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정책

Search Result 2,1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일과 삶 균형' 정책과 정책 부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비교를 중심으로

  • Kim, Seon-A;Kim, Min-Yeong;Kim, Min-Jeong;Park, Seong-Min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7 no.1
    • /
    • pp.201-237
    • /
    • 2013
  • 본 연구는 효율적 인적자원관리의 실행과 유지에 있어서 '일과 삶 균형(WLB: Work-Life Balance)' 정책의 중요성을 이론적·실증적 접근방식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WLB 정책을 유연근무제, 친가족정책, 개인신상지원 프로그램 등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분석대상을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으로 구분하여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도모하였다. 연구모형 개발과 가설검증을 위해 제3차 여성가족패널(KLoWF) 자료를 바탕으로 WLB 정책과 정책 부합성,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공공조직 및 민간조직 여성 근로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WLB 정책과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에 있어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결과가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상호 이질적인 조직 문화, 제도,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고 각 영역 구성원들의 서로 다른 욕구 및 동기 유발 체계에 의한 것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조직 특성에 맞는 수요자 친화형 WLB 정책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WLB 정책 시행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A Study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by Analyzing User Collection-Use Behavior in Korean Public Libraries (이용자 장서이용행태 분석에 의한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고안 연구)

  • Lee, Adrianne;Lee, Jee-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1.08a
    • /
    • pp.115-122
    • /
    • 2011
  •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의 다양한 정보요구와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자료를 광범위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이렇듯 공공도서관은 방문하는 이용자들의 배경이 다양하고 도서관을 찾는 목적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이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공공도서관 자료의 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장서개발정책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구립 공공도서관 10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용자의 장서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구립 공공도서관을 위한 장서개발정책을 제안한다.

  • PDF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y in Seoul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정책적 과제)

  • Yoon, Hee-Y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9 no.2
    • /
    • pp.1-23
    • /
    • 2018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tasks for the public library in Seoul. For this goal, researcher compared macroscopically the gap between the Seoul city and the global competitiveness city using the core index of the public library, and analyzed microscopically the level of the Seoul city and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and service index. Next, researcher evaluated the public library policies by linking the "2030 Seoul City Master Plan" and the "Library and Reading Culture Revitaliz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 proposed branding for global knowledge culture capitals, advance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systems of libraries, composition of citizen centered knowledge culture ecosystem, maximization of citizen's service satisfaction and expected benefits as future-oriente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Policy Instruments for Public Private Partnership and Lessons from Case Study in Space (우주분야 공공민간협력을 위한 정책수단과 운영사례 연구)

  • Shin, Sangwoo;Kim, E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4
    • /
    • pp.343-35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policy instruments used by the public sector to ensure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in the delivery of space policy. Despite the importance of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categorized 16 policy instruments into 4 types: purchase contracts, capital subsidies,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ort and input subsidies. In addition, 5 cases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 the United State, Europe and Japan were studied to explore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 industrial competition.

Progress and Problems in Local Public Library Policies of South Korea (지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 광역자치단체를 사례로 하여 -)

  • Jae-Whoan Lee;Chul J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4 no.3
    • /
    • pp.1-32
    • /
    • 2023
  •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both progress and problems in local library policies of South Korea, with emphasis on public libraries. Special concerns are given to analyz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local library regulations and implementation plans, prepared for the promotion of local public libraries. Also investigated are the structural problems in both current procedures and systems for library policy making. The final discussion includes the customized solutions to make local library policies be healthy and reliable, as well as the analysis on the indigenous factors to make local library policies be weak and defective.

A Study on Vitalization of Public Service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 Noh, Kyoo-Sung;Yoon, Tae-Geun;Ju, Seo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5
    • /
    • pp.203-213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the vision/strategies of policy for the public services based ubiquitous-IT. That policy is for searching the ubiquitous based people-friendly public services and promoting the industry related u-IT. This article's purposes are below; first, making the policy for activating the ubiquitous based public services, second, looking for the core subjects focused on practical value, and finally, proposing the system for the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A study on the invigorating strategies for open government data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

  • Hong, Yeon Wo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4
    • /
    • pp.769-777
    • /
    • 2014
  •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open government data platforms to disclose government or government controlled entities-owned data that can be freely used, reused and redistributed by anyone. Open government data can help you to make better decisions in your own life, or enable you to be more active in society. Open data is also making government more effective and transparent, which ultimately also reduces costs. This paper explains the open data concepts and circumstances in Korea, and also suggests detailed invigorating strategies such as data quality policy, data un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policy, open data service platform, and integrated support plan of big data and open government data.

