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오염

Search Result 88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concentration of asbestos in buildings (건물의 실내공기 중 석면 분포 특성)

  • 김윤신;이철민;박원석;문정숙;엽무종;이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427-428
    • /
    • 2003
  • 현대인의 경우 대부분이 하루 중 80% 이상의 시간을 어떤 형태의 가정, 사무실, 공공건물, 학교, 병원, 지하시설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의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 병약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실정에 있어 실내공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실내환경에는 대기환경과는 달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매우 다양한 오염물질들은 복합적인 배출원에서 기인되며 그 배출량은 물질에 따라 상당히 편차가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 농도분포 역시 시간적, 공간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실내공기의 상태는 일차적으로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차적으로는 담배연기, 스토브, 오븐, 시멘트, 건축자재, 페인트 및 벽면의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실내오염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오염상태가 심해진다. (중략)

  • PDF

유류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Phytoremediation 이용에 관한 연구

  • 심지현;이준규;장윤영;심상규;황경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46-150
    • /
    • 1998
  • 현재 세계적인 토양환경복원의 추세는 단기간의 높은 처리효율을 기대하는 장치위주의 복원기술적용에서 좀 더 처리시간은 걸리나 저비용의 효율적인 처리기술선택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무리한 투자에서 발생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취해지고 있는 변화로 식물을 이용한 환경복원기술(phytoremediation)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잘 부응하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미래 복원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hytoremediation을 이용하여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상오염물에 대한 정화능을 나타내는 식물을 선별하기 위해 알팔파, 옥수수, 피, 물피의 오염농도별 생장 률을 살핀 결과 알팔파가 오염농도에 따른 성장저해를 가장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알팔파의 발아 test를 거친 후 실제상황을 모사하기 위한 column test를 실시하여 디젤의 제거효율을 살펴보았다. 1)외부로부터 pipe line을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를 보충한 처리구와 2)알팔파를 심은 처리구, 3)알팔파와 공기를 넣어준 처리구를 설계하여 디젤의 제거과정을 알아본 결과 제거효과가 가장 높은 처리구는 공기와 알팔파를 함께 넣어준 처리구였다. 이를 통해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산소가 미생물활동에 커다란 제한요인이라는 것과 공정에 공기주입구를 장착함으로써 식물만으로 처리할 때 대두되는 시간적 제약의 문제를 다소 경감시킬 수 있음이 밝혀져 앞으로 이의 활용가능성이 주목된다.

  • PDF

A Numerical Prediction of Contamination Behavior in a Room under the Turbulent Flow and Pressure-Based Boundary Conditions (난류유동 압력경계조건을 가진 실내공간에서의 오염물질 거동에 관한 수치적 예측)

  • 이재헌;노홍구;김광영;오명도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5
    • /
    • pp.1272-1281
    • /
    • 1990
  • A numerical study to predict the contamination behavior in a room being contaminated has been performed. The room with one inlet and three exits, which maintained same pressure at the ceiling, has been chosen as test model. Six sets of calculation have been performed, for one, two or three contamination sources of 1*10$^{-4}$ kg$_{c}$/s strength at two different velocities(0.2m/s, 20m/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near the first source increased by every 20%-30% of the maximum concentration for each increase of the contamination source.e.

Control of Membrane Fouling in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MBR) using Air Scouring (침지형 생물 반응기 공정에서 플럭스 향상을 위한 공기 세척 효과에 관한 연구)

  • Shin, Dong-Hwan;Baek, Byung-Do;Chang, In-S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9
    • /
    • pp.948-954
    • /
    • 2008
  • Membrane bioreactor(MBR) processe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wastewater treatment for last decades due to its excellent capability of solid-liquid separation. However, membrane fouling was considered as a limiting factor in wide application of the MBR process. Excess aeration into membrane surface is a common way to control membrane fouling in most MBR. However, the excessively supplied air is easily dissipated in the reactor, which results in consuming energy and thus, it should be modified for effective control of membrane fouling. In this study, cylindrical tube was introduced to MBR in order to use the supplied air effectively. Membrane fibers were immersed into the cylindrical tube. This makes the supplied air non-dissipated in the reactor so that membrane fouling could be controlled economically. Two different air supplying method was employed and compared each other; nozzle and porous diffuser which were located just beneath the membrane module. Transmembrane pressure(TMP) was monitored as a function of airflow rate, flux, and ratio of the tube area and cross-sectioned area of membrane fibers(A$_m$/A$_t$). Flow rate of air and liquid was regulated to obtain slug flow in the cylindrical tube. With the same flow of air supply, nozzle was more effective for controlling membrane fouling than porous diffuser. Accumulation of sludge was observed in the tube with the nozzle, if the air was not suppled sufficiently. Reduction of membrane fouling was dependent upon the ratio, A$_m$/A$_t$. For diffuser, membrane fouling was minimized when A$_m$/A$_t$ was 0.27, but 0.55 for nozz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