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환경디자인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학교 주변구역의 아동친화도시형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중국 선전시(深圳市)를 연구대상으로- (A Case Study on Child-Friendly Public Design in The Surrounding Areas of Shenzhen Elementary Schools in China)

  • 조다다;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54-366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아동친화도시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주변 환경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과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먼저 <아동권리공약>을 기준으로, UN에서 발표한 아동친화도시의 관련 문헌 및 선전시 아동친화도시와 관련된 문헌을 종합하여 아동친화학교의 주변환경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의 5대 원칙을 도출한다. 5대 원칙은 안전한 환경, 보호 조치, 보행에 적합한 환경, 혼자 외출할 수 있는 환경, 편리과 재미있는 환경이다. 다음으로는 앞서 도출한 5대 원칙을 기준으로 중국 선전시 복전구에 위치한 25개 국립초등학교의 주변 환경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을 조사, 연구하고, 5대 원칙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품질수준을 평가하였으며, 낮은 품질 수준의 공공디자인이 존재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선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주변의 공공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는 공공공간, 공공시설, 그리고 공공매체 디자인이라는 세 가지 방면에서 개선이 가능하며, 보다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아동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아동의 보행환경에 적합하고 아동이 혼자서도 쉽게 다닐 수 있게 되며, 아동의 생리와 심리적 요구에 부합한 편리성과 재미있는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디자인을 통해 아동에게 친화성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선전시 초등학교 주변 환경을 위한 개선 방법은 선전시의 아동 친화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발전적 지표가 될 것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및 활용에 대한 디자인 고찰 (Patent Trend Analysis of Carbon Capture Storage Utilization)

  • 윤준;김진오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6호
    • /
    • pp.465-474
    • /
    • 2022
  • 본 연구는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공공시설의 이산화탄소포집기술을 상용화 및 보급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공공환경에 적합한 시설물의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탄소포집 및 환경정화를 위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은 공기 중 탄소 포집 기술 활용, 탄소 포집 및 흡착 소재 활용, 탄소 저감 식재 활용으로 분류하여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탄소 중립을 위해 공공공간에 기존의 공공시설물과 차별화된 디자인의 신개념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탄소 중립기술을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시대에 부응하는 친환경 공공시설물로 공원, 도로 등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시민들의 휴식 및 커뮤니티의 역할로 보급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공헌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for Community Outreach)

  • 정태원;김민규;윤소연;남유선;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68
    • /
    • 2018
  • 오늘날 산업이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디자인의 방향도 이런 흐름에 맞춰 변모하고 있다. 최근 서비스디자인이 이런 변화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다. 특히 서비스디자인은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사건 전반의 문제를 디자인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개선을 시도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지역의 공원시설 등 공공환경 또한 서비스디자인의 과제로 주목받고 있는데 이런 활동은 다양한 지역사회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이용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며 나아가,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지역 공공환경을 위한 콘텐츠의 확장을 도모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콘텐츠의 확장을 통해 구성원과 방문객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경에 특색 있는 서비스를 더한 새로운 콘텐츠들을 개발해야 하며 이러한 서비스디자인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디자인이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전계룡산국립공원의 수통골지역 방문객을 위한 서비스디자인프로젝트의 선행연구로 수행 되었다.

  • PDF

공공도서관 공용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Common Spaces in Public Libraries by Universal Design Principles)

  • 이규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55-162
    • /
    • 2019
  • 오늘날의 공공도서관 이용 주체는 매우 다양화 되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연령 및 신체 조건의 이용자들을 고려하고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을 갖춘 공공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용공간을 유니버설디자인의 원칙을 기준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33개소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를 통해 적용 수준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수준이 낮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와 관련한 환경을 우선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보다 수준 높은 유니버설디자인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계단계부터 이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사용상의 융통성' 관련 환경은 국내의 법적인 규제에 적용되는 항목이 적어 환경 수준을 제고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전체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인 선호이미지를 고려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Public facilities design considering preferred design image)

  • 허성철;김억;홍성수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331-340
    • /
    • 2009
  • 최근 지역 환경의 문화적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지역 주민의 도시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디자인을 통하여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대내외적으로 그 지역의 도시이미지를 재정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도시(포항시)의 현황 및 환경적 특성 그리고 시민의 디자인 이미지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이미지 정체성을 구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가로'를 구성하는 공공시설물의 표준디자인 제안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도시의 24개 지역에 대한 경관이미지 및 공공시설물 설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도시의 일관된 이념과 사상,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민들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감성적 디자인 선호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총 31종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으며 표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매력 있는 도시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제공이 가능하고, 향후 포괄적인 도시 경관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자료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Public Library Services)

