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vironmental Variation in Gossi and Gosu Caves, Korea

천연기념물 고씨굴과 고수동굴의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 Choi, Don 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Lyeon (Cav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돈원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김련 (사단법인 한국동굴연구소)
  • Received : 2008.12.01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The Gossi Cave, Natural Monument 219, extends horizontally for 3,388m with 215m elevation. 620m of the horizontal cave length was opened to the public in 1974. The Gosu Cave, Natural Monument 256, also was opened the public for only 685m of the horizontal cave length, 1,700m, in 1976 in order to preserve its ecological cave environment. The surface of the speleothems in two caves have been turning black due to pollutants after the caves were opened to the public. The degree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in the caves were related the seasonal variation. Specially, the value of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CO_2$) in the cave higher in the summer than any other seasons. The partial pressure of $CO_2$ continues to build in the summer because of exceed the self-purification limit in the caves. The value of $CO_2$ variation in the caves was mainly controlled by the amount of visitors. As a result, we have to controlled the amount of visitors to preserve the cave environment.

천연기념물 제219호인 고씨굴은 1974년 일반인에게 개방되었으며 총길이는 3,388m로 이중 620m만 공개되고 있다. 충북 단양에 위치한 고수동굴은 천연기념물 제256호로 총길이는 약 1,700m이며 이중 685m가 1976년 개방되었다. 이들 동굴들은 30여 년 전에 일반인에게 개방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이들 동굴 내에 성장하는 동굴생성물들은 오염물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이들 동굴의 동굴환경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동굴 내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은 계절적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전반적인 이산화탄소 분압은 여름철 성수기가 대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여름철을 제외한 계절의 경우 관람 후 다음날 개장하기 전까지 동굴 내 대기의 순환에 의한 자정능력이 있으나 여름철의 경우 자정능력을 넘어서게 되어 계속적으로 축적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두 동굴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관람객의 수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동굴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일 관람객의 수를 조절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Cited by

  1. 석회암 지역에 분포하는 동굴의 내부 온도 변동 특성 vol.53, pp.1, 2009,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