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온 XRD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31초

고온 XRD 분석법을 이용한 카라테파 불교사원 출토 점토벽돌의 소성온도 추정연구 (Estimation Study of Firing Temperature for Fired Clay Brick Relics Excavated from Buddhist Temple in Karatepa Using Analytical Method of High Temperature X-ray Diffraction)

  • 한민수;이장존;김재환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1-520
    • /
    • 2016
  • 본 연구는 고온 XRD 분석법을 적용하여 우즈베키스탄 카라테파 불교사원에서 수습한 점토 재질로 된 벽돌의 소성온도를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원에서 수습한 점토벽돌의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알칼리장석, 운모, 녹니석, 석회석, 각섬석 등이 동정되고, 일부 시료에서 석고가 확인되며, 석고는 벽돌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소성온도 추정결과, 구운 벽돌인 UZ-1시료에서 석영, 사장석, 휘석계열의 광물이 동정되어 지질온도계를 이용한 소성온도는 $900{\sim}1200^{\circ}C$로 추정된다. 반면 점토벽돌인 UZ-5에 고온 XRD 분석법을 적용해 보면, $1000^{\circ}C$에서 석회석이 소멸하고, $1050^{\circ}C$에서 녹니석의 회절 피크가 약해지는 것으로 보아 소성온도는 $1000{\sim}1050^{\circ}C$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휘석계열의 광물은 재현실험에서 $1050^{\circ}C$에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고온 XRD 분석 결과에 의한 소성온도 추정은 일반적인 광물 동정법에 비해 보다 정확한 추정이 가능하며, 실험 하에서 광물의 소멸 및 생성 온도 영역을 살펴볼 수 있는 분석법임을 확인하였다.

XRD를 이용한 고강성 탄소섬유의 이산화탄소 산화 중에 발생하는 구조변화 해석 (Microstructural Evaluation of $CO_2$ Oxidation Process of High Modulus Carbon Fibers by XRD Analysis)

  • 노재승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228-228
    • /
    • 2003
  • 고강성 탄소섬유는 높은 비강도 및 고 강성 특성 때문에 탄소-탄소 복합재료의 가장 우수한 강화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 섬유는 미세 결정립의 높은 이방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높은 흑연화 특성은 기계적, 전기적, 전기적 그리고 화학적 특성 등을 좋게한다. 이러한 모든 방면에서의 우수한 특성 때문에 항공우주 재료분야에 의심 없이 가장 우수한 재료로 고려되고 있다. 이렇게 가벼우면서 고온강도가 요구되는 재료로써 탄소재료가 이용되면서 rocket의 nozzle이나 nosecone으로의 응용에는 고온 산화가 중요한 연구주제로 대두되어 왔다. 탄소재료의 산화반응은 결정구조 인자 및 그 배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출발원료 및 제조 조건에 따라 그 구조 및 배열이 현격하게 달라진다. 탄소재료의 구조 해석은 주로 TEM과 XRD를 이용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은 오래 전부터 탄소재료 연구에 TEM에서 얻은 상이 불확실하고 문제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최근 TEM 장치의 발달과 더불어 실제 구조를 얻기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TEM 시편은 여전히 작고 시편으로부터 얻는 정보는 불과 nm 수준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TEM으로 얻은 정량적인 정보는 불과 특정한 점에서의 정보이기 때문에 여전히 논란의 소지가 많다. XRD는 탄소재료의 미세구조 해석을 위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는 분석기기이다.

  • PDF

XRD 분석을 이용한 고온가열 무기계 내화 접착제의 성분검토 (Examination of Ingredients of High Temperature Heat Resistant Inorganic Fire-Resistant Adhesive Using XRD Analysis)

  • 조현서;지우람;신기돈;이건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1-82
    • /
    • 2018
  • The structure of the RC structure is actively reinforcing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which has suffered from aging, artificial and natural damage of the building. Among various reinforcement methods, epoxy adhesive is used to attach FRP in FRP reinforcement method which is reinforcing by attaching FRP to the structural part. At this time, the epoxy adhesive having a low critical temperature has a sudden adhesive failure upon exposure to heat, and thus, the development of an inorganic fireproof adhesive having a high critical temperature has progres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al change of inorganic fire - resistant adhesiv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heat was analyzed by XRD.

  • PDF

고온에 노출 된 시멘트 매트릭스의 미세구조 특성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Cement Matrix Exposed to High Temperature)

  • 이건영;이건철;최중구;高山;허영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25
    • /
    • 2015
  • To secur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performance change in concrete structure damaged by fire, this study analyzed SEM and XRD of hardened cement depending o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As a result, at more than 200℃, SEM and XRD were not observed because of dehydration of Ettringite; at more than 500℃, calcium hydroxide was rapidly decomposed; at more than 700℃, calcium oxide was found; at 1000℃, the highest peak point appeared.

