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감각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뮤지컬 『All Shook Up』의 연출적 시노그래피 연구 - 디자인 구축 과정과 공연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Scenography of the Musical 『All Shook Up』 - Focusing on the Design Construction Process and Performance Application Cases -)

  • 박근형;조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75-187
    • /
    • 2020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뮤지컬 『All Shook Up』의 새로운 연출적 해석과 해체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수행적 시노그래피의 요소와 그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드러나는 수행적 특성은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개개인의 능동적인 지각과, 다양한 사회적 의미 창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시노그래피의 이론적 토대를 시대별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All Shook Up Travelers』의 수행적 공간 구축을 위한 재구성 과정에서 시노그래피 구성요소 중 무대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비주얼 내러티브 기반의 세계관 구축을 통해 텍스트를 기반으로 제작한 강렬한 이미지를 배우의 내적서사 확장의 직접적인 매개체로 활용하여 시노그래피의 시각적 강렬함을 달성하였다. 그것들은 배우와 관객들과의 공존-분리를 노정한 극 내부서사의 강화, 양의성을 지닌 독자적인 의미전달, 관객들의 비판적인 사유, 능동적인 지각 등 공감각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게임성향 인터넷 배너광고의 표현요소 도출 (Analysis of Game-Like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 Based on Display Factors)

  • 서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311-316
    • /
    • 2012
  • 인터넷 광고 시장의 비중이 커지면서 인터넷 광고의 중요도에 대한 사용자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광고주에게는 저비용 대비 고효율을 올리는 인터넷 배너광고는 매력적인 광고 매체임이 틀림없는 사실이다. 동시에 인터넷 배너광고의 상호작용성은 사용자에게도 배너광고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매력적인 광고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사용자의 호기심과 흥미 유발을 위해 시각적인 형태 변화와 더불어 공감각적인 개념을 추가하는 등 인터넷 배너광고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너광고의 특성 분석, 디자인 구성요소 및 게임의 구성요소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게임성향 배너광고의 7가지 표현요소를 도출한 후 사례 분석하였다.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한 실시간 3차원 지형 생성 (Realtime 3D Terrain Generation with Sound Data)

  • 김원섭;장규식;김태용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84-189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응원이나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사용하여 게임 플레이상에 지형을 생성함으로서 사운드의 적극적인 황용을 도모하고 렌더링되는 화면과 입출력되는 오디오 간의 동기화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공감각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직접 사운드를 발생시키거나 원하는 음원을 입력하면 그 입력받은 사운드 진폭 데이터를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데이터로 변환하고 취득한 데이터로 분석 및 재가공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3차원 지형을 만든다. 지형이 생성될 때는 여러 가지 보간 처리를 통하여 에이전트들과 오브젝트들이 활동 가능하도록 지형을 보정하며, 확장 역시 용이하도록 디자인한다.

  • PDF

오감(五感)을 이용한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 디자인에서의 공감각(共感覺)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urniture Design using the Five Senses -Focusing on Synesthesia in Design-)

  • 윤여항;유도현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3-143
    • /
    • 2010
  • Although past design developments that emphasized only the outer appearances of products were mostly concentrated on the areas of forms and colors in an attempt to satisfy humans' visual needs, it is expected that future designs to come will go in the direction to stimulate more diversified human senses. This means expansions to the five senses including the auditory sense, the sense of smell, the tactile sense and the taste and even to the area of synesthesia where two or more senses are stimulated or coexist. Although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synesthesia is a concept of arousing another sense through a sense, studies of synesthesia in design go one step further from here to mean compound senses, that is, the synesthesia in an expanded meaning to feel an object (thing) through many sensory organs simultaneously. The synesthesia in the expanded meaning is applying multiple senses simultaneously in recognizing one thing to comprehensively judge and feel the thing. Recent design trends are going in a direction to basically satisfy humans' visual needs through controlled forms and colors while inducing another new feeling through expressions of diverse feels of materials within existing forms. In this change of the times, studies on furniture designs are conducted through factors of in synesthesia linked with other senses and have an important meaning that can enhance the value of designs.

  • PDF

음식물 색의 경험이 색으로 인지하는 맛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ood-color experience on gustative perception by color)

  • 정진영;유임경;석현정;정상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35-38
    • /
    • 2007
  • 맛을 인지하는데 있어 색채가 끼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사람은 특정 색이 상기시켜주는 맛을 기억하고 있고, 맛과 그 강도를 예측하고 판단하는데 있어 색에 크게 의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음식물 색에 대한 경험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색채로부터 연상되는 맛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회에 걸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색상환에 고르게 분포한 여섯 가지 대표 색을 가진 초콜렛 샘플을 준비하고 피험자들에게 단맛과 쓴맛의 정도에 대해 각각 평가하도록 하였다(N=20).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색을 활용하되, 이를 알약에 적용한 후 동일한 평가를 진행하였다(N=20). 실험 결과, 맛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난색 계열에서는 단맛, 쓴맛에 대한 일관된 경향을 나타냈지만, 그렇지 않은 파랑색에 대해서는 분산된 반응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험의 정도에 따라 색으로부터 연상되는 공감각적 특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효과적인 식품 패키지 디자인에 참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텍스타일 프린트 디자인 발상을 위한 대중음악 장르별 감성 언어이미지 연구 I (A Study on the Emotional Language Imagery according to Popular Music Genres for Development of Textile Print Design Ideas I)

