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밀도 변화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7초

건강교육과 운동프로그램이 일 농촌지역 중·노년기 여성의 체성분, 혈중 지질, 골밀도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weeks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one density, blood lipid, and health behavior among Middle-aged and Aged Women in rural areas)

  • 김영미;위성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737-1746
    • /
    • 2013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교육과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성분과 혈중지질, 골밀도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중 노년기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5일부터 2012년 5월 31일까지 12주간 건강교육과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체성분과 혈중지질, 골밀도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단일군 전후설계로 paired t-test, ANCOVA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평균체중과 BMI, 체지방량,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골밀도, 운동과 음주 및 흡연에 대한 건강행태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3개월 이상의 강도 높은 유산소운동과 개인별 맞춤 근력운동을 적절하게 병행한 운동프로그램의 기획 및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개인별 건강행태변화를 위해서 대상자에게 초점을 맞춘 건강교육을 횟수를 늘려 제공하는 등 기존의 프로그램을 보완한 체계적인 관리가 지역사회에서 실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전.후 골밀도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BMD Changes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re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

  • 김수진;손순룡;최관우;이주아;민정환;김현수;마상철;이종석;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4호
    • /
    • pp.279-286
    • /
    • 2014
  • 유방암 환자의 외과적 수술과 방사선 및 화학적 치료 전 후의 골밀도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암 치료에 의한 골소실 문제의 심각성을 도출하여 고 위험군선별 및 골다공증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7년 3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유방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및 치료를 받은 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환자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폐경에 이르렀거나 자궁적출술을 받아 폐경된 84명을 제외한 171명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흡수법에 의한 골밀도 영상(요추부위와 대퇴골부위)에서 치료 전 후 측정된 골밀도 수치를 분석하였다. 치료 전 후의 전체적인 골밀도 변화량과 치료유형별 변화량을 비교하였으며, 환자의 결혼 유무, 자녀수, 수유유무, 초경나이, 유방암 치료형태 등을 변수로 하여 세부적인 차이점 및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Program(Version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요추에서는 치료 후 평균 7.1% 감소하였고, 대퇴골에서는 평균 3.1%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또한 화학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군의 대퇴골 부위에서 치료 및 수술 후 $0.067g/cm^2$의 상대적으로 큰 골밀도 수치의 감소량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그 외 결혼 유무, 자녀수, 수유 유무, 초경 나이 등에 따라서는 감소량의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 수준에서 유의성은 없었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후 골밀도 수치 감소를 보임에 따라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큰 환자를 고 위험군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적극적인 예방 정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골밀도 검사에서 환자 자세 변경 최소화에 따른 수검자의 불필요한 피폭선량 감소 및 생산성 향상 (Reduction of the Useless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s and Improvement of the Skill to Manage the Test according to Minimizing Changes of Posture in Bone Mineral Density)

  • 김호성;동경래;김창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28-235
    • /
    • 2009
  • 골밀도검사는 건강관리에 인식이 높아지면서 매년 증가되고 있으며, 골밀도 측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 정밀도와 정확도 및 의료피폭이 적은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DEXA)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골밀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최초 검사 후 보통 1년 단위로 추적검사가 이루어지는데 정확한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자세가 최초검사와 추적검사 시 동일해야한다. 본 논문은 개선전과 후의 검사자에 대한 검사시간, 사전스캔건수의 차이, 검사 시 해부학적 위치의 촉지 및 시트의 사용 유무에 따른 시간 변화 및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사전 스캔의 건수 및 검사시간이 단축되었고 피폭선량이 감소되었으며 이를 수검자 1인으로 환산하면 검사시간은 52초, 평균 사전 검사 건수는 0.79회, 피폭선량은 $13{\mu}Sv$로 단축되었다. 따라서 골밀도 검사 시 환자 자세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올바르고, 정확하고, 쉬운 방법을 적용하여 검사 처리 능력의 증가와 함께 수검자의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감소하여 국민 건강관리의 일환인 의료 피폭을 줄이기 위함이다.

