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행태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2초

전문도서관 Best Practice - LG상남도서관 영어논문 지원 서비스

  • 한혜연
    • KSLA Bulletin
    • /
    • 통권3호
    • /
    • pp.15-18
    • /
    • 2011
  • 과학기술이 현격하게 변화한 것만큼 웹 공간에서의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및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정보이용 행태도 빠르게 변화하여 왔다. LG상남도서관의 LG ELIT(http://www.lg.or.kr)는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을 위한 과학기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과학기술 연구자가 원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해왔다. 이 사례 소개에서는 영어논문 튜토리얼 및 영어논문 감수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서비스 준비 과정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적 가치와 평가모델에 의한 디자인요소 추출 (Environmenal Design Value of Underground Space & Design Factor by Evaluation Model)

  • 최병오;채완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7-126
    • /
    • 1998
  • 도시공간 활용의 효율화를 통한 도시문제의 해결과 지상개발 억제를 통한 도시경관 및 환경보존의 측면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지하공간은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지상 부 도시기능을 지하에 배치함으로써 도시의 서비스, 어메니티, 안정성 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도시공간 구조의 구축을 통하여 교통, 도심 복잡화, 토지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소극적이고 단편적인 개발에 국한되어 있는 현시점에서는 극히 부정적인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필요성에 당면하게 되었다. 이에 지상공간의 공급한계와 이에 따른 지가상승의 문제와 함께 지상환경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지하공간의 개발은 도시변화의 예측을 수반하여 입체적 구성을 위한 장기적인 계힉을 수반하여 입체적 구성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 가치를 지하공간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검증하고, 환경설계 평가에서 다루어지는 기능적 인자, 기술적 인자, 행태 적 인자를 통해 평가모델을 설정함으로써 지하공간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 PDF

공동주택의 개성화.차별화를 위한 여유실 확보 계획 기법 (Unit Planning Methods of Apartment with Extra Rooms for enhancing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ies)

  • 여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32-841
    • /
    • 2007
  • 현대인의 다양한 삶, 다원화된 욕구, 개성적인 삶의 추구 등은 주택수요의 다원화로 나타나고 주택 수요자의 소득 및 생활수준의 향상, 소비 행태의 고급화와 새로운 주거공간에의 요구 등은 과거와 같은 표준적인 평면형으로부터 보다 개성적이고 다양한 주거공간에 대한 창출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원화 개성화된 주택 수요자층에 대한 인식을 배경으로 여유있는 생활을 위하여 부가된 여분의 공간임과 동시에 다른 집과 차별화되고 자신만의 개성 창출이 가능한 공간으로서 수요자의 개별적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여유실(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계획 기법을 다양한 사례 조사를 통해 분석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여유실 확보 계획 기법으로는 1)거실-침실 부분 평면선택의 활용, 2)부부 전용공간 평면선택형의 활용, 3)전이공간의 삽입과 여분 공간의 활용, 4)주방과 인접한 주부 전용공간의 삽입, 5)발코니 공간의 적극적 활용 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계획 기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해 주는 것에도 주력하고자 하였다.

  • PDF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Disabled' Use Behavior and Needs towards the Library Space)

  • 배경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5-42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장애인이 실제로 도서관 공간에서 느끼는 경험은 어떤지를 고찰하고, 장애인이 원하는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시각 청각 지체 장애인 각 5명씩 총 15명의 피실험자를 선정하여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공간에서의 장애인 이용자 경험은 장애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서관 직원 및 비장애인의 잘못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도서관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장애유형별로 매우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였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서비스 공간에 대해서는 현재의 도서관 공간수준을 유지할 경우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의정부 역전 근린공원 설계 (Neighborhood Park Design for Railroad Station in Uijeongbu City)

