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환경개선

Search Result 1,3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Need Survey of Home Modification on Outpatient with Stroke and Spinal Cord Injury in Rehabilitation Center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추손상 외래환자들의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 조사)

  • Lim, Kyung-Min;Lee, Yu-N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8
    • /
    • pp.324-33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of home modification for outpatient with stroke and spinal cord inju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 outpatients who have experience in rehabilitation therapy at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m January 2th to February 4th, 2012. Descriptive statistics and $x^2$-test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irs of access, in width of front door, in bathroom, space of room according diagno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 of sensor, tissue holder and socket cover in bathroom for the comparison of demands for home modification by living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idth and threshold of front door, tissue holder and towel bar, nonslip floor in bathroom, space and table, chair of kitchen, space and threshold of porch, light for the comparison of demands for home modification according score of MBI.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needs of home modification is different according disability level, diagnosis, living type, AD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 need for the further occupational therapy of home modification and supporting policies in home modification.

Evaluating Rebuilding Priority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Spatial Weighting: A Case Study on Shinchun-Dong of Daegu Metropolitan City (공간 가중치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지역 우선순위평가: 대구광역시 신천동을 사례로)

  • Son, Seung-Hooi;Park, Ki-Heon;Um, Jung-Sup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6
    • /
    • pp.961-980
    • /
    • 2008
  • It is usual to prioritize the blocks to rearrange residential environment by the responsible officer's intuition or a few specialist's experienced knowledg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rebuilding priority in the context of spatially weighted framework integrating resident's view. The spatial weighting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evaluation of dwelling environment was derived from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through the analysis of resident's view. An empirical study for a case study site has been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for the spatial weighting. The spatial weighting has frequently influenced in changing the rebuilding priority and was identified as the important predictor for the improvement sites of dwelling environment. The spatially weighted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rebuilding priority area subject to many different type of thematic variables,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The spatially weighting derived by integrating various formats of spatial data into a comprehensive GIS database in particular, was ideally suited to displaying the objective distribution patterns for rebuilding prio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dealing with public complaints for rebuilding priority since it could provide objective evidences in accordance with spatial weighting.

The Improvement for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의 지형공간정보 서비스의 활용성 개선)

  • Chang, Hoon;Jeon, Hyung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45-52
    • /
    • 2013
  • EIASS(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provided the various updated quality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data and the assessment reports through database system to support cost effective and stable services. Through this system users can access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information and have great convenience in their relevant works. This study introduces geo-spatial information usages in EIASS and how this system developed the use of convenience and expansion of service ranges by user surveys.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step-wise delivery and links on one-stop database inventory for data collection, manipulation, and usages of geo-spatial information amo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based on USN for Improving Comfort in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의 쾌적도 향상을 위한 USN 기반의 환경제어시스템 구현)

  • Ryu, Jae-Bok;Kwon, Sook-Youn;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92-1295
    • /
    • 2012
  • 인구 과밀화 및 급격한 도시 팽창은 지상공간에서 거주하는 인간 삶의 질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지상공간의 개발을 억제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도시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하 공간을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자연환경으로부터 격리된 구조인 지하공간은 지상공간에 비해 실내 공기 질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운 밀폐된 환경이므로 오랜 시간동안 상주하는 거주자 및 한시적 이용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습도, $CO_2$, 먼지 등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의 쾌적도 향상을 위해 온 습도 및 $CO_2$, 먼지센서를 이용한 통합 센서를 제작하여 현재 지하공간의 환경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실내공간의 쾌적 지표를 기반으로 환풍기, 송풍기 등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USN 기반의 환경제어시스템을 구현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지하공간의 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계측 장비로 인한 비용 절감 및 이동성과 확장성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한다.

A Case Study on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Waiting Space in Children's Hospital (어린이전문병원 진료대기공간의 치유환경에 대한 분석)

  • Kang, xiao-meng;Kim, Ch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5-466
    • /
    • 2017
  • 중국 어린이병원의 환경개선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병원공간의 치유환경 요소를 도출하고, 베이징과 부산의 어린이병원 3개원씩 어린이 전문병원 외래진료 대기공간의 치유환경 현황을 사례조사 하였다.

