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통합 모델

Search Result 3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odelling Spatial Patterns of Power Law: Agent-based Model (거듭제곱 법칙의 공간패턴 모델링: 행위자기반모형)

  • Yang, Jung-Hun;Jo, H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5-276
    • /
    • 2009
  • 공간 변화의 동적과정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이론과 모델들은 대, 중, 소규모에 따라 system of cities, city system, cities 로 나눌 수 있으며, 지난 40년 동안 이 각각의 규모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각 규모를 통합하여 도시를 설명하는 이론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거듭제곱 법칙을 기반으로 한 행위자기반모형을 이용하여 모든 규모에서 설명이 가능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거듭제곱 법칙이 공간패턴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 PDF

Promotion plan of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project in the basin unit for improving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유역단위의 물 안심공간 사업 추진방안)

  • Min Woo Lee;Sang Whoing Lee;Jin W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3-253
    • /
    • 2023
  • 유역의 수량, 수질, 수생태, 지하수, 하천환경, 기후변화, 오염원, 하천 친수공간, 농업경작지 등 수자원 관점의 물순환의 범위를 넘어서 환경, 기후변화 적응, 경제성,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 통합적인 유역의 물관리 이슈와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물순환 관리의 개념은 국토개발과 도시화에 따라 파생된 물순환 왜곡 및 그에 따른 제반 물문제(홍수량 증가에 따른 침수피해, 직접 유출량 증가에 따른 가용 수자원의 감소 등)의 해결을 위한 물관리 행위 전체로 볼 수 있다. 물순환 관리의 범위는 홍수량 감소를 위한 홍수관리, 가용 수자원의 증대를 위한 물 확보 등 물관리 전반을 포함해야 한다. 기존의 물순환 사업은 비점오염 관리에 중점을 두고 LID를 활용한 빗물 침투율 증대와 빗물 재이용 등의 관련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물순환 체계 전반을 다루고 있지 못하고 수질 개선에그 효과가 집중되었다. 따라서, 수량·수질·수생태·재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물순환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개별적이고 시설물 중심인 기존 대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물관리 관점의 물순환 건전성을 기반으로 유역의 안심공간 조성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전반을 연계한 통합적인 물관리를 통하여 물 안심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토대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통합물관리 관점의 물순환 관련 데이터 수집, 유역별 물순환 수준의 진단 및 평가를 통하여 시범사업 모델을 마련하고, 사업에 따른 효과분석을 기반으로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을 통한 실행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 Study on PPGIS Integration Model for the promotion of G2C Interaction (정부와 국민간(G2C) 상호작용 제고를 위한 PPGIS 통합 모델에 관한 연구)

  • Shin, Dong-Bin;Park, Si-Yo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63-368
    • /
    • 2007
  • 인터넷의 빠른 확산과 정보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로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매체를 이용하여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작 등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이를 공유하는 양상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국가계획수립 부문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계획 주체와 국민간의 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해 등장한 개방형 계획패러다임과 맞물려 다양한 분야에서 PPGIS(Public Participation GIS)를 구현하기 위한 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국가 주도의 단방향적인 참여기회 제공으로 단순한 의견수렴 수준에 머물고 있어 국민의 의견과 수요가 충분히 계획에 반영되지 못하며, 특정 계획분야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제공수단과 참여대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리정보를 활용한 국민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이러한 결과가 GIS 활용분야 의사결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국가차원의 기반 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보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지리정보를 수단으로 자유롭게 의사를 개진하고, 정부가 이를 반영하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통합형 PPGIS 모델을 통한 G2C 상호작용 제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bject Model for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tructural Design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건물 구조 통합 구조설계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설계 객체 모델)

  • 천진호;박연수;이병해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3 no.1
    • /
    • pp.115-12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Object Model for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structural design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This study outlines the step-by-step development methodologies of the Design Object Model, which covers classification and modeling of the building design information. The Design Object Model has been efficiently developed through the proposed development methodologies. As a result, the Design Object Model has been proved to be efficient in design information management by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from planning perspective, in recognition of structural member in space by the topology design object, and in representation of analysis s design information.

