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층 공동주택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esearch of the base smoke control planes for high-rise apartment (고층 공동주택의 제연계획에 관한 기초연구)

  • Son, Bong-S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4 no.3 s.14
    • /
    • pp.89-94
    • /
    • 2004
  • Recently, the cityward tendency of the population has caused the construction of a high rise apartment increased, because it is possible for many people to dwell on a small ground area in an apartment. In the future the number of the constructed high-rise apartment units will also increase, because many people require a better environment and more improved space of their life. However, apartment buildings with many dwellers in spite of small area are exposed to great dangers, particularly fire. So the adaptable control methods of smoke which is the most dangerous to people in a fire were proposed by an analysis on some standards for the fire in this study.

A Basic Study on the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of High-rise Apartment Building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성능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이용재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75-83
    • /
    • 2001
  •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evacuation planning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evacuation of occupants on fire event. However the present evacuation planning and regulation for fire safety usually tend to meet the minimum requirements based on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The ultimate goal of the evacuation planning is evacuate occupants rapidly from building fires to the safe areas. In this study, First, analyzed occupants load density and occupants characteristics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Second, A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of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was analyzed with various typical floor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and improve countermeasure through comparative study on the Evacuation regulation and floor plans for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 PDF

A Study on the Evacuation Character and Regulation for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특성 및 관련 법규정에 관한 연구)

  • 이용재;이범재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4 no.1
    • /
    • pp.13-21
    • /
    • 2000
  • Apartment buildings have teen increasing it's height since first appearance in the late 1970 in Korea. Likewise, fire risk and the fire damage of this new dwelling type have become a serious problems. However the applying fire safety design method and regulations are minimum level of requirements based on the current fire co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and improve countermeasure by comparison egress codes between Korea, Japan and U. S. A. The result shows that means of egress of this dwelling should be reviewed by the fire code as well as expected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by a fire protection engineer to minimize fire 1osses including life safety.

  • PDF

Distribution of Heat and Smoke Related to Openings in Hise-Rise Apartment Building Fires (고층 공동주택의 개구특성에 따른 화재시 열.연기유동에 관한 연구)

  • 이지희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2
    • /
    • pp.59-79
    • /
    • 2001
  • The paper proposes alternatives for fire safety in architectural planning through heat-smoke distribution related to openings so that we decrease casualty and property loss by fire and lay a great emphasis on building high-rise apartments with consideration of fire safety in Korea. An analysis program(HFA-Heat Fluid Analysis) is built to perform simultaneously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al analysis on rooms, units and buildings. In consequence, on the first, fire prevention methods are required to be set up related to openings for design rooms since the flow of heat and smoke is influenced by the type of openings in high-rise apartments. Second, the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t planning types cause to show differences in the spreading time of heat and smoke to design the units of high-rise apartments. On the third, each unit building showed different fire behavior depending on openings by numerical analysis and small scaled experiment on heat and smoke flow.

  • PDF

A Study on the High-rise apartment evacuation way and research about efficient fire suppression (고층아파트 피난방법 및 효율적인 화재진압에 관한 연구)

  • Kim, Yoo-Shik;Kim, You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282-288
    • /
    • 2011
  • 본 연구는 고층아파트(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피난해야 효과적인지와 과거 공동주택 화재에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례와 효과적인 피난방법을 연구하며, 그간 사례들을 통하여 사례분석과 객관적인 피난안전에 대해 고찰하고 각 상황별 피난자의 피난 시간 및 경로 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cuation Equipments for Units in High-rise Apartment (고층 공동주택의 세대 내 피난시설의 개발에 관한 연구)

  • Min, Se-Hong;Sa, Jea-Chun;Jang, Young-Jin;Lee, Jae-Moon;Nam, Ju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183-186
    • /
    • 2011
  • 모든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피난시설은 고층부분에서 사용의 제한, 세대 간 보안 및 사용자의 제약 등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되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공동주택의 용도 특성상 조기 피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화재 때문에 세대 내 출구가 폐쇄되고 재해약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우며, 화염과 복사열로부터 안전을 해결하기에는 현재 공동주택에서 보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완강기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피난방법이 적용된 피난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난대피시설"은 공동주택 발코니 또는 외벽에 콤팩트(compact)하게 접혀 있다가 화재 시 수동 또는 감지기와 연동해 쉽게 작동되어 대피공간 용도와 유사시 자력으로 피난층까지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화재실과 접하는 부분은 $1,200^{\circ}C$의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소재로 구성되며 1차적으로는 화재 장소에서 외부 공간으로 일탈한 후에 2차적으로 아래층으로 사다리를 이용하여 피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연구개발의 주안점은 화재 시화염과 복사열로부터 공간 일탈을 하여 재실자를 보호할 수 있는 대피공간의 개념과 피난시설에서 피난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적극적인 피난방법을 접목한 것이 피난시설 개발의 핵심이다.

  • PDF

법령과 고시-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3 s.188
    • /
    • pp.34-35
    • /
    • 2006
  • 건축법 중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의 일부가 지난 2월 13일 개정, 공포되었다. 이번에 개정된 주요 내용은 그동안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기준이 없어 적정수준의 실내의 공기 질을 확보하지 못하여 국민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필요환기 횟수를 시간당 시간당 0.7회 이상이 되도록 하고 다중이용시설 중 지하 역사의 경우 필요 환기량을 1인 기준으로 시간당 25㎡ 이상이 되도록 하는 등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환기설비기준을 정함으로써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피뢰설비의 설치기준을 강화하여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인 고층 건축물은 측면에 낙뢰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개정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의 벼락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지는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 중 신∙구조문 대비표를 게재하오니 회원사 여러분의 많은 참고를 바란다.

  • PDF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to Control the Heights of Apartments in Coastal Areas Considering City Scenery - For Apartments in Coast Region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도시경관을 고려한 해안지역 공동주택의 높이관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해안지역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

  • Kim, Jong Gu;Kim, Yu 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1
    • /
    • pp.377-386
    • /
    • 2013
  • As apartments have been made into high-rise buildings, the residents in the buildings have become to enjoy the benefits. On the contrary, the users of buildings on the back have become to experience many problem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This research studied on measures to improve height control systems focusing on the heights of apartments in order to figure out the impact of apartments on city scenery. This study concluded that, to solve these problems, a general system to control heights should be prepared to solve the problem of visual blocking and for apartment complexes or buildings in coastal areas, regulations for height controls suitable to them should be separately prepared thereby controlling systems related to height controls as a whole instead of those many different systems relating to heights.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Evacuation and Evacuation Facility due to Fire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화재에 따른 피난 및 대피시설의 효율성 제고 방안)

  • Song, Chang-Young;S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83-286
    • /
    • 2016
  • 국내에 다수의 공동주택이 건설되고 있거나 공사중에 있으며 그 수요 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의 공동주택 중 대피공간 규정이 신설된 1992년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은 현재에도 대피공간 및 피난시설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계획 및 시공, 준공된 준초고층의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대피공간 및 이에 준하는 시설은 사생활 침해 및 타 용도 공간 활용 등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피난 및 대피공간에 대한 실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타 시 도의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제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피난시설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관련 현황 및 사례 조사와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피난시설 및 대피공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율성이 높은 대피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 및 인센티브 제도, 가이드라인 등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