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Scenography of the Musical 『All Shook Up』 - Focusing on the Design Construction Process and Performance Application Cases -

뮤지컬 『All Shook Up』의 연출적 시노그래피 연구 - 디자인 구축 과정과 공연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 Park, Geun-Hyung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Graduate School of Image and Contents, Dongguk University) ;
  • Cho, Joon-Hui (Division of Theatre, College of Arts, Dongguk University)
  • 박근형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공연예술학과) ;
  • 조준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연극학부)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lements and meanings of the performative scenography which has been revealed through the new directorial interpretation and deconstruction process of the musical 『All Shook Up』. The performative scenography characteristics after postmodernism aim to create individual active perceptions and various social meanings through audience's voluntary and particular emergence. To this e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cenography was examined by periods in advance. Based on this, I attempted to establish performative scenography for synthesized scenic and media design through the reconstruction process for the 『All Shook Up Travelers』. As a result, I set up visual narrative based world of 『All Shook Up Travelers』 which was produced by text-based intense images for a direct medium in order to expand actors' inner narrative and established unique performative scenography of its own: 1. enhancing the adapted one's narratives for the actors' and audience's co-existence and detachment, 2. delivering its own independent meanings which have double meanings, 3. encouraging audience's critical and active perception experiences through collage and montage of media.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뮤지컬 『All Shook Up』의 새로운 연출적 해석과 해체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수행적 시노그래피의 요소와 그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드러나는 수행적 특성은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개개인의 능동적인 지각과, 다양한 사회적 의미 창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시노그래피의 이론적 토대를 시대별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All Shook Up Travelers』의 수행적 공간 구축을 위한 재구성 과정에서 시노그래피 구성요소 중 무대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비주얼 내러티브 기반의 세계관 구축을 통해 텍스트를 기반으로 제작한 강렬한 이미지를 배우의 내적서사 확장의 직접적인 매개체로 활용하여 시노그래피의 시각적 강렬함을 달성하였다. 그것들은 배우와 관객들과의 공존-분리를 노정한 극 내부서사의 강화, 양의성을 지닌 독자적인 의미전달, 관객들의 비판적인 사유, 능동적인 지각 등 공감각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in 2018 (NBF-2018S1A5A8031067)

References

  1. Dennis, K.(2011). The Oxford Companion to Theatre and Performance, USA Oxford University Press. p. 536.
  2. 파트리스 파비스, 1999, 연극학 사전, 서울: 현대미학사. p. 155.
  3. 김기란(2014). 현대 공연예술의 시노그라피(Scenography) 고찰 -아힘프라이어 <수궁가>를 통한 시각적 극작법 분석-, 드라마연구 제 42호. pp. 6-7.
  4. 아리스토텔레스. 2013, 시학(제2판), 서울: 문예출판사. p. 55.
  5. 아리스토텔레스. 2013, 시학(제2판), 서울: 문예출판사. p. 55.
  6. 아리스토텔레스. 2013, 시학(제2판), 서울: 문예출판사. p. 55.
  7. 이지혜(2016). 한태숙 연출작업의 특성 연구 -시노그래피(scenography)의 관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1.
  8. 진창주, 조준희(2018). 안톤 체홉<갈매기> 시노그래피 특성 연구 -무대 형상화 과정과 공연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9권, 제4호(통권88호). p. 421.
  9. Edwin, W. & Alvin, G. 2000, 세계 연극사, 한신문화사. pp. 467-468.
  10. Aronson, A.(2005). Looking into the abyss: Essay on scenography, Ann Arbu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 7.
  11. 이재민(2016). 공간무대의 미학-아돌프 아피아와 윌리엄 포사이어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 제50호, p. 3.
  12. 이재민(2016). 공간무대의 미학-아돌프 아피아와 윌리엄 포사이어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 제50호, pp. 4-6.
  13. 이재민(2016). 공간무대의 미학-아돌프 아피아와 윌리엄 포사이어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 제50호, pp. 4-6.
  14. Burian, J.(1971). The scenography of Josef Svoboda, Wesleyan University Press, p. 20.
  15. 채정화(2020). 자크 데리다의 상호텍스트성에 나타난 현대패션의 미적특성,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울, p. 11.
  16. 이지혜(2016). 한태숙 연출작업의 특성 연구 -시노그래피(scenography)의 관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지은 (2018). 제시적 연기를 활용한 뮤지컬 연기법,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8): 105-114.
  18. McKinney, J., & Philip, B.(2009). The Cambridge Introductionto Scen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
  19. 에리카 피셔-리히테, 2017, 수행성의 미학 -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미학, 문학과지성사, pp. 240-242.
  20. 박정화(2020).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p. 77.
  21. 박정화(2020).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pp. 65-70.
  22. 박정화(2020).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pp. 15-17.
  23. David, B., 2016, 통쾌한 희곡의 분석, 연극과 인간, p. 9.
  24. 이은혜(2019). 스티븐 손드하임의 뮤지컬 융합 양식을 향한 실험과 전략,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7): pp. 15-23
  25. 김강훈(2009).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의 관점에서 본 오스카 와일드의 살로메(Salome)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p. 8.
  26. 정승영(2008). 현대상업건축의 에로티시즘과 라캉의 욕망이론,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p. 9.
  27. 박경미(2010). 몽타주기법을 통한 도시이미지의 건축적 구성,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p. 77.
  28. AnyBand. Music Video. https://www.youtube.com/watch?v=dVbLxJ3dArU, 202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