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환경

Search Result 67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for the enhancement of employability (고용능력 증진을 위한 고용서비스 사례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 Shim, S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59-160
    • /
    • 2018
  • 본 연구는 고용서비스의 효과적 전달을 위한 실천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고용서비스는 고용능력 증진을 위한 것으로 고용능력 증진을 위해서는 개인요인, 개인환경요인, 외부환경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이중에서 건강, 양육 등 개인문제나 개인환경 증진을 위한 고용서비스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례관리는 통합적고용서비스 전달을 위해 필요한 실천도구가 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고용지원센터는 사례관리에 대한 조직내 합의와 체계 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중량법에 의한 환경대기중 입자상물질의 측정정도 비교(고용량공기채취기, $PM_{10}$ 고용량공기채취기 및 미니용량공기 채취기를 중심으로)

  • 김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29-133
    • /
    • 2000
  • 환경대기중 입자상물질의 검사방법은 환경부고시 97-98호(97. 11. 5)에 의거 고용량공기포집법(high volume air sampler), 저용량공기포집법(low volume ai sampler), 광산란법 및 광투과법 그리고 $\beta$흡수법 등으로 되어 있다. 이중 고용량공기포집법, 저용량공기포집법, $\beta$흡수법등은 중량법의 범주에 드는 측정법으로 되어 있다. 이들 방법 중 먼지채취전후의 무게를 직접 칭량하여 분석하는 고용량공기포집법은 총부유먼지의 측정법으로, 저용량공기포집법은 $PM_{10}$의 분석에 이용되는 것이며 $PM_{10}$ 고용량공기포집기($PM_{10}$ high volume air sampler) 또는 $PM_{10}$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중략)

  • PDF

Performance Assessment for Radionuclides Transport from HLW Repository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부터 핵종이동 평가)

  • 김성기;강철형;이연명;황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41-46
    • /
    • 2001
  • 요오드나 세순 같은 핵종들은 고용해도 핵 종들로서 사용 후 핵연료 내 피복관 이나 연료 결정 경계면에 위치하고 있다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후 지하수가 용기를 부식시키고 용기 내부로 침투하면 고용해도를 가지고 유출된 후 공학적, 천연 방벽을 통해 최종적으로 유출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한 MASCOT-K글 이용하여 고용해도 핵 종들이 조화 유출과 고용해도 유출할 경우 유출 량을 평가 분석해 보았다. 평가 결과 요오드와 같은 고용해도 핵 종인 경우 전체 핵 종 재고량의 최대 10%만이 고용해도 유출을 하지만 그 영향은 조차 유출에 비해 훨씬 중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 고 준위 처분 환경에서 보수적인 시나리오로 주목받고 있는 우물 굴착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우물까지의 거리 등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을 평가해 보았다. 36,000 톤의 사용 후 핵연료를 처분 대상으로 했을 때 성능 평가 결과는 현재 처분 개념이 안전함을 입증한다.

  • PDF

The Evolution of Smart Technology and its Impact on the Future of Employment (스마트기술의 발전과 고용환경 변화 전망)

  • Chung, J.H.;Lee, S.M.;Shin,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2
    • /
    • pp.1-15
    • /
    • 2014
  • 기술혁신이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은 산업혁명 시기부터 시작된 오래된 경제학적 이슈다. 개별 기술혁신의 영역과 성격, 산업 특성에 따라 상이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고용변화를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쉽지 않고 기술혁신에 따른 고용 보상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 또한 어렵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혁신이 대체해온 인간의 능력이 주로 육체적인 것이었던 점에 비해 빠르게 진화 중인 스마트기술은 인간의 지적능력의 상당부분을 모사할 것으로 보여 주의가 요구된다. 인간 고유능력인 지능을 확장하고 나아가서는 자체적으로 인간 지능을 기술 자체에 내재화해 나가고 있는 스마트기술의 발전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의료, 법률, 금융, 교육 등 복잡한 전문 지식과 상호작용이 필요한 영역의 업무환경과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스마트기술에 의한 고용 대체가능성에 대한 경고에만 집중하는 것은 새로운 산업창출과 경제성장동력을 간과할 수 있다. 균형잡힌 미래 전망과 정책적 대비가 필요하다.

