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수밀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tudies on the Durable Characteristics of Self-Healing Concrete with High Water-Tightness for Artificial Ground (인공지반용 고수밀 기반 자기치유성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에 관한 연구)

  • Song, Tae-Hyeob;Park, Ji-Sun;Kim, Byung-Yu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 /
    • v.35 no.9
    • /
    • pp.199-206
    • /
    • 2019
  • Experimental study on the durability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concrete with high water-tightness and self-healing performance to minimize maintenance of concrete for artificial ground is as follows. 1) When blending agent, swelling agents, and curing accelerator were added on the ternary system cement with blast-furnace slag fine particles and fly ash to give a self-healing property, higher blending strengths by 82% at design standard strength of 24MPa and by 74% at design strength of 30MPa, respectively could be obtained. 2) The permeability test for the specimens having high water-tightness and no shrinkage showed that the permeability was reduced at maximum of 98%. However, the permeability was decreased as the design strength was increased, showing the reduction rate of 87% at the design strength of 50MPa. 3) The depth of carbonation of blast-furnace slag and fly ash was increased in all the specimens compared with those of OPC only. However, as the material age was increased, carbonation penetration depth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blend. 4) Compared with the reference blending using only OPC, the freeze-thaw resistance was higher in the case of blending with 40% of blast-furnace slag and 10% of fly ash at the design standard strength of 50MPa. In addition, the freeze-thaw resistance in general was superior in the design standard strength of 50MPa with the lower water-binder ratio (W/B) as compared with the design standard strength of 24MPa and 30MPa with the high water-binder ratios.

Analysis of fish habitats suitability by vegetation density and flow changes (식생밀도와 흐름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적합도 분석)

  • Choi, Mikyoung;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3-493
    • /
    • 2022
  • 본 연구는 식생밀도와 흐름에 따른 수치모형(Nays2D)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서식처 적합도 분석 모델(PHABSIM:Phsical Habtiat Suitability Model)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하상 지형 변화가 어류 서식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금강 부용리 인근 2km를 대상으로 2차원 모형인 Nays2D를 적용하여 흐름(댐 방류량, 2년 빈도 유량, 100년 빈도 유량 등)과 식생밀도(식생미반영, 현재 밀도, 밀도 감소, 밀도 증가 등)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모의 결과값(단면 표고, 유속, 수위)을 물리적 서식처 평가 모델인 PHABSIM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피라미 서식을 위한 적정 유속과 수심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여 각 시나리오 별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단면 구조의 변화가 WUA 면적과 피라미 서식처 적합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목 밀도를 미반영한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PHABSIM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가중가용면적이 가장 높았고, 식생 밀도를 증가시킨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WU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측면에서 식생이 적어 특정 유량에 따른 하상변동의 폭이 커지면서 저수로 최저하상과 고수부 하상과의 표고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상 단면이 피라미의 서식처 측면에서 유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특허기술평가활용사례-(주)미크로닉

  •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 발명특허
    • /
    • v.30 no.12 s.354
    • /
    • pp.60-64
    • /
    • 2005
  • 전기모터는 과학의 발달을 통한 전기제품의 다양성과 동시에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렇듯 전기모터는 내부의 구조변경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유도모터, 직류모터, BLDC모터로 나눠진다. 이 중 유도모터는 제작 및 사용성이 좋지만 구조가 간다하여 정밀성을 요구하는 용도에는 부적합하여 선풍기와 제분기에 쓰이고 있다. 이에 직류모터는 정밀제어가 용이하여 서보제어 등 고급응용기술에 사용되고 있으나, 직류모터의 치명적인 단점인 모터 안에 있는 브러시와 정류자의 기계적인 접촉전환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브러시나 정류자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한 고성능 제품인 BLDC모터는 RC제품 또는 첨단 의료기기에 장착되는 모터로 고수명, 고정밀도, 저소음을 자랑하고 있으며 산업용 로봇 등에 장착되어 현재 전 세계에 수용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 PDF

Skin aging and Antioxidants (피부노화와 항산화제)

