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환경디자인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2초

광역시 지하철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자 의식분석 연구 (A Study on User's Awareness of Subway Environment Shape Objects in Metropolitan Cities)

  • 최철형;박선우;김창현;조한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927-935
    • /
    • 2009
  • 지하철역사의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승객운송을 위한 기능주의적 정거장에서 벗어나 획일적인 지하공간을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창조하며 지역의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시각적 지표내지는 지역의 고유한 이정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지하철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사적인 입장보다는 공공설치물이나 공공예술이란 범주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기대에 대한 다수의 유의한 감정의 공감대 형성에 필요한 디자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철 환경조형물 설치에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선호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지역별 이용자에 대한 환경조형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및 작품의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경조형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역사 환경의 특성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지하철 환경의 시각적 질을 저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철 환경조형물에 대한 지역별 이용 승객 인식도 분석 (Awareness of Passengers Using Subway Stations About Environmental Sculptures Installed in Subway Stations)

  • 최철형;조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46-456
    • /
    • 2010
  • 지하철역사의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승객운송을 위한 기능주의적 정거장에서 벗어나 획일적인 지하공간을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창조하며 지역의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시각적 지표내지는 지역의 고유한 이정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지하철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사적인 입장보다는 공공설치물이나 공공예술이란 범주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기대에 대한 다수의 유의한 감정의 공감대 형성에 필요한 디자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철 환경조형물 설치에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선호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지역별 이용자에 대한 환경조형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및 작품의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경조형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역사 환경의 특성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지하철 환경의 시각적 질을 저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Design Guidelines for Crime Prevention)

  • 윤병조;김승준;김연규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4
    • /
    • 2022
  • 주민의 안전한 생활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으로 범죄는 불안감이 가중되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어 범죄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책 중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커뮤니티 형성, 범죄예방 정책 수행 및 각종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가인드라인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니버셜 디자인 측면에서 공공 공간의 환경평가와 개선방안 -안산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U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Public Space -Focused on Public Space of Ansan City-)

  • 하재경;김양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10
    • /
    • 2009
  • Recently, the public offices are going to be an important role of CIP(City Identity Program) and be a center of citizen's community activities. So, the aspect of the universal design (UD), the space performance assessment for a disable user is invaluable to designing the public office space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better design of public office space based on UD(universal design) principl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checklist of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public space was composed of 7 basic principles of UD and 3 additional principles(aesthetic appreciation, maintenance and eco-design). Second, as the result of assessment, accessible and inclusive design is more necessary. Third, lo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deliberately as to public space design. As the result of that, public office space design should an important part of reducing the isolation that was caused by physical and social disability. From now on, in public office space design, the integrated and continuous design program that is based on UD principle and eco-design will be necessary.

  • PDF

세미나 - 수산가공선진화단지 포장디자인 지원방안 (Packaging design in Advanced complex of processed marine products)

  • 이현규;이진호
    • 월간포장계
    • /
    • 통권251호
    • /
    • pp.112-123
    • /
    • 2014
  • 세계적인 어획량 감소와 부패하기 쉽고 보관이 어렵다는 수산물의 특성에 따라 수산물의 적절한 가공과 이에 따른 수산물의 포장은 수산물의 상품성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새롭게 부각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부산의 수산가공선진화 단지는 수산가공업의 경쟁력 제고 및 활성화를 목적으로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수산가공선진화 단지는 식품 위생 안전시설(HACCP)을 통한 수산식품의 신뢰성 확보, 원재료 및 제품의 공급 체계 확보를 통한 비용절감 및 물류 효율화 등 수산가공업체의 운영 환경구축과 함께 가공수산물의 포장디자인 관련 연구 지원시설인 포장디자인센터도 단지 내에 구축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가공선진화 단지 내 구축될 포장디자인센터의 역할과 거시적 운영목표를 설정하고 효율적인 운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포장디자인센터는 공공의 자산으로서 수산가공선진화단지의 입주기업 뿐 아니라 지역의 수산물 가공산업 전반에 대한 발전을 이끌어야 하며, 디자인산업과의 융합으로 새로운 디자인 수요를 창출하고 특성화하여 지역디자인산업의 진흥을 목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산업화, 지식화, 융합화, 차별화의 4가지의 비젼을 운영 컨셉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포장디자인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적 추진사업으로 6가지 사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산업과 가공수산물산업의 융 복합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국 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산업간 융합을 통한 새로운 활력 창출의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원고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통권 제28호에 실린 논문에서 발췌했다

