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형성분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19초

회귀분석을 이용한 C소각장에 반입되는 도시고형폐기물의 저위발열량 예측 (Estimation of Lower Heating Value (LHV)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Being Brought into C Incinerator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김은영;서정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540-54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C소각장에 반입되는 도시고형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을 추정할 수 있는 다중회귀직선식을 도시고형폐기물의 습량기준 물리적 조성 성분들로부터 유도하였다. 다중회귀직선식은 LHV = 1,670 + 39.20 Pl + 11.19 Pa - 11.27 Fo이었다. 여기서 LHV: 저위 발열량(kcal/kg), Pl: 습량기준 폐플라스틱류(wt %), Pa: 습량기준 폐종이류(wt %), Fo: 습량기준 음식물류(wt %)이다. 유도된 식의 수정결정계수($\bar{R}^2$)는 0.7476이었고, 이 식에 의한 추정 저위발열량과 측정 저위발열량의 절대백분율오차 평균은 2.42%로 아주 작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유도된 식의 정확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도된 식으로 다른 4개 소각장에 반입되는 도시고형폐기물들에 대하여 추정 저위발열량과 측정 저위발열량의 절대백분율오차 평균은 수용할 수 있는 범위(4.74~20.11%)이었다. 더욱이 이 방법은 습량기준 도시고형폐기물의 물리적 조성 성분별로 분류하여 각 조성 성분들의 습량기준 중량 비율만 분석하면 도시고형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을 추정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고 또한 대단히 효율적이다.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황지현;이수정;김송희;안정좌;민상기;곽해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307-311
    • /
    • 2005
  • 본 연구는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농축유의 수용성비타민은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고, 같은 동결농축유의 경우에 17% 고형분인 농축유가 27% 고형분인 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다. 지용성비타민도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 감소율이 적었으며, 수용성비타민 보다는 그 감소율이 크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진공농축유보다 동결농축유에서 많이 측정되었고 단쇄유리지방산은 진공농축유가 동결농축유보다 생성량이 많았으며 고형분이 많을수록 많이 측정되었다. 지방산화도는 단쇄유리지방산의 결과와 같이 동결농축유보다 진공농축유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관능검사는 cooked flavor, oxidized flavor, cheesy flavor, fat-taste, oxidized taste, off-taste에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미량성분의 손실이 적고 관능적으로 양호하게 평가되었기 때문에 영양학적, 관능적으로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 PDF

폐(廢)콘크리트 미분말(微粉末)과 무기성(無機性) 폐부산물(廢副産物)을 이용(利用)한 $CO_2$ 고형화(固形化) (The Solidification of $CO_2$ by Using Waste Cement and Inorganic Waste By-Products)

  • 안지환;유광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3-10
    • /
    • 2009
  • 무기성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CO_2$ 고형화 연구는 폐콘크리트 시멘트 미분말 등 무기성 산업폐부산물의 성분 중의 CaO 또는 MgO 성분과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_2$와 반응시켜 탄소를 안정적으로 고형화시켜 대기 중의 $CO_2$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연구이다. 본 고에서는 산업 현장 및 도시에서 발생되는 $CO_2$의 대기 방출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산업폐부산물의 유효 자원화를 위한 $CO_2$ 고형화 연구의 국내외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형 $CO_2$ 저감 및 활용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주 송이를 이용한 방울토마토 양액재배에서 양액성분의 변화 (Change of Nutrient Solution Content in Scoria Culture with Cherry Tomato)

  • 장전익;오대민;현해남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88-91
    • /
    • 1994
  • 실험목적 :제주지방에 화산락인 송이(Scoria)가 수억톤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제주송이를 배지로 이용한 양액 재배에서 품질과 수량이 perlite, rock wool 등 일반 고형 배지경과 떨어지지 않는 연구 결과는 있으나 작물의 생육 과정에서 제주 송이가 양액 성분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발표된 바가 없다.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로 제주 송이가 안전한 사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중략)

  • PDF

제주 송이를 이용한 방울토마토 양액재배시 양액성분 및 생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ent Solution Content and Growth of Cherry Tomato in Scoria Culture)

  • 장전익;오대민;현해남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49
    • /
    • 1995
  • 양액재배에서 제주송이가 다른 배지와 비교하여 방울토마토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액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제주송이를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로 실용화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엽비, 건과비, 당산비는 1익㉣ 1회 1시간 담액후에 완전 배액한 구에서 높았다. 2. 방울토마토 생과중은 상위 화방으로 갈수록 암면구와 담액수경구는 작아졌으나, 송이구와 일향토구, 펄라이트구 등 고형배지경에서 무거웠다. 3. 방울토마토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양액성분중 다량원소를 분석한 결과는 송이 재배구에서 인산과 칼륨 농도가 낮았다. 4. 방울토마토의 수량과 당도는 암면과 일향토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일반적으로 양액재배에서는 수분의 증발과 식물의 수분 흡수 증산작용으로 비료염의 농도가 높아가는데 송이구도 다른 고형배지경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6. 제주 송이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가벼운 자재로 가공개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과실쥬스의 동결건조 중 휘발성분 보유력 (Volatile Retention during Freeze Drying of Fruit Juices)

  • 심기환;최진상;주옥수;강갑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5-564
    • /
    • 1990
  • 과실쥬스와 같은 자연 생산물의 동결건조에 있어서 가공처리중 휘발성분의 보유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기술의 특징을 이용하여 동결건조 속도, 초기 고형물의 함량 및 압력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결건조 속도가 휘발성분의 보유력에 대한 영향은 현저하였으며, 동결시간이 길수록 뚜렷하였다. 동결 건조 제품에서 휘발성분의 보유력은 동결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동결건조 조건하에서 가장 많은 휘발성분의 손실은 동결건조 초기단계, 즉 1~2 시간 사이에서 일어났다. 휘발성분의 보유력은 초기 고형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동결속도가 빠를 때보다는 늦을 때가 휘발성분의 보유력이 높았으며 높은 압력에서보다 낮은 압력에서 높았다.

