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수동굴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n the Environment and Inhabitant of Gosu Cave in Sindanyang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 Kim, Byoung-Woo;Park, Sang-Young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7
    • /
    • pp.11-20
    • /
    • 2005
  • The envirronment of Gosu cave and distribution of inhabitant were surveyed every month from 2002, April to 2003, march. in Gosu Cave, average temperature in summer was $16^{circ}C$ and in winter $14^{circ}C$. Average humidity in summer was $85\%$ and in winter $90\%$. At the entranceof cave in the site 1, trogloxenes:4 species were observed. Troglophiles: Diestrammena japanica was a large population. inside of cave in the site 2 and in the middle Part of the site 3, troglobites:4 species, troglophiles:2 species, trogoxenes: Rhinoiophus ferrumeqinum korai, skleroprotopus laticoxalis longus were observed. Galloisiana sp. were observed on the ground of the Sindong in the site 4, Pseudocrangonyx asiaticus were obserued in the water of yongsu valley. Troglobites have to be preserve as cave animals living in the darkness for a long time.

Environmental Variation in Gossi and Gosu Caves, Korea (천연기념물 고씨굴과 고수동굴의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 Choi, Don Won;Kim, Lye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1
    • /
    • pp.158-186
    • /
    • 2009
  • The Gossi Cave, Natural Monument 219, extends horizontally for 3,388m with 215m elevation. 620m of the horizontal cave length was opened to the public in 1974. The Gosu Cave, Natural Monument 256, also was opened the public for only 685m of the horizontal cave length, 1,700m, in 1976 in order to preserve its ecological cave environment. The surface of the speleothems in two caves have been turning black due to pollutants after the caves were opened to the public. The degree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in the caves were related the seasonal variation. Specially, the value of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CO_2$) in the cave higher in the summer than any other seasons. The partial pressure of $CO_2$ continues to build in the summer because of exceed the self-purification limit in the caves. The value of $CO_2$ variation in the caves was mainly controlled by the amount of visitors. As a result, we have to controlled the amount of visitors to preserve the cave environment.

온달굴의 개발타당성 연구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4
    • /
    • pp.17-26
    • /
    • 1995
  • 온달굴은 우리나라 내륙산지의 서쪽기슭에 속하는 충청북도 단양땅에 있는 석회동굴이다. 그 옛날 온달장군이 이 동굴속에서 심신을 단련시켰다하여 온달굴이라고 한다. 한편 이 동굴은 남한강 강가의 남쪽연안에 있기 때문에 남굴이라고도 전해지고 있는 동굴이다. 사실상 이 온달굴에 있는 단양땅에는 이미 고수동굴, 노동굴 그리고 천동동굴이 관광동굴로 공개되고 있으므로 될 수 있으면 이 동굴만이라도 길이 보존관리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되기는 하나 이미 이 동굴이 지금부터 15년전에 2년동안 이 기나긴 세월을 관광동굴로 개발 이용되었던 동굴이므로 동굴내부는 매우 훼손, 오염이 심하며 더구나 그 당시에 설치되었던, 통로, 교량, 전기조명 시설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왔었기에 이미 훼손된 동굴이기에 개발의 타당성을 연구하게 된 것이다.(중략)

  • PDF

고수동굴 관광객의 이미지 및 행태 특성

  • 김원진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9-20
    • /
    • 2001
  • 국민소득의 향상과 여가생활의 증대로 관광산업은 환경산업과 더불어 미래의 주요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연동굴은 신비스러운 내부 경관과 자연생태의 보고라는 교육적 관점에서 매우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연동굴을 보유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역개발 및 관광수입원으로서 자연동굴의 개발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A Analysis of Solution Topography and Natural Feature in Go-Soo Cave (고수동굴의 용식지형지물 분석)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0
    • /
    • pp.11-16
    • /
    • 1997
  • 우리나라의 석회동굴 속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동굴미지형과 지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물론 이들의 동굴미지형과 지물들은 그 모두가 석회동굴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포괄적으로는 동굴생성물 또는 2차생성물이라고 총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동굴생성물들 중에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같이 퇴적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생성물과 이와는 달리 지하수의 수식작용과 용해작용으로 이루어지는 동굴생성물 즉 동굴미지형 지물들을 따로 구분하여 취급하고자 한다.(중략)