  • PDF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디자인 전략 (Design Strategy for Improving the Effec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Public Institutions)

  • 박성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44-453
    • /
    • 2010
  • 지식과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구축되고, 이것을 통해 사회 경제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교육환경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인터넷을 활용하여 학습 성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교육환경 변화와 함께 출현한 디지털 교육은 기존의 교육 방법이 가지는 한계인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전통적 수업방식을 대체 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급속한 양적인 성장은 개발과정에서 전문적인 학습이론이나 디자인적 고려 없이 단순히 텍스트를 이용하거나 각종 멀티미디어 소스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호기심 유발에만 치중한 나머지 정작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수많은 정보들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사용상의 인지력과 편리함을 더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의 역할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상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 위한 디자인 전략에 대해 연구한다.

도시경관미디어 개선을 위한 디자인 평가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sign Evaluation Factors to Improve Urban Landscape Media)

  • 한인교;김기정;김기욱;박재영;이정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593-59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도시경관과 결합한 형태로 나타난 제3의 공간인 도시 경관 미디어의 디자인 방향성 제시와 분석틀을 제안하는데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다양성과 독창성은 도시 환경을 미학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문화컨텐츠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도시 경관은 도시 활동의 근원으로써 정보의 공급 역할, 공공의 장으로서 휴식과 나눔의 기능, 담론의 장으로서 커뮤니케이션 공간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 경관 미디어 시설물 평가요소 도출과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증강현실을 이용한 펜스 디자인개발 : 중국길림대학교 지질궁 토목건설 현장 사례 (Development of Fence Design Using Augmented Reality : Case of the Construction Site, Geology Palace, Jilin University in China)

  • 유창;안병진;송승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82-91
    • /
    • 2013
  • 건설현장에서 펜스디자인은 공공디자인으로써 건설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사람과 자연, 자연과 건축, 건축과 문화 간에 조화를 이룰 때 사람의 감정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중국의 건설현장에서 펜스 디자인 연구는 예술작품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펜스디자인과 건설현장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펜스 디자인에 대한 우수한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디자인 원칙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중국 길림대학교 지질궁 박물관의 펜스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건설물이 건축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술적, 문화적 저변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공공재생건축에 나타난 지속가능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Regeneration-Architecture of Architecture for Humanity)

  • 조용연;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90-197
    • /
    • 2010
  • This is a study about public-regeneration-architecture design of the 3rd world damaged by the development of capital society of the 20th centur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ally poor, anti-capitalist development from non-profit design organization. Active among such non-profit design organizations, the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regeneration-architecture of the Architecture for Humanity will be discussed. I help it so as a continuous possibility design to have been given to public-regeneration-architecture of the Architecture for Humanity is small, and I establish a construction space at a few costs to people in a situation to be environmentally interior economic, to be cultural, and I am large, and to be able to generate profitable construction by environment at activation of a local community and worldwide dimensions. I look through a sustainable design way of this study classifies it to cultural sustainability that ecology-cultural approach in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sult ecology - central approach, and how I was applied to materials of construction, color, a pattern, a construction method, space configuration etc. There is the meaning to try to analyze a characteristic of a sustainable design to have appeared to public-regeneration-architecture of the Architecture for Humanity which I make a symbiosis, and you can live on it how in the present cities that city poor floor will add to.

소규모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Design Indicator for Small Public Building)

  • 류수훈
    • KIEAE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83-92
    • /
    • 2013
  • Public buildings as a public space of the communit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and urban space. Public buildings are not a simple role as office space, but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local residents. In addition, a variety of approaches, spatial, and program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Rising awareness for public buildings recently, aspect of design also has began to be interested. Small building is a public building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in the rapid change. However, small building is lacking the design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scale and economics.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esign Indicator that can be used to create 'small public buildings' that has been alienated from the large public buildings design development. This is intended to derive and utilize the design categories and design detail indicator of small public buildings. There are composition of design categories and design detail indicator of developed small public buildings. Design categories have developed six such as Public and Harmony, Access, Landscape Design, Space, Sustainable Design, Technique and Performance. Design Detail indicator of Small public buildings have developed all 24. Presented Design Categories and detail indicator are composed of design indicator available in all areas of design evaluation and review that includes design, function, environment, and technology of public buildings. And it is possible to apply with small public buildings in all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