  • PDF

고형성분이 포함된 전단희석 유체의 선형(扇形) 분무노즐을 통한 미립화 (Atomization of Shear-Thinning Liquid Slurry Discharging from Fan Spray Nozzles)

  • 안상모;류성욱;이상용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2-50
    • /
    • 2008
  • In the present work,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shear-thinning liquid slurry discharging from fan spray nozzles were studied experimentally for spray painting applications. The effects of solid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on the properties (especially on the viscosity) of suspensions and mean drop size were examined by using model fluids. In the range of low particle concentration (below 3 wt%), the fluid viscosity wa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particle size. On the other hand, in the range of high particle concentration (higher than 10 wt%), the agglomeration phenomenon and the oil absorption capability of solid particles played major roles in determining the fluid viscosity. In the high concentration region, which most of the paints belong to, the fluid became more viscous and the shear thinning behavior appeared more prominent as the particl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this region, mean drop size(SMD) decreased more rapidly with the increase of the injection pressure. Also, SMD became larger with the higher particle concentration and the larger particle size.

  • PDF

Soy Protein-Lipid Film의 이화학적 특성 (Soy Protein-Lipid Film Preparation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김철재;이순규;우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31-337
    • /
    • 1996
  • 본 연구는 콩을 이용한 가공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두유 가열시 기액 표면에 형성되는 SPLF의 제조조건과 이화학적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고형분이 각각 4.9%, 6.2%, 7.45%, 9.01%인 두유를 $95\pm1^{\circ}C의$ 수욕상에서 가열하면서 순차적으로 얻어지는 SPLF의 중량과 두께를 측정한 결과 고형분이 높은 것일수록 우수하였으며, 시간당 SPLF의 생성률은 고형분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이는 데 높은 고형분에서는 가온 초기에는 생성률이 크나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PLF의 색도는 걷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흰색은 감소하고 적색과 황색은 증가하여 색차($\Delta$E)가 증가하였다. SPLF의 hardness는 고형분 6.20%인 두유로부터 4번째 걷어진 sheet에서 크게 나타났다. SPLF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단백질의 함량은 3, 4, 5번째 채취한 것이 높았고 지방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탄수화물과 회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SPLF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지질의 비는 증가하였으며 당질은 그 함유 비율이 점점 커졌다. 원료콩과 비교한 유리당의 이행률의 분석한 결과, 걷는 횟수에 따라 증가하여 서당은 97%가, stachyose와 raffinose는 각각 89%, 49%가 이행되었다.

  • PDF

당귀, 작약, 천궁, 삼백초, 인진쑥 및 산조인을 첨가한 한방차의 팽화 온도별 고형분 용출율과 Benzo[${\alpha}$]pyrene의 변화 (Changes in Solid Elution Rate and Benzo[${\alpha}$]pyrene During Puffing Temperature of Herbal Tea Containing Angelica gigas, Paeoniae radix, Cnidium officinale, Saururus chinensis, Artemisia capillarisin and Zizyphus vulgaris)

  • 장재선;최미용;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5-312
    • /
    • 2014
  • 팽화 처리온도를 각각 $140{\sim}220^{\circ}C$로 한 한방차 제품의 성분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리온도의 상승에 따라 일부 탄화가 발생하며 조회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소폭의 변화가 있었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한방차의 고형분 용출률은 0.18~0.27%(w/w)로 나타내었는데, 팽화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다. 고형분의 용출은 온도가 화학적 변화보다 물리적 변화에 의해 식품의 원재료 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천연 상태에서 상호가교 결합이 물리적인 힘으로 어느 정도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벤조피렌 함량은 0.18~0.24ppb로 처리온도, 원재료에 따라 B(${\alpha}$)P 함량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HPLC에 의한 한국산 칡차의 분석 (Studies on the Content of Pueraria Radix in the Tea by HPLC)

  • 김명희;박성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89-95
    • /
    • 1987
  • 시판 갈근으로부터 Isoflavanoid 성분인 Daidzein과 Daidzin을 분리 정제하고 이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판 칡차 8종에 대한 칡성분 분석을 HPLC 방법으로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칡차의 성분 분석법은 종래의 TLC법에 비하여 HPLC를 이용,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2. 추출방법에 따라 성분함량이 크게 영향을 받아 Daidzein을 분석할 경우는 냉침법이, Daidzin의 분석시는 가열 추출법이 양호하였다. 3. 한국산 갈근중 Daidzein과 Daidzin은 0.08% 및 0.66% 함유되었다. 4. 시판 칡차중 고형차류는 칡의 성분이 표기량에 비하여 매우 적게 함유되거나 전혀 함유되지 않은 예도 있으며 액상차의 경우는 엑기스 고형분이 4∼5%가 함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