  • 김보일;조현양;김종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81-201
    • /
    • 2011
  • 최근 도서관을 둘러싼 사회의 다변화는 도서관의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이용자에 대한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공공도서관이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도 그 본질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하여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추구를 위한 핵심 키워드 "유니버설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추구, 공공도서관 서비스 인식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통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관련 정책 및 제도 전환의 4가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벽화 공공 디자인의 실험적 접근: 부산주례여자중학교 벽화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Experimental Approach of Mural Public Design: Toward the Mural Design Case in Jurye Girl's Middle School, Busan)

  • 원덕존;송승근;유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83-91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 디자인과 공공예술 이론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벽화예술은 기획력이 부족하고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벽화를 예술적 영역에만 국한되기 보다는 공공의 공간으로 확장한 실험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 사례로서 부산에 소재한 주례여자중학교의 벽화를 공공디자인 영역으로 발전시켰다. 그 결과 문화가 포함된 벽화는 도시 공공 환경과 오히려 잘 어울린다는 것을 설문을 통해 발견하였다. 설문조사는 주례여자중학교 학생과 주변사람들 무작위로 선발하여 총 107명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결과 환경 친화와 문화적 함의가 상대적으로 높게 평정 되었다. 벽화예술은 우리 사회의 발전, 문명의 진보와 더불어 더욱 세밀하게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어떻게 더욱 뛰어나게 벽화 예술과 현대공공 환경공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만들어야 할지가 앞으로의 과제이자 추세인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벽화내용을 통하여 공공환경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 넣고 자신의 독특한 분위기로 대체할 수 없는 사회적 가치를 제시한다.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역할에 관한 연구 -공공디자인 정책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role of Smart Public Facilities -Focusing on public design policy-)

  • 손동주
    • 서비스연구
    • /
    • 제14권3호
    • /
    • pp.206-230
    • /
    • 2024
  • 연구 배경: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스마트 도시 구현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스마트 공공시설물은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통해 도시 운영 방식을 혁신하며, 다양한 도시 기능을 최적화하고,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하며, 시민들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역할과 기능은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되고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정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국내외 스마트 공공시설물 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그 기능과 역할을 평가했다.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 정책의 실효성과 지속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으며, 스마트 공공시설물이 도시 운영 및 시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도입은 공공디자인 정책의 실행력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하며,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에너지 관리, 교통 시스템,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술 변화 관리,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사이버 보안 보장, 시민 참여 강화 등의 주요 과제도 발견했다. 결론: 스마트 공공시설물은 도시의 효율성, 지속 가능성, 그리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기반시설로 역할을 한다.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와 시민 참여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스마트 공공시설물은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지원하고, 도시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스마트 공공시설물이 도시기반시설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공공디자인 정책의 효율성, 지속 가능성, 시민의 삶의 질,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도입과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제시가 필요하다.

CPTED 사례 분석을 통한 디자인 제안 (Design proposal through CPTED case analysis)

  • 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39-444
    • /
    • 2021
  •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서로의 공간을 공유하면서 환경 속에서 살아가며 안전을 위해 각자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을 통해 범죄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공공 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탐색이 가능한 공공 공간 디자인을 연구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 디자인의 개념과 사례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CPTED의 진행 기준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최종 추출된 키워드로 각 성공 사례의 결과를 분석하고, 최종 10개의 키워드 도출을 통해 범죄 예방을 위한 세 가지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하였다. 각 설계 솔루션은 본 프로젝트에 참여한 25명의 CPTED 연구자가 리커트의 5점 척도로 평가 하였으며, 평가의 결과에 따라 향후 보다 안전하고 완성된 형태의 CPTED를 활용한 디자인 결과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소기업 혁신제품 개발 지원을 위한 공공 서비스 디자인 (Public Service Design for the SME Innovation Products)

  • 이재기;최주희;최희진;소운섭;송광석;유종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6호
    • /
    • pp.217-230
    • /
    • 2013
  • 본 논문은 열악한 환경의 중소기업들이 제품개발에 있어서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 기술지원 서비스로써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구축을 위한 공공 서비스디자인에 관한 내용이다. 중소기업들이 안심하고 편리하게 구축된 각종 인프라들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혁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중소기업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인 상용화 아이템 발굴, 제품디자인 및 시제품제작, 시험 검증 등을 지원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등을 활용한 토털솔루션으로 기업기술지원용 공공 서비스 디자인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고객의 관점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경쟁력을 갖도록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행동패턴을 관찰, 분석하여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서비스 형태와 기능을 디자인하여 고객 및 제공자에게 효율적이고 매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