  • PDF

The Tourist Value according to Human and Tourism Environment around Tourist - cave (주변의 인문.관광 환경에 따른 개방동굴의 관광적 가치)

  • 김성길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9
    • /
    • pp.45-65
    • /
    • 1997
  • 관광과 여가에 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동굴은 하나의 관광자원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동굴을 중심으로 하여 관광적 가치를 내부의 관광자원, 대도시로부터의 접근성, 주변 관광지의 분포와 연계성을 고려하여 동굴마다의 그 가치는 재분류하여 보았다. 첫째, 내부경관의 특색에 따라 대부분의 개방동굴은 수려한 지형지물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 희소성이나 특이성을 고려해 볼 때, 천동굴ㆍ천곡굴ㆍ협재굴은 희소성과 학술성이 뛰어나며 만장굴ㆍ고수굴ㆍ고씨굴 등은 규모나 화려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주변의 도시 분포와 접근성에 있어서는 고수굴ㆍ천곡굴ㆍ 만장굴ㆍ 협재굴이, 주변 관광지들의 분포 및 연계성에 있어서는 만장굴ㆍ협재굴ㆍ고수굴ㆍ노동굴ㆍ천동굴ㆍ천곡굴ㆍ성류굴이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Environmental save of the Gosu cave and the saving management plan of electronic (고수동굴의 환경보존과 전기의 효율적 관리 방안)

  • Yoon, Jung-M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6
    • /
    • pp.25-30
    • /
    • 2008
  • The black pollution that was able to include green pollution to appear for the intensity of light by an illumination institution is what after all I cannot ignore, and it may be said that chase thing damage by the isolation action that is white pollution done a long story in this outside a certain range by air quality change, dried present situation is really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by development and a damage phenomenon. If I am replaced in winker and I install a sensor light in the outlet by addition and use the electricity illumination that I installed for a tourist in the cave, it is expected that I can be available all the time that it is possible for electricity reduction more than the present and watches tourist passage plan private business Electric illumination in the cave for the environmental save in the cave because it is possible for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 with Cave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동굴' 컨텐츠 내용 분석)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2
    • /
    • pp.53-57
    • /
    • 2006
  • 고등학교 한국지리 8종 교과서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 컨텐츠 유형별로 동굴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종 교과서에 수록된 자연동굴의 경우 석회동굴에 대한 사례가 많으며 용암동굴과 해식동굴에 대한 소개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둘째, 동굴에 대한 학습 컨텐츠의 경우 사진자료의 이용빈도가 매우 높은 편이며 그 외 모식도와 지형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셋째, 교과서 본문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컨텐츠에 제시된 동굴의 경우 고수동굴에 대한 내용이 매우 높은 편이며 지역적으로도 충북 단양군을 사례로 한 경우가 많다. 특히, 북한에 분포하고 있는 동룡굴에 대한 소개가 특이할 만하다. 향후 천연자원으로서 자연동굴에 대한 주요 관광수요층인 고등학생들의 자연동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간접체험을 위한 학습컨텐츠의 개발이 기대된다. 이러한 학습컨텐츠의 개발과 교육현장에서 적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지속 가능한 자연동굴의 보존관리와 환경 친화적인 관광개발 및 관광객의 관람태도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당위성을 충분히 이해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A Study on the Cave-microlandscapes of the Saturated Zone in Korea (우리나라 포화수대 성인의 동굴미지형 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6 no.47
    • /
    • pp.9-18
    • /
    • 1996
  • 우리나라에는 수 많은 석회동굴이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것만 해도 총 1,000 여개 소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보다 많은 동굴이 있을 것이다. 이들 석회동굴의 용식미형태는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화수대에서 형성된 동굴 속의 용식작용으로 이루어진 동굴 미지형, 동굴 지물들에 대하여 논하고저 한다. 순환수대에서의 동굴 생성물과 미지형은 단조롭고 뚜렷하다고 하겠지만, 이와 반대로 포화수대 동굴 속의 미지형들은 그 모두가 용식작용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들 미지형은 계속 순환수대 동굴로의 이행 때문에 침식ㆍ삭박작용도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 이른바 복합적인 미지형이 남게 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수 많은 석회동굴이 있으나 개발되어 공개되고 있는 동굴 중에서는 단양의 고수동굴과 동해시의 천곡동굴에서 이와 같은 용식미지형을 볼 수 있다. 앞으로 이들에 대한 보다 계측적이고 구체적인 학술적 연구가 기대되는 바이다.