  • 박수남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3 no.1
    • /
    • pp.75-132
    • /
    • 1997
  • 피부는 항시 산소와 접촉하고 있고 자오선 조사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활성산소종으로 유도된 피부의 광산화적 손상 위험이 실질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활성산소종이란 한 무리로서 수퍼옥사이드 음이온과 히드록실 라디칼과 같은 산소 중심의 라디칼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과산화수소나 싱글렛 옥시전과 같은 몇 종류의 비라디칼종들, 그 외의 다른 것으로, 활성산소종과 생체 성분과의 반응으로 유래된 과산화 라디칼, 알콕실 라디칼, 히드로과산화물 식세포에서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HOCl등을 포함한다. 피부에는 복잡한 항산화 방어망이 발달되어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보호작용을 한다. SOD,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퍼옥시다제 등의 항산화효소와 $\alpha$-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카로티노이드 등의 비효소적 항산화 물질들이 피부 항산화 방어망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된 자외선에의 노출로 생성된 과잉의 활성산소종은 실질직으로 피부의 효소적 그리고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를 위태롭게 한다. 따라서 균형은 산화상태 쪽으로 유리하게 기울어진다 결과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 성분들에 대한 손상을 야기시킨다.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밀 비장성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이 일어난다. 결국에는 탄력감소,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피부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필요한 항상화제를 함유한 식품이나 화장품을 통한 계속적인 항산화제 보충으로 피부 항산화 방어망을 견고히 할 때 피부노화는 지연되고 억제될 것이다.주거를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절반 가량(52.2%)의 상점들이 다른 사람 소유의 건물을 전 ·월세로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수동굴 주변의 상업적 특성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기 고장에 있는 관광자원을 내 고향의 자랑거리로 생각하고 이를 지역발전의 밑거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광지로서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다른 관광동굴과의 차별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다른 지역의 기념품점에서 구입할 수 없는 고수동굴만이 갖고 있는 특징적인 기념품을 판매함으로써 관광객의 구매욕구를 높인다거나 고수동굴의 일주관광 후 관광객을 좀 더 머무르게 할 수 있는 시설의 개발이 더 필요하다.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이 많았으며 12주에서 vehicle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도 많으므로 3-APPA가 APSA 보다 광범위한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선박금융제도의 개선과 신금융상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내수 수요인 계획조선의 지원조건을 개선하고 연불수출자금을 BBC자금으로 활용토록하여 국내 선주들의 신조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그 외에 향후 금융개방화에 맞추어 해외자금을 활용한 리스금융, 상사금융 등의 민간신용제도를 더욱 활성화하고 선진국의 선박금융기법에 대한 연구 및 도입 등 선주들에게 다양한 선박건조자금을 제공하여 내수기반 확충에도 노력해야 할 것 이다.있었다., 인삼이 성장될 때 부분적인 영양상태의 불충분이나 기후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 PDF

Improvement of flood-stage forecast using the HPG in the lower Nakdong River (HPG를 이용한 낙동강 하류구간 홍수위 예측 정확도 개선)

  • Kim, Ji-Sung;Kim, Won;Choi, Kyu Hyun;Kim, Keuk Soo;Kim, T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42-242
    • /
    • 2016
  • 낙동강 하류구간인 남강합류점에서 낙동강하구둑까지는 하상경사가 약 1/10,000보다 작은 매우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홍수기 고수위를 장시간 유지하는 등 홍수소통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하상경사가 매우 완만한 하천에서는 홍수파의 전파 특성이 하상경사, 수심경사, 그리고 이송가속도와 국부가속도 경사 등 운동량 방정식의 각 항 모두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낙동강 하류구간의 홍수분석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는 대상구간에 유입하는 홍수수문량의 크기 및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천 본류로 유입하는 지류의 홍수량을 산정하는 보편적인 방법은 지류 하류의 수위관측소에서 구축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류 수위의 배수영향을 받는 지류 하류 구간에서는 단일 수위-유량관계의 결정이 불가능하므로 지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구간(창녕 함안보~낙동강하구둑) 유역면적의 약 45% 이상을 차지하는 밀양강 유역의 홍수기 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HPG(Hydraulic Performance Graph)를 이용하였다. HPG는 배수영향을 받아 시시각각 수리특성이 변화하는 구간에서도 유량 및 상하류 수위 등 수리특성 추정에 합리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 태풍 산바 사상을 대상으로 HPG를 이용하여 산정한 밀양강 홍수량과 기존 수위-유량관계로 산정한 홍수량을 각각 경계조건으로 사용한 경우로 구분하여, 낙동강 하류구간 주요 지점인 삼랑진과 구포의 홍수위 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기존 방법과 HPG를 이용한 방법 모두 예측시점이 첨두발생 시각에 가까워질수록 평균오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존 방법은 예측시점에 따라 평균오차의 변화가 단조롭지 않고 진동이 발생한 반면, HPG를 이용한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오차의 감소가 단조롭고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오차 또한 작았다. 본 연구결과, 배수영향을 받는 지류 하류구간에서 HPG를 이용한 유입량 산정은 본류 홍수위 예측 정확도 개선을 위한 경제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emperature Inversion off Wasaka Bay in the East Sea, June of 1995 and 1996

  • Lee Chung-Il;Cho Kyu-Dae;Yun Jong-Hw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0 no.1 s.20
    • /
    • pp.55-59
    • /
    • 2004
  • Temperature inversion off Wasaka Bay in the East Sea was studied using data measured on a CREAMS cruise in June of 1995 and 1996. Temperature inversion occurred mainly at the upper layer of the thermocline at a depth of no more than 20 m and around the thermal front between the TWC and the coastal waters of Japan. At some stations. temperature inversion had an influence un density inversion, while, in some other stations, high salinity water prevented density inversion.

