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활용

Search Result 9,86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 Alternative Proposal of the 3D Spatial Data Construction & Utilization for Cityscape Planning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3D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제안 -GIS DB 및 위성영상의 이용을 중심으로-)

  • Choi, Bong-Moon;Lim, Young-Taek;Han, In-Gu;Cho, B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5
    • /
    • 2006
  • 본 연구는 도시계획 및 설계에 범용되는 그래픽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 방법과 신규 도시개발이나 도시경관계획에서 3D 공간정보를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 활용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기 구축된 GIS DB(수치지형도, 건축물 대장 등)와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도시경관계획에 필요한 3D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그렇게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으로 도시경관 측면에서 계획 및 개발 시나리오에 대한 컴퓨터 3D시뮬레이션을 통한 좀더 사실적이고 직접적인 경관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특히 3D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에 있어서 공간적 위계에 따라 광역적 차원, 도시적 차원, 지구차원에서 경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연구를 통해서 도시경관계획 등 다양한 공간계획 및 개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한 효율적이고 간편한 3D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Recognition of the Multipurpose Space Utilization in Middle School Cafeteria Space (중학교 식당의 다목적 공간 활용 인식 분석)

  • Yoon, Hong-Geun;Lee, Yong-Hwa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3
    • /
    • pp.46-53
    • /
    • 2018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chool dining spac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study activity space, student self-government space, student communication and community building, as well as to suggest ways to utilize them.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understanding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study of the school facility space,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lunch, th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 middle schools, 90 middle schools, and 65 non-cooking transportation middle schools in Jeollabuk - do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status and standards of the Cafeteria dining spa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re will be a follow-up study on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according to the usage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school dining space.

A Study on the us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tegration and Operation System in u-City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연구)

  • Kim, Eun-Hy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3-50
    • /
    • 2007
  • 최근 수요가 급증되고 있는 u-City의 경우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도시통합운영센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보다 확장시킨 개념인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u-City의 핵심기반으로서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 활용이 필요하다. 즉, 지자체에선 오래전부터 GIS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를 구축 활용하고 있다.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이는 u-City 추진의 핵심적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에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을 위해 u-City의 도시통합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간정보의 활용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ampus Spacial Information System using Spatial DBMS (공간DBMS를 활용한 캠퍼스공간정보 시스템)

  • Yi, Hyun-Jin;Jun, Chul-Min;Kim,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57-258
    • /
    • 2009
  • 캠퍼스의 공간은 대학을 이루는 주요한 물적 자원 이며,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공간사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른 공간정보시스템은 공간데이터와 속성데이터의 불일치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DBMS를 활용해서 캠퍼스 공간정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부산 연안공간 활용을 위한 부유식 건축물 설계에 관한 연구

  • Gang, Yeong-Hun;Lee, Han-Seok;Do,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7-118
    • /
    • 2016
  • 전세계 인구 및 경제생산의 약 50%가 연안에 거주하고 있으며, 연안육역에서 집중된 사람들의 생활공간이 사회적, 환경적 이유로 점차 수상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상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요구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수상에서 거주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상공간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설치되는 부유식 건축물을 활용하여 부산 연안공간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부유식 건축물의 특징, 적용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산 연안공간에 부유식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한 입지선정방법, 법제도 및 부유식 건축물 설계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가덕도 외양포 연안공간 개발에 관한 연구

  • Byeon, Seon-Hwa;Hong, Sun-Yeon;Sin, Ji-Won;Je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3-114
    • /
    • 2016
  • 일제강점기 부산의 연안공간은 경제, 사회적 시설이 집중되는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부산의 연안공간에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이 산재해 있다. 하지만 부산 연안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발굴과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역사문화자원이 사장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연안공간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 중 아직까지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가덕도 외양포 지역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연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보존활용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조사 및 가덕도 외양포의 역사문화적 현황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역사문화자원의 보존활용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의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연안공간개발계획을 제사하였다.