저항성 훈련이 노화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BMD and Bone Metabolism Related Markers in Aging Rats)

  • 강형숙;김상배;윤진환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03-31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저항성훈련에 따른 노화 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이다. 생후 64 주령의 Sprague-Dawley계 노화 흰쥐(체중 565±3.12)를 대조군(n=10)과 저항성 훈련군(부하 없는 저항성 훈련군(n=10)과 부하 있는 저항성 훈련군(n=10)으로 분류하여 주 4회 12주간 사다리 오르기 훈련을 실시한 후 골밀도 및 골대사 관련 지표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퇴골의 회분 및 칼슘 햠량은 부하 있는 저항성 훈련군>부하 없는 저항성 훈련군>대조군 순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질 함량은 부하 있는 저항성 훈련군>부하 없는 저항성 훈련군, 부하 있는 저항성 훈련군>대조군 순서로 나타났는데, 대조군에 비교하여 부하 있는 저항성 훈련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골강도와 osteocalcin 농도는 부하 있는 저항성 훈련군>부하 없는 저항성 훈련군>대조군 순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노화 흰쥐에서 12주간 저항성훈련은 대퇴골밀도와 골대사관련 지표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결과는 저항성훈련으로 인한 골밀도의 증가는 골재흡수의 지표인 osteocalcin 과 골의 기계적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훈련의 강도(training intensity)가 중요한 매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Bacillus 발효액 Enzamin의 투여가 인체의 NK세포 활성도와 Hamster의 골밀도에 미치는 탐색연구 (Research on the Bacillus-fermented Enzamin Administration on Human NK Cell Activity and Bone Density of Hamster: A Pilot Study)

  • 류서원;藤井登起男;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69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Bacillus 발효액(ENM)을 섭취한 사람의 NK세포활성도와 Hamster의 골밀도, 골량과 골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NK세포 활성도 측정과 x-ray를 통한 골밀도 검사를 하였다. 결과: NK 세포의 활성도는 대조군은 644.71 pg/ml, 임상군이 1796.37 pg/ml로 높게 나타나 유의성이 있었다(p<.004). 그리고 임상군은 섭취 전 검사에서 1110.37 pg/ml, 사후검사에서는 1796.37 pg/ml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p<.001). ENM 먹인 후의 햄스터들의 행동관찰에서는 대조군과 임상군 간의 행동은 차이가 없이 정상적으로 행동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대조군에서는 최초 및 최종 27일째에 측정한 체중은 106 g로 거의 변동이 없었으며, 임상군은 최초 측정이 96.6 g, 최종 27일째는 114 g로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다. 햄스터 뒷다리를 X-선 촬영한 사진에서는 형태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의 골밀도는 0.059 g/cm3, 임상군은 평균 골밀도는 0.062 g/cm3로 0.003 g/cm3만큼 증가하였다. 골중량은 대조군은 0.175 g, 임상군은 0.196 g로 증가하였다. 골면적은 대조군은 2.95 cm2, 임상군은 3.14 cm2 으로 0.19 cm2만큼 증가하였다. 부검에서 대조군과 임상군은 모두 특기할만한 이상은 없고, 각 장기도 정상이었다. 결론: ENM 섭취는 NK세포활성도와 Hamster의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유용한 식품이라 생각한다.

  • PDF

골밀도와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에 대한 전향적 연구 (A Comparison of the Implant Stability Among the Bone Density Groups: Prospective Study)

  • 고석민;박성재;이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11-21
    • /
    • 2013
  • 임플란트 식립 후 상부구조 제작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임플란트 고정체의 골유착과 안정성의 평가는 중요하며 임플란트 안정성이 변화하지 않는 고원(plateau) 현상이 나타나는 시점을 찾는다면 임플란트 저작하중에 안정적인 시기를 판단하는 객관적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년간의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골밀도 간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를 추적하여 저작하중을 부담하기에 적당한 안정된 시점을 구함으로써 상부구조 제작 시기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총 36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67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식립 직후, 2주, 6주, 10주, 14주, 1년 등 총 6회에 걸쳐 RFA를 시행하여 임플란트 안정성의 변화추이를 골밀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식립 직후와 각 치유기간 동안의 ISQ값 비교에서 주관적으로 평가된 골질군 간에는 식립 10주와 14주에서 임플란트 안정성에 차이가 있었으나(P<0.01), 객관적으로 평가된 골질군 간에는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1년간의 추적조사에서 ISQ값의 변화는 $y=y_0+a{\times}\{1-\exp(-b{\times}x)\}$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면 임플란트식립 당시의 ISQ값으로 상부구조 제작 시점을 유추할 수 있다.

