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of Barley for Extrusion Processing

보리의 Extrusion 가공적성

  • 이동선 (농어촌개발공사 식품연구소) ;
  • 라조균 (메사츄세츠 공과대학 영양식품학과) ;
  • 서기봉 (농어촌개발공사 식품연구소)
  • Published : 1982.09.30

Abstract

Using piston type extruder, barley flour was extruded at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The used variables were three shear rates (apparent shear rate 118, 534, $1169sec^{-1}$), four extrusion temperatures(90, 120, 150, $180^{\circ}C$) and three moisture contents (15, 25, 35%).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the extrudate quality were monitored in extrusion. Barley flour showed pseudoplastic behavior having average power law index 0.28 in used shear rate range. When viewed from general appearance, die swell, density, water uptake, rehydration swell and gelatinization degree of extrudate, $25{\sim}35%$ moisture and $120^{\circ}C$ temperature was suitable processing condition for noodle-like product, and 25% moisture and $150^{\circ}C$ temperature was good for snack or flake product. Moisture content of the extrudate can be pretty well estimated from energy balance at higher temperature and higher moisture content.

피스톤형의 extruder를 사용하여 조건별 보리의 extrusion 가곡적성을 검토하였다. 비교 검토된 가공조건으로서는 원료 보리가루의 수분함량 15, 25, 35%, 겉보기 전단속도 118, 534, $1169sec^{-1}$, extrusion 온도 90, 120, 150, $180^{\circ}C$가 조합되어 사용되었다. extrusion에서의 보리가루의 물성적 특성과 가공된 제품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전단속도 범위에서 보리가루는 평균유동계수 0.28을 갖는 의가소성의 물성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제품의 종합적 외관, 다이 팽윤(die swell), 밀도, 가수복원성, 복원시 팽윤, 호화도등을 고려하고, 실제의 extrusion가공시 전단속도의 조정을 감안한다면 수분함량 $25{\sim}35%$$120^{\circ}C$ extrusion 온도 조건이 국수류와 같은 제품에 적합한 가공조건이었고, 수분함량 25%와 $150^{\circ}C$ extrusion온도 조건이 스넥이나 후레이크 제품의 가공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의 고수분함량에서의 extrusion시 extrusion제품의 수분함량은 에너지수지로부터 상당히 잘 예측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