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극크기

Search Result 31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valuation of Pore Size Distribution of Berea Sandstone using X-ray Computed Tomography (X-ray CT를 이용한 베레아 사암의 공극크기분포 산정)

  • Kim, Kwang Yeom;Kim, Kyeongmi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4 no.3
    • /
    • pp.353-362
    • /
    • 2014
  • Pore structures in porous rock play an important role in hydraulic & mechanical behaviour of rock. Porosity, size distribution and orientation of pore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pore structures of porous rock. While effective porosity can be measured easily by conventional experiment, pore size distribution is hard to be quantified due to the lack of corresponding experiment. We assessed pore size distribution of Berea sandstone using X-ray CT image based analysis combined with associated images processing, i.e., image filtering, binarization and skeletonization subsequently followed by the assessment of local thickness and star chord lengt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nd effective way to evaluate pore structures of porous rock using X-ray CT based analysis for pore size distribution.

Estimating Hydraulic Properties of Soil from Constriction-pore Size Distribution (수축공극크기분포를 이용한 지반의 수리학적 물성치 산정)

  • Shin, Hos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3
    • /
    • pp.27-34
    • /
    • 2022
  • Since water flow in the ground depends on the pore structure composed of soil grains, equations to predict the hydraulic properties based on the grain size have low accuracy.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to compute constriction-pore size distribution by Silveria's method and estimate saturated and unsaturated hydraulic properties of soils. Well-graded soil shows a uni-modal pore size distribution, and poor-graded soil does a bimodal distribution. Among theoretical models for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using pore size distribution, Marshall model is well-matched with experimental results. Model formulas for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s and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using the pore size distribution are proposed for hydraulic analysis of unsaturated soil.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select a model suitable to estimate hydraulic properties by applying the developed model formulas to various soils.

좁쌀약주의 여과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

  • 강영주;고정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76.1-176
    • /
    • 2003
  • 제주지역 양조산업의 산업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제주지역의 대표적인 전통 좁쌀 약주 제품에 대하여 유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 형성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과 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종 공극 크기의 유리 막 여과지와 중공사막 카트리지 여과 연구 결과, 이 좁쌀 약주 제품에서 대부분이 침전 형성 가능한 입자들은 1.2$\mu\textrm{m}$여과 매질 공극 크기에 의한 여과에 의하여 제거 되여 보통의 소비에 문제가 되는 침전은 잘 않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제품 제조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l$\mu\textrm{m}$ 공극 크기 원통형 정밀 여과기인 경우 이론적으로는 합당하나 여과 매질에 대한 산업 인 공극 크기에 대한 오차 한계인 $\pm$20-30% 때문에 일부제품에서 침전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4$^{\circ}C$와 실온을 48시간씩 반복하면서 3개월간 저장 중 유리 막 여과지인 경우는 0.7$\mu\textrm{m}$ 공극크기의 여과에서도 세밀한 관찰에 의하여 침전형성이 관찰되었으나 중공사막인 경우에는 0.45$\mu\textrm{m}$에서도 전연 침전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완벽한 침전 형성 방지를 위해서는 최종 여과공정에 중공사막 여과 시스템 도입이 효과적이며, 설계 기준은 0.45$\mu\textrm{m}$ 공극과 내경 1mm정도의 중공사막을 유효 여과 면적 1$m^2$정도를 가지도록 하는 중공사막 여과 시스템인 경우 여과 능력은 약400ι/hr로 계산되었다.

  • PDF

Some Measurements of Pore Space for Bulking Agents Used in Static Pile Composting (정치식 콤포스트화에서 첨가물의 공극율측정에 관한 연구)

