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곡면 비교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2초

필렛엔드밀 곡면가공 특성에 관한 연구

  • 심기중;유종선;김종선;조철용;서남섭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61-26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고속가공 시 필랫(코너-R) 엔드밀의 곡면가공 적용가능 여부를 연구하기 위하여 비교적 곡률이 완만한 곡면을 채택하여 가공실험을 수행하고 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공재료는 금형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SKD11 강을 선택하였다. 볼엔드밀과 필렛엔드밀의 비교를 위하여 2 종류의 공구에 동일한 가공조건으로 가공실험 하였다. 가공 중 측정된 절삭력과 가공면의 표면조도를 분석하여 일반적으로 황삭에서 주로 사용되던 필렛엔드밀을 곡률이 완만한 곡면의 정삭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절삭특성과 볼엔드밀의 가공특성을 비교하였다.(중략)

  • PDF

2중곡면 방파제의 곡면특성에 따른 월파제어효과 (Characteristics of Wave Overtopping with Flared Shaped Protection Wall)

  • 김문정;이근일;이성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218-218
    • /
    • 2011
  • 2중곡면 반파공의 월파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입사파고 및 주기가 각각 다른 불규칙파를 대상으로 수리실험을 실시하였으며, 2중곡면 반파공과 직립형 구조물에 대해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하여 이를 명확히 하였다. 특히 2중곡면 상부의 곡률반경에 따라 외해측으로 되돌리는 파랑의 비말효과에서 큰 차이가 있을 것에 착안하여 상부곡면부의 곡률반경이 증가한 정상 2중곡면 반파공(FSW)과 상부곡면부의 곡률반경이 감소한 역 2중곡면 반파공(IFSW)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2중곡면 원호 크기의 비 B/D=0, 20%, 40%, 60% 및 80%인 경우에 대해서도 월파특성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2중곡면 원호 크기의 비 B/D가 증가할수록 월파저지 효과가 개선됨을 확인 하였으며 최대 B/D가 0.8인 경우 0.2에 비해 50% 이상 월파유량이 감소하여 B/D의 변동에 따른 월파저지특성을 확인하였다. 2. 역2중곡면 반파공(IFSW)의 실험결과 기존 정상2중곡면 반파공(FSW)에 비하여 20%이상 월파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2중곡면 상부측의 곡률 반경이 증가함에 따른 기하학적 특성에 의해 외해측으로의 되돌림 파랑(수괴)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동일한 마루높이에 대해 직립형 호안에 의한 월파량 비교결과 역 2중곡면 반파공(IFSW)의 경우 최대 80%이상의 월파량 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4. 월파저지의 측면에서 2중 곡면공에 비해 역2중 곡면공이 우수한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2중곡면 반파공의 소파원리가 반파공의 원호내에서 쇄파를 야기하여 파에너지를 소멸하는 것이므로 쇄파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충격쇄파압의 발생이 예측되는 바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극소 및 극대 곡면 발견의 역사 (History of the Search for Minimal and Maximal Surfaces)

  • 김영욱;김소영;김지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78
    • /
    • 2008
  • 극소곡면은 고전미분기하학의 꽃이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하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극소곡면 이론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극소곡면의 발견 과정을 역사적으로 조명하여 보고 이를 통하여 극소곡면 이론을 소개한다. 한편 최근에 들어 연구가 시작된 로렌츠-민코프스키 공간의 극대곡면의 예를 소개하고 극소곡면 발견 과정과 비교 연구한다.

  • PDF

Open 균일 B-spline 곡면을 이용한 선체 곡면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eometric Modeling for Ship Hull Forms Using Open Uniform B-spline Surface)

  • 신현경;박규원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1-27
    • /
    • 1991
  • 이 논문에서는 periodic 균일 knot vector 뿐만아니라 open 균일 knot vector를 사용하여 선체형상을 Bi-cubic B-spline곡면으로 수식화하는 방법을 보인다. B-spline곡면을 형성하기 위한 B-spline control vertex는 기본 함수의 pseudoinverse matrix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주어진 offset과 형성된 선체곡면을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하였다. 곡면의 순정을 검토하기 위하여 Gaussian곡률을 많은 작은 곡면조각에 대해 계산하여 흑백의 농도 차이를 이용하여 도시화하였다.