  • PDF

Analysis of Waterfront use by Usage type (유형별 수변공간 이용현황 분석)

  • Park, Ki Bum;Ahn, Seoung Seop;Cha, S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44-544
    • /
    • 2017
  • 국민경제가 성장하고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도심지내 수변공간은 도시의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으로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봉하 내성천의 은어축제등과 같이 지역의 축제 등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친수적 목적의 수변공간의 이용은 갈수록 증가되고 있으며 이용하는 시민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현재의 수변공간은 대부분 운동, 산책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요구에 맞추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현황, 만족도, 요구사항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유형별로는 도심지내 하천공간인 대구의 신천과 서울의 청계천 그리고 주변의 상권과 연계되어 활용되는 대구의 수성못, 축제공간으로 활용되는 봉화의 내성천에 대해 설문조사한 것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내용으로는 이동거리, 이용시간, 연령대, 선호시설, 요구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수변공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은 향후 시민들의 이용을 증대시킬수 있는 방향으로의 수변공간 조성에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search on 4S Technology for Sharing of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4S 기술에 대한 연구)

  • 오병우;주인학;이승용;김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29-831
    • /
    • 2001
  • 인류의 생활터전인 공간과 시간에 대한 정보화를 통해 수치지도, 위성영상 등의 공간정보 활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공간정보 처리 기술은 각각의 활용분야에 따라 제각기 발전하여 실제 업무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독립적인 분야별 발전은 한계에 다다르기 마련이어서 공간정보를 통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얻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를 처리하는 GIS, SIIS, GNSS, ITS의 단위 기술들을 통합하기 위한 4S 기술에 대해 언급하고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공동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및 4S 핵심 컴포넌트에 대해 살펴본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기술은 저장형식과 상관없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공간정보를 공동활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4S 핵심 컴포넌트 기술은 단위 기술별로 공통된 핵심 기능들을 정의하고 컴포넌트로 개발하는 것이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및 4S 핵심 컴포넌트 기술은 상이한 공간정보를 연계하는 응용 시스템 개발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요구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컴포넌트들을 조립식 블록처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PDF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Concept of Atlas - A Case Study of Land Cover Map - (아틀라스 개념을 적용한 공간정보서비스 방안 - 토지피복지도를 사례로 -)

  • Hong, Sang 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153-159
    • /
    • 2012
  • Recently, tthe general users' demand on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patial data such as land cover map are increasingly growing. But the lack of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the general public i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use 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s. In this study,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trategies based on the concept of atlas, which is familiar to us through the student atlas, were proposed to promote the public users' utilization of land cover map. For this purpose, I reviewed current domestic status and overseas cases of land cover map service and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land cover map in terms of contents, users, and system. Finally, I defined the basic concept,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Atlas Information System and recommended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s well as land cover map and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general public users' utiliza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An Application Method of Curvilinear Coordinate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River Network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의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

  • You, Ho Ju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5-195
    • /
    • 2019
  • 최근 센싱 기술과 정보화의 영향으로 하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점, 선, 면으로 구성된 자료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수집된 자료를 주제별로 관리하는 레이어 형식으로 저장하여 자료를 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최근에는 영상자료, 시계열자료 등 기존의 자료와 다른 비구조적 형태의 자료가 발생함에 따라 하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하천공간정보를 관계형 구조로 설계하고 있다. 하천의 경우, 각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고유의 값을 활용하여 인접한 하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천의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하천공간정보들을 관계성을 부여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성은 자료의 저장, 관리, 제공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기하학적인 고려가 없기 때문에 공간정보로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쉽게 설명하면, 1차원 점에 해당하는 공간좌표는 가장 가까운 하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관계성 부여가 가능하지만, 2차원 선과 3차원 면에 해당하는 도형을 대표하는 위치가 공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관계성을 부여하되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기하하적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하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천은 실제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직교좌표계를 활용하기 보다는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많은 수치해석 모형에서는 곡선좌표계를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도로나 교통 분야의 공간정보에서도 공간적 고려를 위해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흐름방향 거리를 S, 횡방향 거리를 N으로 설정하여 곡선좌표계를 정의하였으며, 직교좌표계와 곡선좌표계간의 좌표변환을 위해 이차원 변환방법인 투영변환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활용할 경우,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자료 간의 관계성을 유지하며, 기하하적 고려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