  • PDF

플라즈마 용사된 알루미나-지르코니아 복합체의 고온 마모, 마찰 거동

  • 김장엽;임대순;안효석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5년도 제21회 학술대회
    • /
    • pp.72-8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고온 내마모 부품에 사용되는 지르코니아계 세라믹을 이용하여 spray drying법으로 알루미나의 첨가량을 변화시킨 지르코니아-알루미나 복합 분말을 사용하여 플라즈마 용사법에 의해 코팅을 얻었다. 얻어진 코팅의 고온에서의 마모, 마찰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모, 마찰실험은 상온~180$^{\circ}$C까지 수행하였으며 마모전과 후의 변화를 XRD, TEM, SEM 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복합섬유가 혼입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가열에 따른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Composite Fibers in Accordance with High Temperature)

  • 김승기;김우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63-71
    • /
    • 2015
  • 본 연구는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온도 변화에 따른 내화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로 고강도 콘크리트에 고온이 가해질 경우 발생되는 폭렬현상에 대하여 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하이브리드섬유와 강섬유를 함께 혼입하여 만든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온도 변화($100{\sim}800^{\circ}C$)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 및 역학적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폭렬현상을 막는 대책 중의 하나인 섬유 혼입을 통한 방법을 사용하여 SEM 및 XRD 분석 등의 방법으로 고온을 받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 및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 미세조직의 특성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 태순호;이병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1-40
    • /
    • 1998
  •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 미세조직의 변화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 재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배합비와 쇄석으로 시험체를 제작하여 고온에 노출시킨 후 SEM!EDX, XRD 및 DSC-TG로 분석하여 각 온도별로 강도와 미세조직 특 성을 분석하였다.

  • PDF

음극 아크법으로 증착한 ZrO2/Al2O3 박막의 고온특성 (High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cathodic arc deposited ZrO2/Al2O3 thin films)

  • 이동복;;김선규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4-175
    • /
    • 2012
  • 음극 아크법으로 증착한 $ZrO_2/Al_2O_3$ 박막의 고온특성을 대기중 $600-900^{\circ}C$에서 50시간동안 노출시킨후 XRD, XPS, AES. SEM, 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비정질이었고, 고온에서 가열함에 따라 점차 결정질로 바뀌었다.

  • PDF

TiAl합금의 고온산화에 미치는 V, Mo, Nb의 영향 (Effect of V, Mo, Nb on high temperature oxidation of TiAl)

  • 장유동;이동복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57-157
    • /
    • 2003
  • TiAl 금속간화합물은 저밀도, 고용융점 및 우수한 고온강도 둥의 여러 장점을 지녀 고온의 열악한 부식성 분위기에 노출되는 가스터빈, 자동차 엔진부품 등에 사용하기 위해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합금의 실용화에 장애가 되는 가장 큰 문제점은 나쁜 저온인성, 고온가공의 어려움 및 고온에서의 나쁜 내산화성이다. 일반적으로 V는 상온연성을 증진시키지만 내산화성을 감소시키고, Nb는 상온연성과 내산화성을 증진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Mo는 강도와 연성을 증진시킨다. 이들 첨가원소의 산화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고온산화실험을 실시하고, 산화막의 구조, 산화막의 종류 및 형성과정을 SEM/EDS, EPMA 및 XRD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PDF

나트로라이트 탈수현상의 압력의존성에 관한 연구 (Pressure Effects on the Dehydration Behavior of Natrolite)

  • 황길찬;장영남;류젠시안;이용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5-187
    • /
    • 2013
  • 나트로라이트(Na-제올라이트)의 탈수현상에 따른 변화와 특성을 라만 및 X-선 회절실험을 통하여 고온, 동시적인 고온-고압 하에서 특성을 확인하였다. 고온실험은 최고 온도범위에 따라 ${\sim}450^{\circ}C$까지 증온한 XRD 실험에서는 가역적 변화를 관찰하였고, ${\sim}630^{\circ}C$까지 증온한 라만분광실험에서는 포스트라트로라이트로 상전이하는 비가역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온과정 약 $380^{\circ}C$에서 포스트 나트로라이트 상이 나타나는 온도구간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하였다. 동시적인 고온-고압 하(상온 < T < $300^{\circ}C$, 0 GPa < P < 2.1 GPa)에서 나트로라이트 분광선의 이동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