  • PDF

대형 곡면 부재의 계측 및 비교기술 개발 (A Development of Measurement and Comparison Technique for Large Curved Hull Pieces)

  • 이종무;신종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28-33
    • /
    • 2002
  •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선각 외판 부재는 선박 한 척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부재의 수가 매우 많고, 각 가공 외판 부재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각각 상이한 부재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중에서, 선체의 외판 곡 부재를 가공할 때는 각 부재의 초기 형상과 가공 목적형상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냉간, 열간 가공을 통하여 설계된 형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최초 가공 시 및 추가 가공 중에 부재의 형상을 확인하여 주어진 정도에 부합할 때까지 가공을 수행 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선체 외판 부재의 가공 시에는 수시로 가공중인 부재의 형상 및 가공정도를 확인하여야 하는 과정, 즉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가공형상을 확인하는 대형곡면 계측 기술과, 곡면 비교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공환경 하에서 적용 가능성이 있는 효율적인 계측, 비교를 위한 S/W, H/W 통합 시스템 구축을 수행하였다.

A Study on the Pit Excavation Volume Using Cubic B-Spline

  • Du-Yeoul Mu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24
    • /
    • 2002
  • 항만공사같은 대규모의 매립공사에서 토공작업은 총공사비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경제적인 시공을 위하여 절.성토량은 정확하게 계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어진 3차원 표고데이터를 지나는 스플라인 곡면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함으로써 좀더 정확한 토공량 계산식의 결정을 목표로 한다. 스플라인에 대한 흥미로운 수학적 결과는 무척 많지만 본 연구에서는 스플라인 곡면을 기술하고 또, 그것을 이용하여 토공량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개발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수학적 내용을 기술하며 그 수치적 계산결과는 Mapl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인 선형점고법, Chamber법, Chen과 Lin의 이론을 컴퓨터프로그램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과 정확도를 비교, 분석한다. 아울러 각 이론식의 결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하여 x, y 함수식을 이용한 실험지형을 인위적으로 만들었으며 그 때의 값을 기준값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험수치지형에 대한 기준값이 절대값에 가까우므로 각 토공량식들의 오차규명을 보다 명확하고 확실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직면의 오프셋 (Offsets of Ruled Surfaces)

  • 박경렬;김광일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69-75
    • /
    • 1998
  • 선직면은 곡선을 따라 움직이는 직선들의 궤적으로 정의된다는 점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곡면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직면의 특수한 경우인 전개가능 곡면의 오프셋이 다시 전개가능 곡면이 됨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개가능 곡면이 아닌 선직면의 오프셋은 절대 선직면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 PDF

수리실험에 의한 최적의 이중곡면 반파호안 선정 (A Determination of Double-curved parapet Seawall by Hydraulic Experiment)

  • 김효래;심주열;이승오;조용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17-2119
    • /
    • 2007
  • 최근의 이상기후에 따른 악영향으로 항만구조물의 설계시 중요한 요소인 심해설계파가 증고되었다. 최근, 증고된 설계파에 대해 마루높이의 절감 및 단면축소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사석경사제형 제체 상부에 이중곡면 반파공을 적용한 각종 구조물형식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월파와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방파제의 최적 단면을 선정하였다. 본연구의 수리모형실험에 적용된 단면형식은 총 4가지로 각각에 대해 월파량과 반사율을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TTP로 피복된 제체 상부에 이중곡면 반파공을 설치한 단면이 가장 우수한 단면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이중곡면 반파호안의 계획과 설계시 체계적인 검토와 합리적인 단면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통해 마루높이 절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건국대 이과대 수학과 금종해 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2권1호통권356호
    • /
    • pp.80-81
    • /
    • 1999
  • 고3때 인문계에서 자연계로 대입 진학계열을 바꾼 이후 수학을 혼자 공부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는 건국대 금종해교수는 수학분야중 비교적 역사가 짧은 대수기하학분야 신진학자들의 리더 역할을 하는 주목받는 수학자이다. 금교수는 K3곡면의 대창성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는데 97년에는 K3곡면의 일종인 Kummer 곡면의 대칭군에 관한 연구를 권위있는 해외학술지에 발표하여 관심으로 모으기도 했다.

  • PDF

음함수 곡면을 이용한 모델링 (Modeling with Implicit Surface)

  • 박미경;이의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3권3호통권51호
    • /
    • pp.53-60
    • /
    • 1998
  • 이 논문은 음함수 곡면을 이용한 모델링의 역사와 그 응용 그리고 모델링의 여러 가지 접근 방법과 렌더링 방법을 분류, 비교하였다. 현존하는 문제점과 유효한 해결 방법 등을 평가하였고, 이 분야의 최첨단 기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