  • PDF

The Study of Environment Improvement Flow with Revision of River Law (하천법 개정에 따른 환경개선용수의 활용방안 연구)

  • Kim, Gee-Hyoung;Lee, Dong-Ryul;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24-428
    • /
    • 2008
  • 경제개발에 따른 현실적인 하천의 모습은 각종 오염원으로 인한 수질악화와 산업화 및 도시화에 의한 물순환시스템의 붕괴로 인한 하천 생태계의 파괴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훼손된 하천을 친자연적으로 보존하고 더 나아가 하천을 자연생태계와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2006년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자연환경보존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유량확보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중 생활환경개선에 필요한 물은 청계천의 사례처럼 최근 들어 하천 및 수변생태계 복원, 보전 사업과 연계된 거주성(Amenity)차원의 새로운 용수수요로써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경개선용수는 인위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환경개선용수를 필요로 하는 구간의 상 하류의 자연적인 물순환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하천수 사용에 대한 수리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환경개선용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를 공급하는 공급원 지점과 환경개선용수를 사용하는 구간을 중심으로 상세한 물수지분석을 통해 기존의 수리권에 대한 영향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새로운 수요인 환경개선용수는 하천의 일부 구간 또는 일부 지역에 대해 거주성(Amenity) 차원에서 사회환경을 개선 정비하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수혜자의 요구에 의해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용수인 것이다. 따라서 국가가 산정하는 하천유지유량과 달리 환경개선 용수는 수혜자가 직접 산정하여야 하며, 산정된 환경개선용수는 하천관리자(국가)로부터 사용허가를 받아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 Residents Survey i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장기공공임대주택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방향 설정연구)

  • Lee, Ji-Eun;Yoon, Young-Ho;Kim, Yu-Jeo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4 no.1
    • /
    • pp.65-75
    • /
    • 2013
  •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and deteriorated public rental housing has been improved for preventing house deterioration through the facility improvement projects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ffect of applied facility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a survey to residents on the significance degree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Moreover, this study aims to draw out the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t first, for this purpose, a survey to the residents of old and deteriorated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country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mean valu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degree and significance degree was done, and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istinction between types of items. As a result, 29 items of residential public spa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were divided into six factors and 28 items for generation of each units were divided into four factors. The mean value of the satisfaction degree and significance degree was compared. In conclusion, the design direction of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in the future was suggested with the result of the survey.

Bias Correction of AMSR2 Soil Moisture Data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ethod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AMSR2 토양수분의 정량적 개선)

  • Kim, Myojeong;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14-514
    • /
    • 2015
  • 홍수 예측의 개선에 있어 정확한 공간 토양수분 정보는 필수적이다. 위성관측을 활용한 토양수분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적 토양수분 상태와 정량적 차이가 크므로 편이보정을 통한 정량적 개선과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에서 관측한 AMSR2 토양수분과 지상관측 토양수분자료 및 다중회귀모형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자료를 정량적로 개선하였다. 공간 해상도가 10 km인 AMSR2 토양수분을 1 km로 상세화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자료와 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서 제공하는 강우관측소 556개 지점에서 관측한 강우자료, 후처리한 MODIS LST 자료, 증발산량 및 식생지수를 사용하였다. 2012년 7월부터 2013년까지 기상청 농업기상관측관서에서 관측하는 지점 중 사용 가능한 6개 토양수분관측소 자료에 대해 토양군별회귀계수를 산정하였다. 토양군별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편이보정한 토양수분자료는 전반적으로 과소추정되는 AMSR2 토양수분의 단점을 개선하여 위성관측 토양수분자료의 활용성을 개선하였다(Fig. 1).

  • PDF

Study for Increasing Instream Flow and A Role of Dam - Songriwon Dam (하천유지용수 증대방안과 댐의 역할 - 송리원댐)

  • Kim, Jong-Gae;Kim, M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19-2023
    • /
    • 2007
  • 그동안 우리나라의 하천관리는 홍수피해 경감과 용수공급이라는 단순한 이 치수 위주로 관리해 왔다. 수자원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 이후 상류 지역에 다목적댐들이 건설되었으며, 이러한 하천관리는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압축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생활이 윤택해지고, 또한 환경의식이 향상됨에 따라 하천관리도 이제까지의 이 치수 위주에서 벗어나 하천 고유의 생태계 보존과 휴식 친수공간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친수성과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유역 상류의 댐에서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 분석하였다. 댐은 홍수시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줄이는 역할 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이 악화되는 갈수기에 수질 개선용 물을 흘러 보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질을 개선하고 자연상태의 친수공간을 만들 수 있다. 오염되고, 건천화된 하천의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상류 댐에서 하천유지용수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사료되며, 댐의 계획 운영 등에 대하여는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