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n Settlement Consciousness: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노동환경 만족도가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 Jung-Yoo Kim (Dept. of 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 Soongsil University)
  • 김정유 (숭실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 Received : 2023.02.14
  • Accepted : 2023.03.21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his study used Gangwon provincial social survey data(2021) to verify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main working population on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 employment stability. The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ree sub-factors: income satisfaction, working conditions satisfaction, and community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three sub-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ttlement consciousness.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ffected settlement conscious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preventing outflow of the local population by revealing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ubjective employment stability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본 연구는 2021년 강원도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주요 노동 인구의 노동환경 만족도가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노동환경 만족도는 근로소득 만족도, 노동여건 만족도, 지역생활 만족도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동환경 만족도의 3가지 하위영역과 주관적 고용안정성은 정주의사와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노동환경 만족도의 3가지 하위영역이 정주의사에 영향을 미칠 때 주관적 고용안정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노동환경 만족도와 주관적 고용안정성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지방 인구유출 예방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한 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20년 출생통계", 2021.
  2. 조영태, "인구학의 눈으로 기획하는 미래-인구 미래 공존", 서울: 북스톤, 2021.
  3.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지정 고시", 2021-66, 2021.
  4. 김현호, "지방소멸 위기지역 활성화 전략", 지방자치 이슈와 포럼, 39, pp.10-21, 2021.
  5. 통계청, "인구이동통계", 2021.
  6. 최재국.문국경, "사회적 자본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위험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3), pp.77-95, 2021. https://doi.org/10.21026/JLGS.2021.33.3.77
  7. 장철규, "도시재생사업이 장소애착 및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대구시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55(2), pp.58-72, 2020.
  8. 고가온.김희수.정석, "완주군 청년공간이 청년의 정주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6), pp.103-118, 2019.
  9. 황성호.이희선,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주의식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공공관리학보, 33(2), pp.1-36, 2019. https://doi.org/10.24210/KAPM.2019.33.2.001
  10. 엄창옥.노광욱.박상우, "지역청년의 정주 및 귀환 결정요인: 대구지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6(3), pp.259-283, 2017. https://doi.org/10.22921/JRS.2018.26.3.013
  11. 김경수.허윤수.서옥순.최효비.이우평.이진숙.최청락, "부산 청년인구 유출입 특성과 청년인구 유지 방안", 연구보고서 현안연구, pp.1-130, 2022.
  12. W. A. Lewis, "Economic Development with Unlimited Supplies of Labor", Manchester School of Economic and Social Studies, 22, pp.139-191, 1954. https://doi.org/10.1111/j.1467-9957.1954.tb00021.x
  13. M. P. Todaro, "A Model of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merican Economic Review, 59, pp. l38-148, 1969.
  14. 임형섭, "지역 청년층 취업이동 분석 및 정책적 대응", 정책연구, 나주: 광주전남연구원, 2022.
  15. 정성호,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 한국인구학, 31(2), pp.133-155, 2008.
  16. 박해긍, "지역주민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2), pp.163-174, 2018.
  17. 김리영.양광식,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3), pp.1-20, 2013.
  18. 최형재, "지역의 사회․문화 여건이 대졸자들의 지역이동에 미치는 효과", 노동정책연구, 22(2), pp. 97-125, 2022. https://doi.org/10.22914/JLP.2022.22.2.004
  19. 최지연.홍은영, "수원시민의 삶의 만족과 도시정서 변수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학, 17(1), pp.89-122, 2016.
  20. 박해옥, "생활권의 주거의 질이 정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경제연구, 12(3), pp.193-214, 2014.
  21. 이희창.박희봉.정우일,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13(3), pp. 147-167, 2004.
  22. 손정목, "정주권 구상의 배경과 본질", 도시문제, 16(2), pp.8-19, 1981.
  23. J. H. Oh, "Social bonds, and the migration intention of elderly urban resi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22, pp.127-146, 2003. https://doi.org/10.1023/A:1025067623305
  24. 황윤원.임장근.송용찬, "혁신도시 이전기관 직원의 지역통합방안 연구: 정주의사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8(4), pp.141-163, 2014. https://doi.org/10.17327/IPPA.2014.28.4.006
  25. 김영아.Noel Bonneuil, "불안정 고용의 동태적 분석: 주관적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정책연구 2019-13,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2019.
  26. 강은영, "코로나 고용불안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소진과 지식은폐의 매개효과와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및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27. 강미.이지언.유용상, "스포츠강사의 고용불안과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pp. 83-96, 2016.
  28. 허용덕.정기성, "식음료접객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고용불안정의 매개효과분석", 관광레저연구, 28(4), pp.319-335, 2016.
  29. 최점수.변상해, "중소기업 법정관리회사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9(5), pp.181-192, 2014.
  30. 통계청, "주민등록 인구통계", 2021.
  31. 이제연.김현호, "강원도 인구이동 분석을 통한 지역특화발전 방안연구", 정책이슈리포트, 원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1.
  32. R. M. Baron &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