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nsitions in Korea's Rural Development Policies: From 1960s to the Present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 Received : 2010.04.18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한국의 농촌개발정책은 지난 50년에 걸쳐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농촌개발정책은 국내외의 정책 환경인자와 관련성을 맺는 가운데, 농업 농촌이 처한 시대별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의 결과라고 여겨진다. 농촌개발정책은 1960년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 동안에 4단계의 시기별, 정책구성요소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하여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이념이 효율성에서 형평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농촌개발정책은 전반적이고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농촌지역은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치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농촌은 곧 마을이라는 으로 변화되고, 농촌의 소도읍이 새로운 농촌지역의 삶의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되던 정책이 인근의 도시와 연계를 맺는 방향 공간으로 접근되고 있다. 농촌개발정책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에서 비농업부문의 개발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역농업과 공간정책을 통합하여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농촌개발과 관련이 있는 중앙정부 부처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수직적 수평적인 분권화와 협치 체제의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의 고유성과 지역단위사업의 연계성에 대한 강조는 자연히 지역단위 계획제도의 정착과 이를 현실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Im, Sang Bong. (2007), Rural Development in Korea : Lessons and Policy Implication,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in East Asian Countries: Lessons and Experiences,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 Kim, Kwang Suk & Kim, Joon-Kyung. (1997), Korean Economic Development: An Overview, The Korean Economy 1945-1995: Performance and Vision for the 21st Centur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3. Ministry of Home Affairs. (1974), Saemaul Undong.
  4. Moon, Pal Yong & Sul, Kwang-Eon. (1997), Agricultural Policies and Development, The Korean Economy 1945-1995: Performance and Vision for the 21st Centur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5. OECD. (2005). New Approaches to Rural Policy. Paris: OECD.
  6. OECD. (2006). Cohere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olicies. Paris: OECD.
  7. OECD. (2006). The New Rural Paradigm. Paris: OECD.
  8. Park, Jin-Hwan. (1998), The Saemaul Move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aul Mattessich & Barbara Monsey. (2001), Community Building : What Makes It Work, Saint Paul, Minnesota.
  9. Yoon, Won Keun. (2003), Evaluation of The Rur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and Suggestion of The New Rural Amenity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5(2). 1-22.
  10. Yoon, Won Keun. (2004), Directions and Tasks of Rural Planning System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6(3). 111-123.
  11. Yoon, Won Keun. (2009), Study on Reorganization of a New Rural land Use Management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1(3).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