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 투여가 골다공증 백서의 골밀도 및 골강도에 미치는 효과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Strength by Aquatic Exercise and Drynariae Rhizoma on the Osteoporosis-Induced Rats)

  • 김찬규;정대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18-226
    • /
    • 2009
  • 본 연구는 난소적출로 유발된 골다공증 유발 백서에서 골쇄보(Drynariae Rhizoma)와 수중운동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6주간 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투여를 실시하여 골강도, 골밀도, 혈중 osteocalcin, ALP, Ca과 P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설계는 실험군 I은 대조군, 실험군 II는 수중운동 그룹, 실험군 III은 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 10 mg투여군, 실험군 IV는 Drynariae Rhizoma 10mg투여군으로 나누었다. 각 실험군에서 체중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골강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중운동과 골쇄보 10mg 투여군과 골쇄보 10mg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됨을 관찰 할 수 있었고, 골밀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군에서 증가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골형성 지표중의 하나인 Osteocalcin 측정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군에서 증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혈중 ALP 및 P의 변화는 본 실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Ca은 골쇄보 투여와 수중 운동으로 인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골다공증 백서에 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 투여는 난소 적출 후 감소된 골밀도와 골강도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여성 노인의 대퇴경부 및 요추 골밀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Elderly Women)

  • 김영란;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43-4952
    • /
    • 2013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 3차년도, 제 5기 1차 년도에 참여한 60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으로는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이섭취, 골절 과거력, 골다공증 가족력, 병력,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 등의 제 요인들과 대퇴경부 골밀도와 요추골밀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각 변수의 단위별 BMD의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비율차이 계산식 ${\beta}{\times}$(단위/BMD의 평균)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연속 변수의 단위는 1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퇴경부 및 요추 골밀도에 조사된 각 독립변수 중 여성노인의 골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퇴경부 부위에서는 제지방량(B: 0.257), 요추 부위에서는 체지방(B: 0.237)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노인에서는 제지방량을 늘리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12주간 복합트레이닝이 비만과 골다공증 지적장애인의 신체조성, 건강체력,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 (The Effect of 12 Weeks of Combined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Obese and Osteoporotic Intellectual Disabilities-Case study)

  • 한동기;양한나;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375-383
    • /
    • 2018
  • 본 연구는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이 접목된 복합트레이닝을 비만과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지적장애인 성인에게 12주간 적용한 후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신체구성검사, 건강관련체력 그리고 골다공증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들의 운동은 12주간 주2회 유산소운동과 근력 운동을 구성된 복합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저강도에서 시작하여 점증부하원리를 적용하였고, 저항성 운동은 15회를 반복할 수 있는 강도로 설정하였다. 신체조성과 골밀도는 운동전, 6주, 12주 세 차례 측정하였고, 건강체력평가는 운동전과 운동 후 측정하였다. 체중, 체지방은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감소하였고, 골밀도는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증가하였다. 체력요인으로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이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개선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12주의 복합트레이닝은 하지근력을 증가시켜 걷기, 달리기 등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건강체력의 향상과 골밀도의 증가를 일으키는 운동임을 확인하였다.

액상칼슘 섭취가 중년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efied Calcium Supplement on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 정용진;김주남;서지형;김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95-999
    • /
    • 2004
  • 액상칼슘을 첨가한 한방 칼슘제를 중년여성에게 칼슘제 섭취 수준에 따라 3개의 그룹(대조군, Ca500, Ca750)으로 구분하여 일정 기간 섭취시키고, 이들의 골밀도 및 골형성 지표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6개월 후 대조군의 골밀도가 감소한 반면, Ca750군의 요추 골밀도는 초기값 0.850에서 0.865로 증가하였다. 또한 혈청 칼슘과 혈청 osteocalcin의 증가 및 요중 deoxypyridinoline의 감소는 액상칼슘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섭취 전후 차이가 뚜렷하였다. 특히 Ca750군에서는 혈청 osteocalcin함량이 초기 5.50 ng/mL에서 칼슘제 섭취 후 7.93 ng/mL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연구 결과에서 액상칼슘 섭취에 의한 유의적인 골밀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칼슘제 섭취에 따른 위장장애나 변비등의 부작용이 없고 골형성 표지성분의 증가 및 골흡수 표지성분의 감소를 나타내어, 장기적인 연구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