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도서관 소재 지역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공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의 사서역할 모델설계 및 사례분석 (Role of Librarian in Child Edu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y: Model Building and Assessment through Case Analysis)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51-68
    • /
    • 2011
  •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이 자료보존과 자료제공 기능에서 교육적 기능과 지역공동체형성의 기능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서의 역할에서 사회 교육적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에서 아동의 흥미를 제고시키고 주체적 학습자가 되도록 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된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점에서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의 교육자모델을 설계하였다. 교육자의 역할은 모델링(modeling), 코칭(coaching), 스케폴딩(scaffolding)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모델에 기초하여 서울과 수도권 소재 5개의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 사례를 관찰 조사하였다. 이들 사례에 대해 교육적 관점에서 공공도서관의 아동교육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DEA와 Tobit 모형을 이용한 대도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n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by DEA and Tobit Model)

  • 이상수;한하늘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2호
    • /
    • pp.111-1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도시 소재 129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이러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효율성 평가의 경우 기술효율성의 비효율은 상대적으로 순수기술효율성의 비효율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향요인 분석의 경우에는 인구변수와 수도권 지역 더미변수가 도서관의 효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정보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Efficiency in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선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21-239
    • /
    • 2005
  •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21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DEA방법론을 사용하여 정보서비스 활동의 효율적 운영에 초점을 맞춰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정보서비스 활동의 평가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2002년 관측치를 사용하였으며, 투입요소로는 장서수, 연속간행물수 그리고 연간증가책수가 사용되었으며, 산출물로는 총 이용책수와 이용자수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의 평균효율성은 $71\%$에서 결정되었으며, 이는 모든 도서관이 효율적인 도서관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수준의 산출물 생산을 기준으로 현재 투입물의 $29\%$를 감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효율적인 도서관은 산출물의 과소생산보다는 투입물의 과다사용에 비효율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장서수의 운영이 가장 비효율적인 요소로 평가되었다. DEA방법론에 의한 평가 결과는 투입요소와 산출물의 수 또는 정의가 달라지면 다른 결과를 보여줄 수 있으므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공공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Delivery System에 관한 연구 - 이동문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Delivery System for the Effects of Using in the Public Libraries)

  • 이상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3-179
    • /
    • 1998
  •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공공도서관의 한정된 자원에서 늘어나는 수요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서관의 운영방안을 개선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는 도서관을 직접이용할 수 없는 이용자들에게 유사분관도서관인 순회문고제도를 운영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제고와 아울러 소외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서비스를 할 수가 있다. 서울 소재 19개 공공도서관의 순회문고 담당자와 이용자들에게 각각 설문조사, 전화조사와 직접방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이 봉사대상기관에 대한 순회문고 대출기간은 ‘1개월’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도서관이 순회문고의 1회 대출시의 대출권수는 ‘100권 이상~200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순회문고 희망도서신청제도는 공공도서관의 순회문고 장서구성에 많은 도움이 되어 순회문고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순회문고 장서구성은 소설류, 교양도서, 수필집 등이 높게 나타났으나. 순회문고 이용자는 소설류, 교양도서 뿐만 아니라 전문도서. 잡지류의 자료구성을 높일 것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순회문고의 비치장소는 순회문고 이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문적인 자료봉사부서인 도서실에서 전담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공도서관에서 순회문과 대출지역을 관할구역내로 한정로 것이 순회문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곱째. 분실자료에 대한 자연감소처리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순회문고 활성화에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덟째. 순회문고제도의 저해요인으로는 공공도서관의 인력부족, 도서분실, 이용자의 소극적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아흡째. 순회무고제도의 활성화 요인으로써 최고관리자의 적극성과 전문성, 예산배정의 적정성, 기탁금제도의 활성화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열번째, 자료분실에 대한 자연감소율은 대출도서의 0.5-0.6%를 도서관규정에 정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순회문고 제도를 시행하는 양당사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순회문고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 PDF

공공도서관 환경색채의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or Environment of Preference Tendency in Public Library - Focused on Busan City -)

  • 이민재;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4권
    • /
    • pp.321-332
    • /
    • 2016
  •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에 대한 환경이 높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사용자의 만족도 및 지원성을 높여주는 도구로서 적절한 환경색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추구하는 역할에 맞춰 지원환경을 높여주는 색채환경을 파악하고 공공도서관 사용자의 색채선호경향을 파악하여 공공도서관 색채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색채의 기능 및 역할, 환경색채에 대하여 고찰하고, 공공도서관 현황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도출하였다. 다음단계는 색채선호경향 설문지 제작을 위한 사전조사로서 2015년 7월 말에서 8월 말까지 부산시 소재 공공 도서관 9곳을 대상으로 환경색채 측색 및 사진촬영, 기록 등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색된 총 177개 환경색채와 이의 IRI(Image Research Institute) 색채이미지 스케일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선호경향 측정도구를 제작하였으며 2015년 10월 6일부터 12까지 부산시도서관 이용경험자 총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 사용자의 지원환경 강화를 위한 환경색채계획의 참고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서관 관련 시설계획 및 리모델링 시, 색채계획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자체 공공도서관 직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3개 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Local Public Library Staff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ase of Three Regional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 박진희;김효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05-429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소속 직원들을 대상으로 업무 형태별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특성 차이와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3개 도시의 20개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직원 3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 내용은 SPSS 2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타당성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직이 사서직 이외의 직원들보다 감정노동을 더 많이 겪고 있고, 민원응대 업무 포함 여부에 따라 감정노동의 빈도가 높아지고, 직무만족 전체와 직무만족의 업무조건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의 심리반응 만족의 경우, 도서실 자료 업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사서들의 업무에서 발생하는 감정노동은 사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감정노동의 빈도와 감정부조화는 낮추고, 감정노동의 다양성은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이 이용자 응대 매뉴얼과 향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인천광역시 동구 특화도서관 운영전략 도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duction of Operation Strategies for Specialized Library in Dong-gu, Incheon)

  • 노영희;장인호;강지혜;김동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9-63
    • /
    • 2021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동구 지역 내 소재한 다양한 문화재 및 콘텐츠와 '2022 동구 Master Plan'에서 제시된 동구 발전권역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추가 건립 시 운영할 수 있는 특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인천광역시 동구 지역을 문화관광·테마관광권역, 역사문화권역, 중심상업권역, 기반산업권역 등 4권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문화재 및 콘텐츠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특화주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둘째, 2022년 완공이 예정되어 있는 어린이 도서관의 특화 주제 및 전략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셋째, 인천광역시 동구의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표도서관이 추진해야 할 특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Cognitive Survey about Student Employment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s)

  • 노영희;심효정;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9-1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문헌정보학의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취업준비도, 취업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의 취업희망분야는 도서관이 가장 높고 그 중에서 공공도서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희망지역은 출신대학의 소재와 관계없이 서울 경기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현장기반 취업프로그램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에 대한 애로사항은 취업정보에 대한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건은 근무조건, 정년보장, 복리후생, 보수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해서는 취업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기반 교육과정의 강화, 그리고 지방의 취업여건 및 환경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