  • 김지연;오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4-365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itioning of emotional language imagesin popular music genres for developing textile print design ideas. Auditory and synaesthetic imagery were employed to deduct emotional language imageries from popular music genres and analyze differences in emotional language imageries according to popular music genres. Six genres of popular music were selected as stimulu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emotional language imager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depending on popular music gen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test on emotional language imager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that include Lyrical-Feminine, Intense-Masculine, Euphoric-Active, Gloomy-Melancholy, Abstruse-Sophisticated, and Addictive-Continuous. The results of the mean scores of emotional language imagery of each popular music genre showed that respondents tended to perceive that ballad and new age music are similar and hip-hop & rap, dance, and metal-rock are similar.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new age positioned Lyrical-Feminine, metal-rock positioned Intense-Masculine, dance music positioned Euphoric-Active, and ballad positioned Gloomy-Melancholy. This study provides elementary resources to inspire innovative textile prints designed through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language imagery according to each popular music genre.

다큐멘터리 <색청, 색을 듣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영상 분석 (Analysis of Digital Video with a Focus on the Documentary )

  • 장경수;이순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2호
    • /
    • pp.23-27
    • /
    • 2016
  • 색청은 성장기에 프루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시각이나 청각 경로에 혼선이 생긴 사람들에게 발생한다. 그들이 겪는 현상을 '색청'이라고 부른다 색청은 소리를 들을 때 색을 보는 형상을 말한다. 영상의 인터뷰에서 예술분야 전문가는 천부적인 재능으로 보았으며, 의학 분야 전문가는 일상생활에 큰 혼란을 야기하는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공감각현상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증명된 연구결과와 일상 속의 현상을 바탕으로 '색청'을 분석하고, 또한 편집자의 관점에서 영상을 분석한다.

피터 줌터 건축의 미장센적인 공간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ise en scéne in Peter Zumthor's Architecture)

  • 박주석;김동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40-5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se-en-$sc{\acute{e}}ne$ characteristics to direct an emotional atmosphere. It also analyzed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how the work of Peter Zumthor. First, a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 on the distinction between montage and mise-en-$sc{\acute{e}}ne$, the research on space directing techniques in film.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mise-en-$sc{\acute{e}}ne$ around the technique of deep focus, long-take, charade. It also examines the mise-en-$sc{\acute{e}}ne$ tendencies that appear in the painting art, philosophy and psychology to deepen understanding. It should understand the mechanism by going to complete the meaning. Based on this, in terms of mise-en-$sc{\acute{e}}ne$ to analyze the space directing of Peter Zumthor. And the features of mise-en-$sc{\acute{e}}ne$ has its significance in having a look at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in the 'Atmospheres' directing of Zumthor. As a result, the mise-en-$sc{\acute{e}}ne$ is active, multi-layered, ambiguous, uncertain, becoming and enables an open interpretation in terms of audience.

패션필름에 나타난 촉지각 경험 유발 요인 (What Causes Haptic Experience in Fashion Film?)

  • 권지안;이수용;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74-490
    • /
    • 2019
  • Fashion films with screen limits have a way of changing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sensorial organs in order to go beyond limits. This study shows that such change is possible if fashion films are based on haptic factors. This study examines haptic factors of fashion films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filming factors of different shot size, synesthetic, and cinematic screen methods. First, when the subject to be emphasized is enlarging, the observer comes to project themselves to the situation and incurs a haptic sensation. Second, when associating an experience by personal recollection or social customs when more than two senses are stimulated simultaneously, haptic sensations, triggered by multiple senses, takes place. Third, a blurred image shows haptic sensations through inducing observers to see into the meaning of a shot. As a result, the senses of the observer enlarge and enhance a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absorbing and accepting a fashion film. Furthermore, fashion films are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forms of the age.

환경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의 현실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erialization of Virtual Reality for Environmental Interface)

  • 강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545-55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인터페이스 속의 가상환경을 현실로 옮겨오는 방법으로 환경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실제 환경에서 감각할 수 있는 가상에 대한 경험을 설명하고자 한다. 실제 환경과의 구분 없는 가상을 표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조건으로 인터페이스의 투명성과 공감각을 확대하는 상호 작용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환경인터페이스의 구성과 필연성에 대한 논의를 정립함으로서 확장된 경험을 유도하는 실제 환경에서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에 의한 환경으로의 인지 확대, 이 조건들로 인한 환경으로의 몰입을 위한 가상을 현실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환경인터페이스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