The Wrong Path and the Right Path of Library Policy in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Library Foundation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정책의 사도와 정도 - 도서관재단의 설립논의를 중심으로 -)

  • Yoon, Hee-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4 no.3
    • /
    • pp.5-24
    • /
    • 2010
  • The public library is the local centre and gatewa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refore, the library should be funded and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and the governing body will be responsible for matters of policy of the library. However, recently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faced enormous policy challenges such as the damage of its identity, outsourcing or contracting-out of management, and the general chaos of its administrative system.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level of infrastructure and policies of public libraries and to review the wrong path and the right path of library policies focused on establishing a library foundation and outsourcing library management in Seoul and Incheon.

Serial - The role of Architectural Policy and Architecture Center in promoting the publicness and participation in architecture(A case of the Netherlands) (연재 - 건축의 공공성과 참여를 증진시키는 건축정책과 건축센터의 역할(네덜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 Cho, Im-Sik
    • Korean Architects
    • /
    • s.496
    • /
    • pp.71-76
    • /
    • 2010
  • 본 연재는 앞으로 2회에 걸쳐 '네덜란드의 건축정책(Architectural Policy)'과 '네덜란드의 건축센터(Architecture Centers)'의 역할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각각 중앙 정부와 지역이 어떻게 상호 관계를 맺으며 네덜란드의 건축과 도시를 조율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건축 정책의 중요한 주체로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층위의 역할과 그 협력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오늘날 세계 건축계를 이끌어 가고 있는 네덜란드의 건축문화를 이루는 원동력이 무엇인지를 아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네덜란드는 세계 최초의 정부 주도로 수립된 건축정책을 통해 지난 20여 년 간 건축의 공공성을 표방하며 자국의 건축문화를 발전시켜왔다. 네덜란드의 건축문화는 개별적인 작가들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건축가(군), 건축기관, 정부 등 여러 주체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건축 정책을 통해 지속적인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네덜란드 정부는 건축정책을 수립하고 그 실행을 전문적 건축기관에 일임함으로써 전문가들이 분야의 전문성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건축의 공공성을 지향하고 건축실천의 방향성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지역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설립, 운영되는 지역 건축센터들은 지역의 폭넓은 커뮤니티에의 접근성을 바탕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서 중앙의 건축정책의 방향성을 지역의 커뮤니티에 전달하고 지역의 이슈를 발굴하고 발전시킨다. 본 연재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개별적 주체들의 의식 성장으로 하향식 주도가 더 이상 작동하기 힘들며 관심과 동기가 다른 다양한 주체들과의 협의와 협력이 불가피해지고 공공성의 대변자 역할을 했던 건축, 도시계획의 위상이 근본적으로 변화를 겪으면서 공공성에 대한 이해의 재정립이 요구되는 현 시대에 네덜란드의 건축정책과 건축센터의 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찾고자 한다.

  • PDF

Forecasting Open Government Data Demand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공공데이터 수요 예측)

  • Lee, Jae-wo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7 no.4
    • /
    • pp.24-46
    • /
    • 2020
  •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timely forecast open government data (OGD) demand(i.e., OGD requests, search queries, etc.)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most of the OGD belonging to the high-demand topics are provided by the domestic OGD portal(data.go.kr), while the OGD related to users' actual needs predicted through topic association analysis are rarely provided. This is because, when providing(or selecting) OGD, relevance to OGD topics takes precedence over relevance to users' OGD requests. The proposed keyword network analysis framework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OGD policies for public institutions in the future as it can quickly and easily forecast users' demand based on actual OGD requ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