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지역성

Search Result 3,40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Labor Market Polarization and the Formation of Social Exclusion in the Metropolitan Areas: Understanding the Spatiality of the Labor Market Changes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사회적 배제의 형성: 노동시장 변동의 지역성에 대한 이해)

  • Lee, Won-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129-14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labor market polarization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regional labor market in the stru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Korea. The labor market polarization plays a role of key mechanism for deepening social exclusion in the area through expanding low-pay jobs and working poor.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adopt a spatial approach of local labor market in order to understand underlying dynamics of labor market polarization.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differentiated and systematic policy op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labor market polariz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Korea. It is because understanding spatial differentiation of labor market dynamics is essential to figure out the structuring processes of poverty and sociall exclusion in the metropolican labor market in Korea.

  • PDF

A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Sea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gional Scale in the South Sea of Korea (지역 규모에 따른 한국 남부해역 표층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패턴 비교)

  • Yoon, Dong-Young;Choi,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182-193
    • /
    • 2011
  • In order to compare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Korea's Southern areas of the sea according to a regional scale, this study has selected the winter and summer seasons for 31 years (1980~2010) in a period aspect and selected three areas of the sea such as the Western areas of the sea (region B) and Eastern areas of the sea (region C) around Jeju Island in addition to overall Southern areas of the sea (region A) in regional aspect. Th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out a 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SST, and the weighted mean center (WMC) of SST as well as analysis of a standard deviational ellipse (SDE) was respectively appli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SST, it showed a rising long-term trend for all two seasons in three regions. However, though the average SST for 31 years was all similar in three regions in the summer season, the region C appeared more highly than region B in the winter season. The spatial variation pattern of SST for two seasons showed that it is respectiv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ree regions. The spatial variation pattern of SST appeared as E-W direction in region A, SE-NW direction in region B and SW-NE direction in region C.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the WMC of SST and the average SST showed correlation in regions A and B in the winter season, whereas it appeare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in region C. Accordingly, it can be known that the regional scale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analysis of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s of SST.

Rainfall Ensemble Generation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역특성을 고려한 강우 앙상블 생성)

  • Kang, Minseok;Ro, Yonghun;Kim, Gildo;Youn, Sunghyun;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7-217
    • /
    • 2016
  • 강우는 시 공간적 변동성이 크고 지형특성으로 인한 지역 편차가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강우 발생을 분석하는 경우, 강우의 시 공간적 변동성과 지역특성을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였다. 강우의 지역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2010~2015년 동안 발생한 강우사상 중 서울지역을 통과하는 대류성 강우사상 30개를 선정하였다. 지역특성 고려하기 위한 매개변수로 강우강도와 풍향을 선정하고, 매개변수의 가중인자를 결정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의 정량화를 위해 강우강도의 경우 대수정규분포, 풍향의 경우 Von mises분포를 매개변수의 확률분포로 선정하고, 선정된 두 확률분포에 Copula함수를 적용하여 결합확률분포를 추정하였다. 아울러 추정된 결합확률분포에 Monte-Carlo Simulation기법을 적용하여 매개변수에 대한 난수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한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였다.

  • PDF

A Study on Calculation of Urban Compactness Index Considering Space Syntax: Focusing on the Declining Local Cities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 HA, Ji-Hye;KANG, J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3
    • /
    • pp.29-58
    • /
    • 2022
  • Recently, Korea has been experiencing a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therefore the transition to a compact spatial structure is being urged. However, what is required is not just physical compression, but a compact city that also considers connectivity, in view of the changes in today's demographic and industrial struc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measures the compressibility of domestic cities suffering from extinction risk due to 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 and population decline, and examined the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mpressibility evaluation index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compressibility of six indicators (population, land use, service accessibility, transport accessibility, connectivity, and concentr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a comprehensive compression index was calculated.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mpression index, classified 2.3% cities in the first grade, 4.6% in the second grade, 16.09% in the third grade, 43.68% in the fourth grade, and 33.33% in the fifth grade areas. Currently, the urban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compactness index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easures and policies for extinction risk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each region's compactness index.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nnectivity was considered using spatial syntax, and the compactness of cities at risk of extinc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action strategy for extinction risk cities.

Gyeonggi21 Search 2.0 : Regional Knowledge Retrieval System using Numerical Map and the Web (경기21서치 2.0 : 수치지도와 웹 공간을 융합한 지역지식 검색시스템)

  • Yun, Seoug-Kwan;Lee, Ryong;Kwon,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5-50
    • /
    • 2008
  • 웹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지역관련 정보가 웹 공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지 못한 실생활의 다양한 지역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현재의 키워드 기반의 웹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얻은 다수의 검색 결과와 이를 맵과 관련시켜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정지역에 대한 정확한 지리정보를 갖고 있는 수치지도와 방대한 지역정보를 갖고 있는 웹 공간을 융합하여 특정지역과 관련된 지역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인 "경기21서치 2.0"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웹을 통해 분석한 지역의 특징 및 지역 간의 의미적 관련성을 키워드를 통해 지역지식 네비게이터로 구성하고, 이를 수치지도에 기반한 맵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보다 효율적인 지역 웹 정보검색을 지원한다.