  • PDF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n Settlement Consciousness: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노동환경 만족도가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 Jung-Yoo Kim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2
    • /
    • pp.93-100
    • /
    • 2023
  • This study used Gangwon provincial social survey data(2021) to verify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main working population on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 employment stability. The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ree sub-factors: income satisfaction, working conditions satisfaction, and community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three sub-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ttlement consciousness.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ffected settlement conscious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preventing outflow of the local population by revealing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화물연대를 통해 본 특수고용노조운동의 동학

  • Yun, Yeong-Sam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95-131
    • /
    • 2008
  • 조직적 침체를 겪고 있는 특수고용노조들과 관련하여 초기조직화 후 노조활동경험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 글은 특수고용노조운동으로서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전개해온 화물연대의 노조활동경험을 사례분석하여 특수고용노조 나아가 비정규노조의 활동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노조운동의 동학'은 무엇인가를 탐색하였다. 연구자료로서 노조의 문서자료와 관련 연구결과자료 등을 이용하였다. 먼저 화물연대의 동학의 배경을 이루는 화물연대 5년의 전개과정을 환경, 전략, 요구, 조직, 투쟁, 교섭의 측면에서 그리고 성과와 한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화물연대의 전개과정에서 볼 수 있는 특수고용노조운동의 특수한 동학을 특수고용노조운동에 함의를 갖고 있다고 보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재정리하는 방식으로 추출하였다. 특수고용노조운동의 동학으로서 노동자성 불인정의 악영향, 노동자집단의식 형성의 어려움, 조직확대의 어려움, 조직의 동맥경화 가능성, 간부의 취약성, 대상, 공간 및 수준의 복잡성으로 인한 어려움, 높은 내외이질성으로 인한 어려움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동학을 고려하여 초기조직화 이후 특수고용노조들이 집중해야 할 활동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특집 - 인쇄작업 환경개선 사업 정부지원 다양 - 유해환경 없애고 고용환경 개선하고 클린 사업장 만드세요 -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s.71
    • /
    • pp.92-105
    • /
    • 2008
  • 인쇄기기의 경우 인쇄속도가 시간당 1만장2만장을 넘어섰다. 인쇄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인쇄용지도 점점 고급화되고 있다. 이처럼 인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점점 고급화되고 있는 반면 인쇄근로자들의 근무환경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업체들이 인쇄작업을 할 때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기계작동시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물건이송이나 종이 뒤집기 작업 등에서 고강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남성 직원만을 뽑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유럽의 경우 여성들이 인쇄사에서 작업을 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많은 보조기구들이 있어 여성 혼자 작업을 해도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작업환경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노동부의 고용환경개선지원금과 한국산업안전공단의 클린사업지원, 근골격지원, 유해환경해소 사업 등이 그것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노동환경개선을 위한 사업들에 대해 알아보고, 인쇄사에 보조기기를 납품하고 있는 업체와 실제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업체를 만나보았다.

  • PDF

The Impact of Employment Precariousness on Depression: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recarious Employment (고용 불안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불안정 고용의 다차원적 개념을 중심으로)

  • Che, Xianhua;Moon, Dase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4
    • /
    • pp.677-688
    • /
    • 2022
  • Precarious employ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including depress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multidimensional definition of precarious employment and examine its impacts on depression. Using the fifth save of the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we first measured six different dimensions of employment precariousness: temporariness, disempowerment, vulnerability, difficulty exercising rights, unpredictability of working times, and low wage. All of six precariousness indicators consisted of a scale from 0 to 100. Then, we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precariousness and depression. For men, the risk of depression increased by 3.1%, 1%, and 0.5%, respectively, for each one point increase in vulnerability, difficulty in exercising rights, and unpredictability of working times. For women, the risk increased by 0.5%, 2.3%, and 0.8%, respectively, for each one point increase in temporariness, vulnerability, and difficulty in exercising rights. Our findings suggest that not only a secure employment contract, but also their substantive labor rights should be guaranteed for health for workers.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Typ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Relations Characteristics and Job Involvement in Hotel Corporations (호텔기업에서 고용관계특성과 직무몰입의 관계에 대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 Kim, Yong-Soon;Hwang, Q-Jee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5
    • /
    • pp.314-321
    • /
    • 2009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relations characteristic and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in hotel corporations. Using data from 238 employees from hotel corporations, this research shows the results in the below.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relations characteristic(employment security and peer relationships) and job involvement. Second, the employment type does not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relations characteristic and job involvement. Third, employment security and peer relationships are powerful factors to predict job involvement in both form of worker.

Comparison of Occupational Danger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of Workers according to the Form of Employment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자의 위험 및 건강에 대한 비교)

  • Oh, Changseok;Jeon, Hui Won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 /
    • v.14 no.1
    • /
    • pp.111-122
    • /
    • 2020
  •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compare indirect form of employment with direct form of employment on the variables of occupational danger and physical health. Methods: I studied based on the data of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hich was performed by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 2017. SAS 9.4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inal data. Results: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the hazard is higher for direct employment than for dispatch or subcontract in case of exposure to risks i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industry. Based on cross tabul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portions of harmful and safe tasks in direct employment and those in outsourcing in the physical health industry.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hazard is 2.18 times higher in outsourcing jobs than in direct employment.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dispatch and subcontract partner as a strategic partner and not simply hand over dangerous or hard tasks to them. Active and aggressive cooperation along with support from the employer enterprise built in the contract is necessary for the safety and health of dispatch or subcontract labor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