  • ;Matsuda, Juzo;Ikeuchi, Yoshinori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26 no.3
    • /
    • pp.100-107
    • /
    • 1984
  • 농축산 배설물을 호기성 환기처리하여 토양에 환원이용을 목적으로 컴포스트(Compost)화 할 때에 공극률(Pore space)에 미치는 물리적인 자 성설의 상화관계를 공명하고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가지 수준의 압축력에 따른 첨가 재료의 공극률 변화 과정 측정하고 이와 동시에 서로 다른 5종류의 재료별 입자 크기에 대하여 영수률, 용적 중량, 용적 밀도 및 입자 대소가 공극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세립자 재료의 용적 밀도는 세립자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다. 2. 염수률과 용적 중량이 증가하면 용적밀도는 커지나 공극률은 감소하였다. 3. 공극률은 영수률과 용적 중량보다 첨가재료의 입자크기와 대소분포에 더욱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었다. 4. 영수률이 55~65%이고, 용적중량이 0.25~0.38g/cm2이며 입자크기가 1.5~5cm인 범위내의 효율적인 콤포스트화에 있어서 공극률은 65~80%의 범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Apparatus to Measure a Pore Size of Micro-pore Fabrics Used for a Bedding to Block the House Dust Mite Allergen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차단 침구에 사용되는 극세 공극 직물의 공극 측정을 위한 입자 투과 실험 장치의 개발)

  • Kim, Donhu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0 no.4
    • /
    • pp.557-563
    • /
    • 2022
  • In order to measure the allergen penetration of micropore fabr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venient and appropriate experimental method for measuring a pore size of micropore fabrics. In this study, a simple and economical experimental apparatus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he pore size of micropore fabrics by measuring the weight reduction rate. In addition, the allergen blocking propertie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pore sizes of various fabric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microporous fabric could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weight reduction rates. In addition, higher weight reduction rate was obtained as the suction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particle permeation device decreased and the suction time was increase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experimental method and apparatus can be utilized as an experimental standard for quality control method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icropore fabrics used for house dust mite blocking bedding.

조절된 코팅구조상에서 옵셋인쇄광택의 발현: Part 2

  • Jeon, S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1-134
    • /
    • 2003
  • 최근의 많은 연구로부터 인쇄광택에 대한 코팅구조의 영향이 보고되고,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다각적이고, 다양한 잉크량 범위에서 인쇄광택의 개별적 인자에 대한 독립적 영향은 보고된 바 없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코팅재료와 이어진 캘린더링 공정을 조합하여 Full-factorial실험설계에 준한 모델시료를 제작하고, 특성화하였다. 더불어 공극이 없지만 넓은 범위의 거칠음 수준을 가진 필름을 포함하였다. 통계도구를 사용하여 각 인자의 독립적인 영향을 추출하므로써, 각 구조인자의 함수로서 인쇄광택의 정량적인 반응도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는 60도와 75도 광택으로 표현하였다. 잉크공급량의 증가는 코팅층 거칠음의 영향을 약화는 시키되 배제시킬 수는 없었다. Matte급의 코팅층에 대한 인쇄광택은 코팅거칠음이 가장 큰 영향인자로 나타났다. 이는, 잉크필름의 Leveling을 저해하는, 큰 잉크필름의 분열형태와 코팅면을 따라 흐르며 형성되는 잉크필름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공극구조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높은 잉크량과 백지광택수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코팅거칠음이 인쇄광택에 가장 강한 인자였으며, 공극크기, 공극부피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광택지 영역에서는 공극크기가 가장 강한 영향인자로 구분되었으며, 거칠음, 공극부피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쇄품질 측면에서 코팅을 최적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 of Organic Melecular Weight and Functional Group on Membrane Fouling (막오염에 미치는 유기물 분자량 분포특성 및 화학적 구조특성)

  • Jung, Chul-Woo;Son, Hee-Jong;Shin, Hyun-Sool;Sohn, In-Shi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5 no.6
    • /
    • pp.669-676
    • /
    • 2007
  • The raw water was fractionated into hydrophobic (HPO), transphilic (TPI), and hydrophilic portions (HPI) using XAD resins. The raw water DOC contains 39% of hydrophilics, 43% of hydrophobics, and 18% of transphilics. When fractionated NOM (natural organic matter) was passed through hydrophilic membrane with 100 kDa, hydrophobic portion (HPO) caused the most fouling and hydrophilic portion (HPI) caused the least fouling. This could be related to size and adsorption capability of organics. Small sized organics would pass through membrane pores, but large sized organics would be attracted to either membrane pores or surface, which led to the fouling. An effect of membrane pore size on membrane fouling is related to the availability of organics at membrane pores. As the pore size became larger, the more organics were transported into the membrane pore. Some organics caused pore blocking, and others caused pore adsorption, which resulted in membrane fouling. Membrane material is also important for membrane fouling. More fouling occurred at hydrophobic membrane than hydrophilic membrane regardless of its pore size. Hydrophobic interaction caused more fouling at hydrophobic membrane.