  • PDF

Analysis of urban catchment characteristics focusing on urban drainage network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s (네트워크 특성과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를 중심으로 한 도시유역 특성 분석)

  • Kim, Kyungjae;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4-154
    • /
    • 2016
  •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 발전과 함께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도시지역 침수에 대한 위험이 야기되고 있다. 배수관망 체계는 지역 내의 강우를 빠르게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전해 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2010년, 2011년과 같이 반복적인 침수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과 2011년을 기준으로 침수된 서울시 100개의 유역을 선정하고 깁스모형을 적용하여 침수지역을 중심으로 한 배수관망체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각 유역의 IA(Impervious Area)와 DCIA(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를 근거로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 특성도 분석하였다. 깁스모형을 이용한 네트워크 특성과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근거로 침수지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지역의 배수관망의 효율성을 판단하고 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배수관망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Economic Effects of Changes in Spatial Accessibility on Regional Tourism Expenditure Structure (공간적 접근성 변화가 지역관광지출구조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분석)

  • Kwon, Young-Hyun;Shin, Hye-Wo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9 no.2
    • /
    • pp.135-149
    • /
    • 2019
  • This article analyzed economic effects of changes in spatial accessibility on regional touruism expenditure structure resulting from highway investments on Gangwon province, Korea. The Seemingly Unrelated Regress(SUR) model is appli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hange in tourism expenditure of Gangwon Province, and the competition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tourist demand were analyzed among 18 counties in Gangwon by Dendrinos-Sonis method. The spatial accessi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amount of tourist expenditure, but by 1% increase in the accessibility resulted in a reduction of length of stay -0.18% and travel costs -0.34% by respectively. The most powerful variable for improving the on-site economy is the tourist service establishment, which increases one unit, the amount of tourist expenditure increased by 3.6%. Moreover, the competition and supplemental relationship of tourism demands in Gangwon was decided by the conditions under which traffic flow with passing occurred, such as inland or ocean-typed travel attractions, adjacent or remote regions to the highwa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not able to use raw data of tourism expenditures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the highway due to the restriction of priority data, and further research on the appropriate level of spatial accessibility for the regional economy is needed.

The Transitions in Korea's Rural Development Policies: From 1960s to the Present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 Yoon, Won-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7 no.2
    • /
    • pp.279-304
    • /
    • 2010
  • 한국의 농촌개발정책은 지난 50년에 걸쳐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농촌개발정책은 국내외의 정책 환경인자와 관련성을 맺는 가운데, 농업 농촌이 처한 시대별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의 결과라고 여겨진다. 농촌개발정책은 1960년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 동안에 4단계의 시기별, 정책구성요소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하여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이념이 효율성에서 형평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농촌개발정책은 전반적이고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농촌지역은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치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농촌은 곧 마을이라는 으로 변화되고, 농촌의 소도읍이 새로운 농촌지역의 삶의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되던 정책이 인근의 도시와 연계를 맺는 방향 공간으로 접근되고 있다. 농촌개발정책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에서 비농업부문의 개발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역농업과 공간정책을 통합하여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농촌개발과 관련이 있는 중앙정부 부처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수직적 수평적인 분권화와 협치 체제의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의 고유성과 지역단위사업의 연계성에 대한 강조는 자연히 지역단위 계획제도의 정착과 이를 현실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 Study on Urban Design Direction for Promoting Spatial inclusion in Port Area (항만 배후지역의 공간적 포용성 증진을 위한 도시설계적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 Hwang, Sun-Ah;Kim,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61-63
    • /
    • 2017
  • The urban space has both aspects that the happy space that guarantees opportunity and comfort is an unfortunate space where poverty, exclusion and deportation proceed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growth and decline are simultaneous within the city, and this phenomenon is more evident in modern society, which is getting more complicated. The harbor space is also affected by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port industry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ort area. However, since there is no systematic guideline for development and planning of port space in Korea, the phenomenon of the decline of the rear area, which is made up as if the harbor space has been growing and declining from past to present, is getting worse.

  • PDF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Extended Sewer Surcharge on Anyangcheon Watershed Using PCSWMM (PCSWMM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에서 내수침수의 시간적.공간적 해석)

  • Lee, Kil-Seong;Kim, S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50-1155
    • /
    • 2006
  • 대부분의 도시지역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상당히 높은 특징으로 인한 유출용적 및 첨두유출량의 증가와 외수위보다 낮은 지반고의 지형학적 특징으로 인한 내수배제의 불량으로, 저지대의 침수위험도가 상당히 높다. 이러한 이유로, 빈도별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침수위험지역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공간적인 치수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율적인 치수관리를 위해서는 공간적인 측면뿐 아니라, 침수위험지역 내 침수발생의 시간적인 측면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지역 내 내수침수발생에 대하여 공간적.시간적으로 살펴보고, 내수침수발생 위험지역 및 우선관리지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안양천 유역에서 대부분의 침수가 발생하는 서울시에 포함된 안양천 하류유역으로 하였다. 서울시에 포함된 안양천 하류지역에서 내수침수발생의 주원인으로는 외수위보다 낮은 지반고와 배수계통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들 지역의 침수위험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하도 및 관거의 유출해석에 우수한 SWMM 모형의 EXTRAN block을 이용하여 모의를 실시하고 맨홀이 월류되는 지역을 내수침수 위험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빈도별 지속시간별 모의결과, 목감천 하류부의 고척 1동, 신월 1동, 화곡 2동, 도림천과 봉천천, 대방천이 만나는 구로동, 대림 1동, 대방동에서 침수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지역은 또한 10년에서 30년 빈도별 모의에서도 모두 침수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선정되어, 우선관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우선관리지역의 선정은 홍수예.경보 측면에서는 주민의 신속한 대피와 같은 홍수대처능력과 치수관리측면에서는 소요되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으로 홍수범람모의시스템을 구축하여 분석결과를 피해지역주민 및 관련기관 실무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재해관리와 신속한 재해 상황 대처가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는 또 다른 형태의 주제도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료변환 및 가공이 필요하다. 즉, 각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한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된 1:5,000 수치지형도가 있으나 이는 자료가 방대하고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하지 않은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습침수지구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불필요한 레이어의 삭제, 서비스 속도를 고려한 데이터의 일반화작업, 지도의 축소.확대 등 자료제공 방식에 따른 작업 그리고 가시성을 고려한 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