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집중정도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zing Thermal Variations on a Multi-core Processor (멀티코아 프로세서의 온도변화 분석)

  • Lee, Sang-Jeong;Yew, Pen-Ch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7 no.6
    • /
    • pp.57-67
    • /
    • 2010
  • This paper studies thermal characteristics of a mix of CPU-intensive and memory-intensive application workloads on a multi-core processor. Especially, we focus on thermal variations during program execution because thermal variations are more critical than average temperatures and their ranges for thermal management. New metrics are proposed to quantify such thermal variations for a workload. We study the thermal variations using SPEC CPU2006 benchmarks with varying cooling conditions and frequencies on an Intel Core 2 Duo processor. The results show that applications have distinct thermal variations characteristics. Such variations are affected by cooling conditions,operating frequencies and multiprogramming workload. Also, there are distinct spatial thermal variations between cores. Our new metrics and their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useful insight for future research on multi-core thermal management.

Interaction and Flow as the Antecedents of e-Learner Satisfaction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 Moon, Chul-Woo;Kim, Jae-Hyo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3
    • /
    • pp.63-72
    • /
    • 2011
  • Satisfactory e-learning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adult students is a truly dynamic and multidimensional process that reflects learning needs and abilities.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student-to-faculty interaction, student-to-student interaction, e-learning content and course structure, flow, periodic off-line class meetings and synchronous Q&A sessions.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adult graduate students. Some of them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s with the most interesting subjects or classes in their mind, and others with the most difficult subjects in their mind. The structural model for each group was tested. The values of path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group with the difficult subjects turn out to be higher for the following paths; a) interaction among professors and students and satisfaction, b) contents quality and flow, c) Q&A and interaction among professors and students, d) Q&A and interaction among students. For the other paths such as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satisfaction, contents structure and flow, the coefficien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group with the interesting subjects are higher. Some implications for e-learning design were provided as well.

  • PDF

Hydraulic Impact Analysis of Geum River with the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Boryong Dam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수리영향 분석)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9-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금강 본류의 농공용수 취수에 제한을 초래할 수 도 있는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하류 외해 방향으로 약 9km 지점에 위치한 금강 하구로부터 상류 방향으로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약 76km 지점에 위치한 공주시 반포면 검상동의 검상천 합류지점까지 총 85km에 이르는 구간에 대한 1차원 수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보령댐으로의 도수가 갈수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2015년 2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두수위표의 시간별 유량과 8개 지천의 유입 유량, 장항검조소의 시간별 조위, 농공용수 취수시설 취수량 및 회귀수, 금강 배수갑문 운영 등을 고려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고, 유황분석에 따른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을 추정하여 보령댐으로의 도수에 따라 금강 본류 내 주요 구간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서해안 조위에 따른 금강하굿둑 배수갑문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배수위 구간임을 감안하여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갈수기 예측 유량 추정 결과 2015년과 같은 가뭄이 지속될 경우, 2016년의 유황은 2015년 대비 21%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보령댐 도수 여부에 관계없이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령댐으로 도수를 실시할 경우, 도수시 금강호 최저 수위는 각각 EL(+)0.94m와 EL(+)0.72m로 모의되어 농업용수를 비롯한 기존 취수시설 뿐만 아니라 보령댐 도수시설의 운영에도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6년 갈수기 동안 과업 대상 구간인 금강 하류부의 유황은 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2월에는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을 유지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지만 3월 이후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면 농업용수 취수시설이 집중된 입포수위표 ~ 금강 하굿둑 사이 구간은 하천유지유량 이하로 유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Habitat characteristics of exotic fish in Korean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 내 외래어종의 분포특성)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2-512
    • /
    • 2016
  • 우리나라의 다양한 수계에서는 배스로 대표되는 외래어종의 유입에 따른 심각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외래어종은 활발한 먹이활동 및 영역다툼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종의 섭취 및 경쟁 우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많은 보도를 통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어종 중 배스(Large mouth bass)에 초점을 두고 동계 및 춘계의 서식처 특성을 살펴본다. 다양한 수계 중 갇혀있는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에 초점을 맞추고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현장조사 중 일부는 강과 같이 열린 서식처 공간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배스가 동면을 하지 않는 대신 수온에 큰 영향을 받으며 저수온기의 서식활동을 지속한다는 가정 하에 수온과 배스가 활동하는 영역의 상관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국내 4개 지점 이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수심 20 m 정도의 깊은 저수지에서부터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수가 유입되는 도시형 하천까지 포함한다. 이 중 수심 20 m 정도의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7회 이상의 정밀 조사를 수행하여 수심별, 수온별 배스의 서식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집중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배스는 $1-2^{\circ}C$의 수온차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서식처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온의 평면적 분포는 서식처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온 안정기인 동계의 경우는 수온 종분포에 따라 군락을 형성하며 서식층을 결정한다는 점도 유추된다. 4월 중순 이후의 춘계는 배스의 산란기로 종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 이후 하계에는 다시 부화한 개체가 독립적으로 서식처를 이동하는 또다른 종확산의 시기이다. 따라서 계절별에 따른 보다 면밀하고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4계절 순환에 따른 배스의 서식 특성 변화를 조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in Inclined Flat Plate Enclosures (경사진 평판형 밀폐 공간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의 수치 해석)