  • PDF

Intermediate Culture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the East Coast of Korea (동해안 참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중간육성)

  • Park, Young-Je;Rho, Sum;Lee, Jeong-Yong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3 no.4
    • /
    • pp.339-351
    • /
    • 2000
  •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sustained fastest growth, lowest mortality and abnormality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were identified from field experiments undertaken at Chumunjin during 1991-1998. Temperature within the water column 10~30 m depth ranged between 5 and 23$^{\circ}C$; high temperature and daily fluctuation resulted in growth retardation and heavy mortality of the scallop. Optimal salinity range was between 31.5 and 34.5%0 and water transparency 6.0 and 18.1 m, which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phytoplankton density. Chlorophyll concentration ranged between 0.04 and 3.51 f.lgfL. Low temperature and high chlorophyll concentration appear to support faster growth of the scallop. Optimal periods of transplantation for intermediate culture were between mid July and early November: cultured under high density during July-August as a first step and under low density during mid September through early November as a second step. Optimal stocking density in square net cage (<35${\times}$35 em) for intermediate culture was 30-40 individuals per cage for main culture using lantern net and 80 -100 individuals of the size of 1.5 ~ 3.0 em shell height per cage for sowing culture. During the intermediate culture, the highest growth was realized, when the cage was held at water depth between 10 and 15 m. Water depth below 25 m, however, was best to avoid mass mortality during the periods of abnormally high water temperature and high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The daily growth rate during the intermediate culture was between 0.019~0.381 mm; low in January and February but high in March and April. It is suggested that the main culture is commenced before June under low stocking density to avoid the possibility of mass mortality during summer by high water temperature.

  • PDF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Dietary Feeding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먹이 섭취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 김철원;고강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2 no.1
    • /
    • pp.28-34
    • /
    • 2004
  • The feeding, clearance rate, and ingestion rat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investigated with small group (10.8$\pm$.58 mm in shell length) and large group (37.5$\pm$3.8 mm in shell length) under combination in water temperature (24, 27, 33, $36^{\circ}C$) With salinity (12, 15, 24, 27$\textperthousand$). The maximum feeding, clearance rate, and ingestion rate in small and large groups were $27^{\circ}C$ and 27$\textperthousand$, respectively. While, The minimum feeding, clearance rate, and ingestion rate in both groups were $36^{\circ}C$ and 12$\textperthousand$, respectively. Ther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he feeding, clearance rate, and ingestion rate of Manila clam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reason for the mass mortality of Manila clam during the heavy rainfall in summer season can be explained by high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root zone and root growth of gineng (개체별인삼근권(個體別人蔘根圈)의 화학(化學) 및 미생물특성(微生物特性)과 근생육(根生育)과의 관계(關係))

  • Park, Hoon;Lee, Myong-G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2 no.2
    • /
    • pp.131-137
    • /
    • 1989
  •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root zone of neighboring large and small ginseng in a high yield field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root growth. $NO_3-N$, $NH_4-N$, and available P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 for large root but Ca high. The contents of $NO_3-N$ or $NH_4-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ine root development. Precipitation quotient of humic acid tended to be high for large roots. The population of one dominant bacteria was significantly high for large root. The ratios of bacteria to fungi or actinomycet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ne root development.

  • PDF

Properties of Barley for Extrusion Processing (보리의 Extrusion 가공적성)

  • Lee, Dong-Sun;Rha, Cho-Kyun;Suh, Kee-Bo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25 no.3
    • /
    • pp.119-125
    • /
    • 1982
  • Using piston type extruder, barley flour was extruded at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The used variables were three shear rates (apparent shear rate 118, 534, $1169sec^{-1}$), four extrusion temperatures(90, 120, 150, $180^{\circ}C$) and three moisture contents (15, 25, 35%).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the extrudate quality were monitored in extrusion. Barley flour showed pseudoplastic behavior having average power law index 0.28 in used shear rate range. When viewed from general appearance, die swell, density, water uptake, rehydration swell and gelatinization degree of extrudate, $25{\sim}35%$ moisture and $120^{\circ}C$ temperature was suitable processing condition for noodle-like product, and 25% moisture and $150^{\circ}C$ temperature was good for snack or flake product. Moisture content of the extrudate can be pretty well estimated from energy balance at higher temperature and higher moisture cont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