Quantitative Evaluation of Geotextile Void Structures Using Digital Image Analysis (디지털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지오텍스타일 공극 분포의 정량화)

  • Kim, Duh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2 no.1
    • /
    • pp.51-6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rom a study undertaken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geotextile pore sizes using optical image analysi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observing surfaces of coupons cut from resin-impregnated specimens of geotextile-geomembrane layered under various load conditions. Stereological concepts were applied to collect representative specimens from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The sizes of voids enclosed by filaments were expressed in terms of the largest inscribing opening size (LIOS) distribution. The opening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50% cumulative frequency decreased by about 45mm as the load increased from 10 to 300kPa and recovered to about 90% of its initial state on unloading back to 10kPa. The average void size was reduced by 32 and 16.5% as the geotextile was sheared against a textured geomembrane under normal stresses of 100 and 300kPa,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how the LIOS distribution varied as a function of normal stress and interface shear displacement against a smooth and a textured geomembrane surfaces.

Spacing and crowding of the primary dentition in Korean children - relationship to tooth sizes and dental arch dimension (한국인 아동의 유치열기의 특성 - 치아 치열궁의 관계)

  • Im, Dong-Hyuk;Kim, Tae-Woo;Nahm, Dong-Seok;Chang, Young-I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6 no.1 s.114
    • /
    • pp.84-90
    • /
    • 2006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paced, closed, and crowded primary dentitions by sex and arch in Korean children from Kanghwa, an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primate and developmental spaces. The differences in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and the arch dimensions between the spaced, closed, and crowded primary dentitions were also evaluated. Dental casts of 102 preschool children (57 males and 45 females, aged $4{\sim}5$ years) were studied. The prevalence of spacing in the primary dentition was 63.2% In males and 57.8% in females. The frequency of spacing was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greater in the maxillary arch than in the mandibular arch. The crowns were significantly larger and the arches significantly narrower in closed and crowded dentitions than in those with spacing (p<0.0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spacing was lower than that foun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presence of spacing in the anterior region was related to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 and the intercanine width.

Urban Flood Modeling with Anisotropic Porous Shallow Water Model (비등방 다공성 2차원 천수모형을 적용한 도시홍수 모델링)

  • Kim, Byunghyu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4-414
    • /
    • 2020
  • 고전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2차원 도시홍수 모델링에서는 지형의 정확한 반영을 위해 고해상도 격자가 요구되며 이는 많은 계산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도시홍수해석으로 많은 계산 노력이 요구되는 도시홍수모델링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홍수에서 흐름이 공간적으로 변화할 때 불균일 공극이 존재하므로 격자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이러한 불균일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등방성 천수모형의 적용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도시홍수 해석모형은 대표요소체적(REV)보다 더 큰 격자의 적용을 해야 하는 제한성을 가진다. 반면, 비등방성 공극은 대표요소체적의 적용이 필요하지 않아 불균일 공극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론상으로는 동일한 해상도의 격자가 사용가능하긴 하지만, 실제 도시홍수 해석에서 중요하면서도 도전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의 효율적 계산을 위해 비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2차원 도시홍수 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적용 격자내에서 도시지역의 건물이 차지하는 길이 및 면적을 산정하고 그 값을 2차원 천수방정식에 적용 가능하도록 체적공극(𝜙j)와 면적공극(𝜓k)을 2차원 고전 천수방정식에 추가하였다. 개발모형은 고전 천수방정식, 등방성 공극 고려(미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 및 비등방성 공극 고려(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의 적용이 가능하여, 각 모형에 적합한 2차원 격자 생성, 각 모형의 매개변수를 보정 그리고 정확성, 효율성, 적용성이 비교 가능하다. 각 모형의 정확성과 효율성 비교를 위해 3가지의 오차 비교 (구조적 오차, 격자크기 오차, 공극 모형 오차), 계산시간 비교, 공간 변동성 검증을 위한 수심 종단형상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