  • 권진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4-74
    • /
    • 2010
  • 본 연구는 의정부역과 연접한 캠프 홀링워터 미군공여지의 이전과 관련하여 대상지에 의정부시 도심지의 특성을 고려하고, 환경요구에 대한 적절한 기능을 수용하며, 독창적인 경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심형 공원 현상설계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계획을 위한 사고의 바탕은 대상지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광장과 공원을 합리적으로 융합하고, 역세권지역에 입지한 공원이 갖추어야 할 도시적 맥락을 반영하고 환경 친화적 공간의 실현방안들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도심형 광장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현대도시공원의 경향과 관련한 계획적 특이사항 및 미래에 대한 공원의 적응 방법들을 파악하여 계획의 내용에 반영하였다. 공간 운용을 위한 특이사항으로는 계획되어진 프로그램에 의하여 공간을 체험하기보다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환경과 연계된 이용자들의 자발적 행동에 의하여 공간의 특성이 만들어지도록 디자인의 차별성을 검토하여 적용하였는데 계획상에 나타난 설계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과 특정 공간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광장의 형태를 벗어나, 도시의 구조적 맥락과 이용행태를 수용할 수 있는 비움의 공간으로 조성하여 변화하고 성장하는 도시생태에 적합한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이러한 오픈스페이스들은 도시의 성장에 대처할 수 있는 지속적인 맥락을 가지며, 이용행태의 변화와 시간적 추이에 따른 자생적 프로세스를 가지며 유지될 것이다. 둘째, 공원과 도시 그리고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은 현대의 도시환경 속에서 공존하고 상호 교감하며 네트워킹 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공원은 도시 내에 격리된 하나의 녹지 섬이 아니라 인접한 상업시설, 공공시설, 주거단지들의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는 열린 공간이 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터를 마련하고 있다. 셋째, 탄소저감과 함께 제로시티의 바탕이 되는 환경 친화적인 공간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계획과 함께 흥미로운 체험디자인 방법들을 반영함으로써 직 간접적인 생활 교육의 효과를 유도하도록 계획하였다.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를 이용한 다단계 및 다목적 도시 공원 배분에 관한 연구 (MULTI-STAGE AND MULTI-OBJECTIVE ALLICATION PROCEDURES OF URBAN PARKS USING LOC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 이외희;더글라스존스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9-9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를 도시 시설중의 하나인 공원배분계획에 이용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는 공원 배분 계획의 결점을 보완하는데 있다. 두 가지 요소 즉 이용자 행태 및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정책이 공원 배분계획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과 형평성을 중심으로 공원배분계획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가 이용되었는데, 이는 많은 양의 데이터나 계산을 물론 가중치, 계획 기준 등 변수를 변화시켜 봄으로서 여러 가지 대안을 쉽게 평가할 수 있어 공원배분계획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도시 공원을 위한 GIS 응용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의 유용성은 원형 연구를 통해 살펴 보았다. 원형은 여러 가지 유형중 도시 근린공원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을 모사한 것이다. 원형연구에서 UPLDSS의 모델들이 다단계 및 다목적 계획을 잘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UPLDSS는 계획가가 계획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시나리오를 만들어 그에 따른 대안을 구축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을 특히 계획가가 여러 가지 대안 중 어느 대안이 우수한지 쉽게 평가하기 어려울 때 계획가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다른 위계의 공원 계획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물론 다른 도시 시설물의 배치에도 이용될 수 있다.

  • PDF

공공도서관의 IC 적용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Public Library: Focus on the Physical Space of Neutinamu Library)

  • 남태우;류반디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23-39
    • /
    • 2012
  • 본 연구는 현대 정보화 시대에서 우려되는 디지털격차를 해결하는 대안이 IC(Information Commons)이며, IC의 가치가 OA(Open Acess)와 민주주의의 필수요소에 있다는 전제로 진행되었다. 그러한 가치 실현의 기반이 되는 물리적 공간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6개로 구분하였고, 6개 IC공간의 이용행태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공공도서관의 IC 적용 시 고려할 부분을 제안하였다.