  • PDF

A Road-map for an e-Commerce Development (전자상거래 발전 로드맵 모델)

  • Choi, Se-Il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4
    • /
    • pp.897-904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road-map from entering into the cyber spaces to getting to the success of cyber businesses. In order to succeed in cyber businesses, the nature of cyber space, attributes of the businesses and circumstances of the business owner have to be integrated and resolved. This road-map consists of integrated stepwise phases of understanding cyber spaces and developing cyber business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RBA-based Spatial Data Provider Components for Supporting Interoperability (상호운용을 지원하는 CORBA 기반의 공간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 김민석;안경환;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59-161
    • /
    • 1999
  • 분산환경에서 이종의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들의 통합을 위해 싸개(wrapper) 기술을 사용한다. 싸개 기술은 외부 클라이언트 응용프로그램에게 이질적인 데이터 소스들에 대해서 통합 데이터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와 정보처리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기존방법에서는 각 데이터 소스별로 싸개 객체를 작성해야 되는 중복 구현에 대한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싸개 역할을 하는 공간 데이터 제공자들의 공통부분을 추출하여 컴포넌트화하고 데이터 소스에 종속된 객체는 컴퍼넌트 기반의 CORBA 구현객체로 작성하여 공간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표준 서비스를 위해 OGC의 OpenGIS 표준명세를 이용한다. 또한 공간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에서 질의결과에 대한 데이터 소스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Model System using Clustering and Geostatistics Approach (클러스터링과 지구통계학 기법을 이용한 지하공간정보 모델 생성시스템 개발)

  • Lee, Sa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4
    • /
    • pp.64-75
    • /
    • 2008
  • Since the current database systems for managing geotechnical investigation results were limited by being described boring test result in point feature, it has been trouble for using other GIS data. Although there are some studie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subsurface modeling, it is rather lack of being interoperable with GIS, consid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facts. This is reason for difficulty of practical uses. In this study, we has developed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model through extracting needed geotechnical engineering data from geotechnical information DB. The developed geotechnical information clustering program(GEOCL) has made a cluster of boring formation(and formation ratio), classification of layer,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ubsurface. The interpolation of boring data has been achieved through zonal kriging method in the consider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created cluster. Finally, we make a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model to integrate with digital elevation model, and visualize 3-dimensional model by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viewing program(SSIVIEW). We expect to strengthen application capacity of developed model in subsurface interpretation and foundation design of construction works.

  • PDF

플로팅 건축설계에서의 BIM기반 통합설계 프로세스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Jeon, Gi-Hyeong;Kim, J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02-304
    • /
    • 2012
  • 수해양공간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플로팅 건축은 외부환경인자 증가 및 복잡한 공정으로 인한 정보전달 및 의사결정을 위한 협업이 중요하다. 협업 중심의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적용은 플로팅건축 설계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게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bile services for the tra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virtual space (가상공간에서의 농산물 거래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Min, Geum-Young;Jeong,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75-577
    • /
    • 2015
  • 최근 스마트 기기를 통한 농업활동을 통해 생산과 유통, 소비에서 새로운 유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해지고,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IT융합으로 유통, 판매 구조가 빠르게 변함에 따라 차세대 유통모델인 가상공간에서의 농산물 거래를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가상공간에서의 농산물 서비스 모델은 모바일 통합 플랫폼으로 스마트폰(App)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Utility of Gridded Observations for Statistical Bias-Correction of Climate Model Outputs and its Hydrologic Implication over West Central Florida (기후 모델 결과의 통계적 오차 보정과 수문 모델링 적용을 위한 격자 단위 자료의 유용성 평가)

  • Hwang, Sye-W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4 no.5
    • /
    • pp.91-102
    • /
    • 2012
  • 강우의 관측망 확장과 위성 자료 및 기후 모델을 이용한 격자 단위자료가 개발 및 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자료의 분야별 활용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기후 모델 산출물의 오차 보정을 위한 격자 관측자료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통합 분포형 수문모델을 이용하여, 보정한 기후모델 결과의 수문 모의를 위한 기후 입력 자료로써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보정된 결과는 각 관측자료의 월별 평균 강우량과 공간 분포를 비교적 잘 재현하였다. 한편 연강우량 시계열에 있어 그 양상은 잘 재현된 가운데 보정되지 않은 오차를 일부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점 관측자료로부터 추정된 시험 지역내 172개 소유역에 대한 일평균 강우량 자료와 비교해 볼 때 관측자료의 형식이나 정확성보다 기후모델의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문 모의 결과, 격자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한 강우 입력자료는 수문 모델의 검보정에 이용된 소유역 단위 강우 자료를 이용한 결과에 상응하는 활용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강우의 공간 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시험유역 전체에 대한 평균 강우량을 입력 자료로 이용한 결과를 통해 기후 자료의 공간 분포와 관측 밀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