  • PDF

석회동굴 생성물내 인회석의 산출특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장세정;김수진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15-15
    • /
    • 2003
  • Hydroxylapatite는 석회동굴 생성물의 표면이나 또는 생성정지선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암적갈색을 띄고 있어 생성물의 흑화현상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박쥐 서식처나 그 주위의 동굴생성물 표면에서 다량의 hydroxylapatite가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SEM-EDS와 EPMA, XRD를 이용하여 고수동굴(충북 단양군 가곡면 고수리, 천연기념물 제256호, 1976년에 개방), 성류굴(경북 울진군 근남면 장평리, 천연기념물 제155호, 1963년에 개방)과 기하동굴(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미개방동굴) 내에서 채취한 hydroxylapatite 로 구성되어 있는 흑색 피각의 현미경적 조직을 연구하였다. Hydroxylapatite 피각은 모암(고수동굴과 성류굴에서는 calcite, 기하동굴에서는 calcite와 dolomite)의 표면에 약 0.3 mm의 두께로 존재하며 hydroxylapatite가 calcite와 dolomite를 교대하고 있다. 피각의 단면은 전자현미경하에서 비교적 밝은 부분인 hydroxylapatite와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cellophane으로 구성되어 있다. Cellophane은 피각의 바깥 부위에 그리고 hydroxylapatite은 피각의 안쪽에 주로 분포하며 hydroxylapatite가 cellophane을 교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cellophane으로부터 hydroxylapatite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cellophane과 hydroxylapatite가 보여주는 조직을 구분하면: 1) 교질조직 (colloform texture) (두께: 1.2 ~ 3 $\mu\textrm{m}$, cellophane 층에 지름 0.5 ~ 1 $\mu\textrm{m}$의 voids가 존재), 2) 망상조직 (reticulate texture) (voids 크기 지름 0.5 ~ 1 $\mu\textrm{m}$), 3) 섬조직 (sea-and-island texture) (크기: 지름 2 ~ 4 $\mu\textrm{m}$) 등이다. Cellophane이 주로 분포하는 피각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망상조직과 섬조직 및 void (지름: 약 10 $\mu\textrm{m}$)가 다량 존재하여, 망상조직과 void가 분포하는 곳에는 SO$_2$가 함유된다. 피각 표면에서 Ca, P, Si, Al 이외에 C와 S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막대모양의 박테리아 (지름: 1 $\mu\textrm{m}$, 길이: 1 ~ 10 $\mu\textrm{m}$)들의 집합체가 관찰되는데 박테리아가 피각 표면에 닿아 있는 부분은 박테리아 사이에 hydroxylapatite가 채워져 하나의 덩어리를 이룬다. 망상조직의 void의 크기와 박테리아의 지름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망상조직은 박테리아 주위에 hydroxylapatite가 침전되고 그 후 박테리아가 있던 자리가 void로 남게 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망상조직과 void에 존재하는 SO$_2$는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모암에는 P가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hydroxylapatite의 P는 외부 물질(박쥐 분비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hydroxylapatite 피각의 조직이 형태적으로 박테리아와 비슷한 것은 hydroxylapatite 생성에 미생물이 관여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