중국 이주민 거주지역 내 시장공간의 문화경관해석 - 서울시 대림동 중앙시장을 대상으로 - (Cultural Landscape Analysis of Market Space in Chinatown - A Case Study of the 'Chung-Ang Market of Dairimdong' -)

  • 천현진;이준;강용;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3-87
    • /
    • 2012
  • 국내에 중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중국 이주민 거주지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이주민 거주지역은 도시내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할 뿐 아니라 도시경관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이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이주민 거주지 내의 시장공간을 대상으로 문화경관을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 중국 이주민 거주지내의 중앙시장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참여관찰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인 상인들은 보행자 도로에 탄즈나 상품더미와 같은 개인의 물건을 놓고 거기서 상행위를 하고 있으며, 큰 규모의 차양을 설치하여 보행자 도로를 완전 점유함으로써 보행자 도로를 가게의 내부공간으로 변형시켰다. 또한 보행자 도로를 이용하는 행인들은 차량용 도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어 차량용 도로가 자동차만의 공간일 뿐 아니라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변형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원상태의 공간분류인 건물 - 보행자 도로 - 차량용 도로에서 건물 - 보도 및 탄즈 겸용공간 - 차도 및 보도의 겸용공간으로 변형되었다. 중국인 거주자에 의해서 중앙시장의 공간의 이용행태는 원상태의 공간의 이용행태하고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공간 구분에서도 기존의 공간구분과는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에 대하여 중국 이주자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살펴보면 먼저 중앙시장에서 상행위를 하는 중국상인은 가게공간에서 탄즈와 같은 중국식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이용하기가 편리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앙시장을 이용하는 중국인 고객은 중앙시장을 중국의 음식이나 일상용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중앙시장의 경관이 중국현지 경관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이 공간을 친근하고 익숙한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앙시장은 중국인이 중심이 되는 소비의 공간이자 한국 안에 위치하는 작은 중국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이나타운의 건설 시 중국인 거주자의 입장에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참여관찰법을 통한 연구는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조경분야에서도 정보를 수집하는데 방법론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동주택단지 담장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설치 가능성 연구 (Pedestrian Road at the Wall Space between Old Apartment Sites)

  • 장희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94-505
    • /
    • 2014
  • 공동주택단지에는 주민편익과 안전을 위해 단지 중심을 관통하는 보행자전용도로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거에 조성된 단지들은 단지 사이가 담장으로 막혀 있고 보행자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편익시설이용과 안전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주민들은 담장 주변의 공간을 비공식적인 보행로로 이용하거나 담장을 일부 철거하고 통행문을 만들어 대처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 건설된 택지개발지구에서는 단지 사이에 보행자전용도로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주민행태와 최근의 계획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에 조성된 아파트 단지 사이의 담장을 철거하고 담장과 담장 주변의 녹지에 보행자도로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착안하였다. 1990년대에 조성된 광주광역시 첨단지구의 저층 아파트 단지를 사례 대상지로 선택하여 담장과 담장 주변을 실측하여 보행자도로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아파트 담장 주변의 공간은 최소 2.4m에서 최대 8m까지 공간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공간에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담장 공간에 보행자도로 개설을 위한 공간확보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한정되었고, 보행자도로 설치로 인해 피해를 볼 수도 있는 주민의 의견을 파악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가상공간에서 활용되는 온톨로지 기반 지능형 자율주행 에이전트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Behavioral Agent based on Ontology Used in Virtual Space)

  • 이윤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77-784
    • /
    • 2017
  • 사용자의 행위는 건축물의 질을 규정하는 가중 중요한 기준중의 하나다. 일반적으로 건축공간에서의 사용자 행위에 대한 평가는 건물이 완성된 이후에 이루어 졌으며 최근 전산기술을 통한 사전 시뮬레이션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사용자 시뮬레이션은 주로 대규모 공간의 단순한 탈출 등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어 건축 공간상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용자의 행태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보다 고도화된 사용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람형상의 지능형 에이전트의 개발은 위한 연구로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NPC의 지능화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온톨로지를 통하여 구현된 공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추론하여 NPC(Non-player Character)가 가상공간 상에서 보다 지능적으로 자율주행 및 행동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 추론을 기술을 가상공간에 접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공간정보 상에서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기술된 정보와 이의 변화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톨로지 가시화 기술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