Condition Measurement and Regression Analysis System Through Sensor Measurement Device and Gated Recurrent Unit (센서 측정기와 회로형 순환 유닛(GRU)을 이용한 실내 공기 품질 측정 및 추세 예측 시스템)

  • Ahn, Jaehyun;Shin, Dongil;Kim, Kyuho;Yang, Jiho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6 no.9
    • /
    • pp.457-464
    • /
    • 2017
  • Indoor air quality analysis is conducted to understand abnormal atmospheric phenomena and the external factor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By recording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s periodically, we are able to observe patterns in air quality. However, it difficult to predict the number of potential parameters, set parameters for a given observation and find the coefficients. Moreover, the results are time-dependent. Thus to address these issues, we introduce a microchip capable of periodically recording indoor air quality and a model that estimates atmospheric changes based on time series data.

NUMERICAL STUDY OF AIR POLLUTION RATE DEPENDING ON TYPES OF VENTILATION SYSTEM IN UNDERGROUND PARKING LOT (환기방식에 따른 지하주차장 공기오염도의 수치연구)

  • Lim, Soo-Jung;Jang, Choon-Man;Rhee, Gwang-Hoo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4a
    • /
    • pp.208-214
    • /
    • 2009
  • 지하 복수층 주차장은 도시의 밀집화 및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토지부족 및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인체유해 배출가스의 집중으로 환기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시공이 완료 된 후에나 오염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CFD 시뮬레이션으로 시공이전의 지하 복수층 주차장의 공기오염도를 예측했다. CFD 시뮬레이션은 예산과 시간을 절감한 공기오염도 예측이 가능하다. 실제의 당산근린공원의 지하주차장을 대상으로 오염도를 예측했다. 급기에만 강제유동을 일으키는 2종과 배기에만 강제유동을 일으키는 3종 기계환기법, 그리고 급배기에 강제유동을 일으키는 1종기계환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공기오염도를 계산했다. 지하1층과 지하2층의 입구 및 출구유속을 10, 15m/s로 하여 실내평균연령과 실내평균환기효율을 살펴보았다. 계산결과는 급기와 배기에 강제유동을 동시에 일으키는 1종 기계환기법의 값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