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분류체계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7초

학교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공사 분류 체계 분석 (Analysis of Construc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of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y)

  • 류한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1-252
    • /
    • 2015
  • Enough school facility maintenance data should be accumulated in a database or data warehouse in order to supply information about school facility correct maintenance budget plan, budget assignment, and cycle and rate of maintenance or replacement. For those, this research analyze the present school facility maintenance practice and budget and construction cost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analyze the present practice o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and obtain LCC(Life cycle cost) data, perform expert interview and then establish construc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of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y by combining work breakdown structure(WBS) and cost breakdown structure(CBS).

  • PDF

유통체계를 고려한 공간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방안 연구 (Building up Spatial Data Warehouses into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진희채;정승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89-9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Clearinghouse 중심의 공간유통정보체계에 대하여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를 적용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유통체계에 따라서 설치 가능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유형 및 특성을 검토하여 3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또한 조직의 특성 등에 따라 수평적 체계 및 수직적 체계에서의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및 확산 전략을 제시하고, 이런 요소들이 전체적인 구성을 이룰 경우 총괄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국가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 for WBS-based cost)

  • 윤회수;문진석;김성진;한충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30-1432
    • /
    • 2011
  • 공사비정보와 일정정보는 사업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로 이들이 연계활용되어야 공정공사비 관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실정은 공사비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관리됨에 따라 설계사에서 작성되어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갖고 있던 수량정보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정보들을 상실하고 시공사에서는 다시 물량분개라는 작업을 통해 다시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로분야 사업을 대상으로 작업분류체계(WBS)를 그 연계방안으로 제시하고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통해 설계사에서 작성된 정보를 시공사에서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사업에서는 이러한 작업분류체계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검토, 지원도구 활용 공사비 작성, 시험적용을 통한 지원도구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역정보와 공정정보의 연계가 실현되고, 효율적인 공사비 관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농촌시설물 시공 및 유지관리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of Agricultural Facilities for Developing a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Vinyl house, Glass greenhouse, Cattle shed-)

  • 최오영;김태희;김재엽;김광희;최응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7-155
    • /
    • 2009
  • 최근 들어 농촌에서는 농업규모의 증가, 기술적 복합성 증가, 대량 생산으로 시설물이 점차 다양화,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다. 또한 농업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관리기술이 필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류체계를 설정하고자 한다. 시설물에 대한 분류체계 및 코드부여 작업을 통해 PCM(조달-시공-유지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시설물(Facilities), 공간(Spaces), 부위(Elements), 공종(Works), 자원(Resources)의 5가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농촌시설물에 적합한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농촌시설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비닐하우스, 온실, 축사 순으로 위계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비닐하우스는 프레임 공간과 시설물 마감공간으로 구분하여 자재코드를 부여하였다. 온실의 경우는 창호의 형태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였으며, 축사는 H-beam축사, Pipe축사로 구분지어 코드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분류코드는 향후 조달 시공 유지관리 시스템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제품의 부품화와 모듈화를 통해 전문가의 도움 없이 농민이 직접 설치 시공 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및 교체부품의 정확한 구분으로 인해 폐기물을 최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디지털 게임 내 가상경관 분류 기준 확립 및 대표 유형 산출 (Virtual Landscap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Representative Spatial Types in Digital Games)

  • 김익환;이인정;이지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9-28
    • /
    • 2016
  •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공간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지만 디지털 게임 공간을 설계하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게임 속 공간들을 유형별로 분류 및 정의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 게임 공간을 분류하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해당 기준들은 각각 '서술형태, 협업 정도, 상호교환 정도, 공간 동작 차원, 공간 형태' 이다. 이후 본 연구는 확보된 기준들을 바탕으로 20년간 가장 주목받은 게임들 분류하여 그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대표 공간 유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해당 분류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 공간 설계 및 구현 인원들에게 디지털 게임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함에 건축 및 조경의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종 설계 방법론의 차등적 적용이 가능하게끔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구축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National Parks)

