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0.082

Development of Fence Design Using Augmented Reality : Case of the Construction Site, Geology Palace, Jilin University in China  

Liu, Chang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Ahn, Byeong-Jin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Song, Seung-Keun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Fence design in a construction site as a public design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civil engineering field. It influences people's emotions by showing the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nature and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and culture. Currently, fence design researches in China are simply personal artworks and the related researches are insufficient. Moreover they do not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ence design and the building at all.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design from the analysis of the famous cas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fence design and to develop a fence design in Geological Palace Museum, Jilin University in China using the technique of augmented reality from the resul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eals that people directly experience the process of the architecture. More artistic and cultural fence designs are expected to be extended in our daily lives.
Keywords
Augmented Reality; Fence Design; Public Desig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홍, 공사장 사설펜스 슈퍼그래픽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2, 2009.
2 양성순, 제주상징을 활용한 공사장 가림막 슈퍼그래픽 디자인 연구,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1, 2010.
3 http://www.safehoo.com/Tech/Build/201010/153215.shtml.
4 http://www.safehoo.com/Tech/Build/201010/153215_3.shtml.
5 http://www.calspia.go.kr/com/frame/mainframe.jsp
6 안미자, 도시 환경디자인 요소로서 건설현장의 가림막에 관한연구, 국민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27, 2007.
7 http://san.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03/2012080301577.html
8 하태진, 이영호, 우운택, "상호작용형 증강현실 기반 디지로그 북의 연구 동향 및 전망",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제13권, 제3호, pp.89-98, 2009.   과학기술학회마을
9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물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13, 2010.
10 현은자,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동극 활동에서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113-124, 201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1 롯데호텔부산 롯데아트홀에서 열린'신개념 지식 콘서트 부산 tech+' 행사 강연과 브로슈어, 2012(5).
12 임소혜, 정지인,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콘텐츠의 유인가와 각성도를 중심으로",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12-222, 201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3 조윤성, 김문석, "모바일 증강현실을 활용한 참여적 공공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pp.124-133, 2011.
14 양성순, 제주상징을 활용한 공사장 가림막 슈퍼 그래픽 디자인 연구,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논문, p.34, 2010.
15 http://www.chla.com.cn/htm/2011/0420/82600.html.
16 http://baike.baidu.com/view/1239899.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