  • Kim, Yong Hyun;Koh, Hak Kyun;Noh, Sang Ha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0 no.1
    • /
    • pp.24-38
    • /
    • 1985
  •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 마주 보는 두 벽면의 온도 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연 대류 현상은 여러 공학 분야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열전달 현상으로서, 최근 들어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를 설계하려는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의 경우 덮개판으로 부터의 대류 열손실을 감소시킴으로서 집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소형 집열기를 제작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될 것이다. 밀폐된 공간에서 최초에 정지 상태에 있는 얇은 유체층을 하부에서 가열시켜 주면 열팽창 현상이 일어나고, 이것에 의한 부력이 점도나 열전도도 등의 안정화 요인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커지면 System이 불안정하게 되어 자연 대류 현상이 수반되며 이 때문에 열전달율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지배 방정식은 연립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특수한 경계 조건외에는 일반적으로 해석적 해를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험적 연구가 많이 실시되어 왔고 이들 결과의 대부분은 전반적인 열전달 특성치만을 구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해석법의 하나인 유한 차분법을 도입하여 이차원으로 가정한 경사진 평판형 밀폐 공간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의 지배 방정식을 유한 차분화시켜, $$2.74{\times}10^3\leq_-Gr\leq_-2.0{\times}10^6$$, Pr=0.73, $$15^{\circ}\leq_-a\leq_-150^{\circ}$$, 종횡비는 1, 2, 3, 5, 9에 대하여 정상 상태에서의 해를 구하면서 수치적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석적으로 구하기 어려운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 자연대류현상의 지배 방정식을 유한 차분법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대류항과 확산항을 따로 고려한 유한차분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2) 저온과 고온 벽면에서의 온도를 각각 균일하게 놓고 단변으로 이루어진 벽면은 완전히 절연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를 구한결과, 이전의 해석적 및 실험적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온도 및 유선의 변화를 현상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3) 평균 열전달 계수에 미치는 경사각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종횡비가 1 인 경우 경사각이 $45^{\circ}$에서, 종횡비가 2, 3, 5, 9인 경우 경사각이 $60^{\circ}$에서 각각 평균 열전달 계수 최대치가 나타났다. (4) Ra수(Rayleigh number) 가 증가될수록, 경사각에 상관없이 평균 열전달 계수도 증가되었다. 한편 Ra수 및 경사각의 변화에 따라 종횡비가 증가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경사각이 $90^{\circ}$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 경사각이 $90^{\circ}$인 경우, 평균 열전달 계수는 종횡비가 2 인 곳에서 최대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종횡비가 계속 증가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점차 감소되어짐을 볼 수 있었다.

  • PDF

Pattern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Using a Weighted Mean Center (가중공간중심을 활용한 한국 남동해역의 표층수온 분포 패턴 분석)

  • KIM, Bum-Kyu;YOON, Hong-Joo;KIM, Tae-Hoon;CHOI,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3
    • /
    • pp.263-274
    • /
    • 2020
  •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a cold water mass is formed intensively in summer every year, causing frequent abnormal sea condi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is area, ocean fields buoy data observed at Gori and Jeongja and re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SST) data from GHRSST Level 4 were used from June to September 2018. The buoy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time-series water temperature changes at two stations, and the GHRSST data were used to calculate the daily SST variance and weighted mean center(WMC) across the study area. When the buoy's water temperature was lowered, the variance of SST in the study area trend to increase, but it did not appear consistently for the entire period. This is because GHRSST is a reanalysis data that does not reflect sensitive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long the coast. As such, there is a limit to grasping the local small-scale water temperature change in the coast or detecting the location and extent of the cold water zone only by the statistical variance representing the SST change in the entire sea area. Therefore, as a result of using WMC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spatial location of the cold water mass, when the cold water zone occurred, WMC was located in the northwest sea area from the mean center(MC) of the study area.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identify where and to what extent the distribution of cold surface water temperature appears through SST's WMC location information, and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WMC's use in detecting the scale of cold water zones and the extent of regional spread in the future.