  • 김정은;노백호;이정윤;조형진;진승남;최진우;명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2호
    • /
    • pp.97-111
    • /
    • 2021
  •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종과 서식지 간의 관계를 공간적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 생물종의 생태적 특성, 공간 유형, 식생군락, 지형 및 지질 조건을 기준으로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개발하고 서식지 분류 지도를 제작하였다. 서식지 유형의 체계적 분류 및 판정을 위해 분류기준표를 제작하였다. 분류 체계는 구조적 서식지를 중심으로 6개 대분류로 구분하였으며, 중분류는 59개의 생태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산림생태계는 20개, 하천 및 습지생태계는 8개, 해안생태계는 16개, 농경지는 6개, 개발지는 9개, 해양생태계는 1개로 분류하였다. 서식지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정사영상, 정밀식생도, 임상도를 활용하여 서식지 분류 지도를 작성하였다. 서식지 분류 지도는 21개 국립공원에 대해 1,461개 도엽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서식지 조건을 고려한 서식지 분류 체계 고도화와 조사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서식지 평가에 적용하여야 한다.

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Heading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Based Upon the Analysis of Directory Classifications of Internet Resources in Food and Culture)

  • 정연경;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9-69
    • /
    • 2010
  • 듀이십진분류법(DDC)은 문헌분류체계로 도서관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을 분류하는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DDC가 주기적이며 지속적인 용어 확장을 통해 최신성과 실용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십진분류법(KDC)은 비정기적인 개정 주기로, 용어의 최신성과 실용성이 떨어진다. KDC가 도서관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 분류에도 활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분류 항목명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원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와 KDC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KDC에 추가할만한 분류항목명을 확장 제안하였다. 네이버, 야후, 교보문고, 아마존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에서 음식문화 분야의 용어를 분석하였으며, 다른 분류체계를 참조하여 KDC로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KDC에 추가적인 분류항목명이 필요한 분야는 식품위생, 음료기술, 식품공학, 식품과 음료, 식사 및 식탁차림, 주방, 식당 공간이었으며 부족한 항목명은 음식 관련 용어 및 한식 관련 요리명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KDC의 부족한 항목명과 적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KDC가 도서관과 인터넷자원 분류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국내외 지목체계 운용실태 연구에 관한 새로운 시각 (A New Perspectives on the Research of Domestic and Overseas Land Category System)

  • 류병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2호
    • /
    • pp.151-167
    • /
    • 2019
  • 한국의 현행 지목 분류 체계로는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용하는 토지의 이용 현황을 정확하게 지적공부에 등록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 지목 분류 체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3년에 신승우 외 4인이 '국내외 지목체계 운영 실태 연구'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6개국의 '지목'과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을 동일선 상에서 비교하고, 일부 사실이 아닌 내용이 서술되어 있어, 이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독일·일본·대만의 지목 분류 체계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대안이 제시되길 기대하며, 향후 연구 과제로 독일과 대만의 지목 분류 체계의 변천연혁을 연구하여 한국의 지목 분류 체계 개선에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설계모델과 문서정보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BIM기반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방안 (Development of BIM-based Construction Document Information Database Structure through the Link to the BIM Model and Construction Document Information)

  • 이동건;차희성;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42-53
    • /
    • 2015
  •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가 상호협동을 통하여 진행되며, 각 건설 단계별로 다양한 정보가 발생되고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의 대부분의 정보는 문서의 형대로 발생됨으로 인하여 현장의 문서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IT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대부분의 정보가 비구조화된 문서의 형태로 정보가 관리되고 정보관리 체계의 미비로 인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축적과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기술을 통하여 건설현장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의 분류체계 및 정보 연계를 위한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정보 축적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서관리와 정보연계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건설현장의 정보를 구조화하기 위한 공간분류체계와 정보분류체계를 제안하였고 정보 축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시나리오를 통해 적용해 봄으로써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