Analysis of the Change in Density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Restrictions Conflict Prediction in Pyeongchang (개발 밀도의 변화 분석과 환경규제 갈등 예측 -평창을 사례로-)

  • Bae, Sun-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2
    • /
    • pp.282-291
    • /
    • 2009
  • This research predicts the spatial discord which relates with a restriction using 1915 and 2005 spatial data. In this research, difference of relative spatial density is measured and predicted the discord which relates with an environmental restriction in Pyeongchang. First, research area Pyeonchang's relative crowding degree of the building was strengthened from 1915 to 2005. When classifies a change type, formed the strong hold with new regulation and grew types and at the strong hold where contiguous concentration is progress types, general the influence weakening types and the change almost nil types. The next is the result which analyzes the long and short terms discord for the environmental restriction which is forecast from the research area. That is forecast with the fact that the discord between of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will be big with long and short terms in Jinbu-Myeon, Pyeongchang-Eup city center angles and 31 national road circumferences. And in Daegwanryeong-Myeon the discord is big short-term but with the fact that the discord will be weakened long-term. Bangrim-Myeon, now the discord is weak but the discord will be strengthened long-term. This result could be applied with fundamental data for weakening the spatial discord of the area.

  • PDF

Analysis for Dispersal and Spatial Pattern of Metcalfa pruinosa (Hemiptera: Flatidae) in Southern Sweet Persimmon Orchard (남부지방 단감원에서 미국선녀벌레의 분산 및 공간분포 분석)

  • Park, Bueyong;Kim, Min-Jung;Lee, Sang-Ku;Kim, Gil-Hah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8 no.4
    • /
    • pp.291-297
    • /
    • 2019
  • Since Metcalfa pruinosa was first reported in Koera, it has continually caused damage to sweet persimmon orchard in southern part of Korea. Metcafa pruinosa exist not only in farmland but also in forest areas, and are difficult to control due to the influx of individuals from near forest. M. pruinosa has been occurred in orchard and its surroundings because of various host range. Thus, it has been difficult to decide spatial range and control time for efficient management. In this study, occurrence and dispersal pattern of M. pruinosa in persimmon orchard were surveyed using clear sticky traps, and spatial patterns were analyzed with SADIE(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t sticky traps. Spatial association between survey time was also analyzed to identify when the spatial pattern changed. In sweet persimmon orchard, M. pruinosa mainly dispersed in mid to late May, when the first instar hatches, and in August, emerging season of adult. The first instar nymphs hatched in mid-May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orchard, but distribution was changed to aggregative pattern after dispersed surroundings of orchard. Adults showed random distribution pattern after immigration to orchard again. These tendency was also observed in density change at orchard and its surroundings, and matched to actual density of M. pruinosa in sweet persimmon trees.

Travel Disparity among the Elderly in Seoul during the COVID -19 Pandemic Period: Differences in Destination Diversificat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and Spatial Factors - (COVID-19 대유행기에 나타난 서울시 고령층의 통행격차 - 사회경제적 요인과 공간적 요인에 따른 목적지 다변화의 차이를 중심으로-)

  • Lee, Jaegeon;Sohn, Jungyul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7 no.4
    • /
    • pp.75-93
    • /
    • 2021
  • By defining a travel disparity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ravelers diversify their destinations, this paper examines how socioeconomic and spatial factors affect the travel disparity among the elderly in Seoul. This paper uses the COVID-19 pandemic as a natural experiment which can bring about different behavioral responses among the older travelers. Using the smart card data, we compare the destination diversification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In the early morning(4:30-9:00), the degree of destination diversification varies between the core and the periphery and this trend persists through the pandemic. In the late morning(9:00-12:00), a new trend of disparity appeared after the pandemic. Although those who hol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nd live closer to the core have a larger range of choices for destinations, the difference of range did not lead to differences in diversification before the pandemic, due to the discretionary nature of the elderly's trip. In contrast, as the elderly were forced to search alternative destinations right after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the range of choices became an important factor causing observable differences in destination diversific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vel disparity observed during the pandemic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ange of choices by socioeconomic and spatial factors.

Analysis of Regional Income Outflows through Comparing GRDP and GRNI (지역내총생산과 지역총소득 비교를 통한 소득의 역외 유출 분석)

  • Jeong, Jae-j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21-334
    • /
    • 2018
  •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ause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in the country and one of main factors is outflow of regional income or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production runoff by comparing GRDP and GRNI in basic local governments level. In this study, GRNI of basic local governments are estimated by local income tax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RNI is more concentrated than GRDP. The analysis of Moran I showed tha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GRNI is more distinct than that of GRDP. Local Moran I analysis shows that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are more apparent in GRNI than GRDP. Secondly, the outflows of GRDP into a small number of regions are apparent. In about 80% of basic local governments, the net outflows of GRDP occur. The large net outflow regions are cities where manufacturing industry has developed and in the 20 lowest net outflow rate regions, 70-80% of GRDP outflows. The large net inflow regions are metropolitan area in Seoul and large local cities. Seocho-gu, Yongsan-gu, and Gangnam-gu in Seoul have a large net inflows and net inflow rates are over 90% of GR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