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속전차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133 seconds

Fundamental Study on the Fracture Cause of Dropper Wire in Catenary System (고속철도 전차선로 드롭퍼 와이어 파단원인 기초연구)

  • Lee, Tae-Hoon;Park, Gi-Bum;Jeon, Yong-Joo;Ryu,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071-107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전차선로 드롭퍼 와이어의 파단현상에 대해 분석을 통하여 철도운행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300km/h로 주행하는 KTX의 판토그래프와 전차선이 직접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기계적 피로도의 누적으로 인한 증가로 경부고속선 전차선로 시스템의 장애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추후, 고속철도 전차선로 드롭퍼 수명한계 측정으로 유지보수관리 체계 효율화와 분석된 파단원인을 바탕으로 드롭퍼 구조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합리적 개량방안 수립을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Geometry Change for the Increased Contact Wire Tension in the Pre-sagged Existing Catenary (사전 이도가 주어진 기설 전차선로에서 전차선 장력을 증가시켰을 때 전차선 기하학적 형상 변화 연구)

  • An, Seung-Hwa;Kim, Yoo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5 no.5
    • /
    • pp.447-453
    • /
    • 2012
  • It is studied that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lane geometry of the contact wire would be changed when the contact wire tension is increased in the existing overhead contact lin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operation speed temporarily. In this paper, the dropper length formula which could be well applied to the pre-sagged catenary is reviewed first. Second, the changing amount of the pre-sag if the contact wire tension change from 20kN to 23kN or from 20kN to 25kN for the Gyeongbu HSL(high speed line) 49.5m catenary is evaluated by using of the self-writte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dropper length formula. Moreover, the increasing tension and measuring the pre-sag change experiment in the Gyeongbu 2 HSL was conducted. The calculated data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geometry change is very little and will not make the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deteriorated.

Catenary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Automated Diahnosis (실시간 자동화 진단을 위한 전차선 검측시스템)

  • Kim, Jeong-Yeon;Park, Jong-Gook;Lee, Byeong-Gon;Hong, Hyun-Pyo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11.10a
    • /
    • pp.1020-1026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measures the height and stagger of an catenary using the laser profile images. One line laser and area scanner CCD cameras are used. To quickly and accurately extract, from a photographed image, the area of the overhead line on which the line laser is shone, we consider the established fact that the catenary is the lowest among the electric wires. Here we are solving the the distance to the catenary if we know the distance the camera is from the ground and the angle of the catenary in the field of view. The angle will be related to the number of pixels in the image. This pixels per degree is a constant for the camera. Also, because of the different pixel resolution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overhead line position, we compensate the measurement result through camera calibration.

  • PDF

Conceptual Design Study on Contact Loss Simulator for a Interface of High-speed Overhead Conductor Rail (고속 강체 전차선로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선현상 모의 시뮬레이터 개념 설계)

  • Jung, No-Geon;Lee, Jae-Bong;Chang, Chin-Young;Kim, Jae-M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79-1580
    • /
    • 2015
  • 철도차량의 동력원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던 디젤차량에서 최근 고속전철 및 도시철도차량, 경량전철 등 전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철도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개활지 등 지상구간에 적용되고 있는 가공전차선 방식과 지하구간, 터널 등에 적용되고 있는 강체가선방식 그리고 경량전철 등에 채용되고 있는 제 3궤조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지하구간의 가선시스템에 적용되던 T-Bar방식의 강체가선 방식에서 탈피하여 고속주행이 가능한 R-Bar방식의 강체가선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까지 지하구간의 터널구조에서 강체전차선로를 급전시스템으로 채택할 경우 열차의 최고속도는 국내의 경우 90km/h, 국외의 경우 160km/h를 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한 제품이 개발되어 열차운행 최고속도를 200~250km/h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설계속도 250km/h 급 R-bar방식 강체전차선로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선현상 모의 시뮬레이터 개념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집전성능과 관계가 있는 전기철도차량 이선현상 요인 및 영향 분석하였으며 강체전차선로 운행에 따른 이선 등으로 인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이선 현상 모의 시뮬레이터 개념 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racture Cause of Dropper Wire in Catenary System for Korea High Speed Railway (고속철도 전차선로 드롭퍼 와이어 파단원인 연구)

  • Lee, Tae-Hoon;Jeon, Yong-Joo;Lee, See-Bin;Choi, Kyoung-Il;Han, Sang-Gil;Park, Young-Sik;Park, Ki-B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205_1206
    • /
    • 2009
  • 고속철도 전차선로에 설치된 드롭퍼의 와이어가 파단되어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드롭퍼의 구간별/설치위치별/지역별 단선현황 분석, 파단면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미세조직 분석 및 드롭퍼에 작용하는 정적하중을 계산하였다. 또한 고속철도 전차선로에서 드롭퍼의 정적 및 동적하중 측정과 분석을 통하여 드롭퍼의 피로하중 특성을 확인하였고, 지지점의 압상량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 PDF

실 해상모형시험을 이용한 고속 활주정의 선형시험기법 기초연구

  • Jang, Dong-Won;Park, Chung-Han;Jin, Song-Han;Sim, Sang-Mok;Jo, Hyo-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34-36
    • /
    • 2007
  • 현재 모형선을 이용한 선형성능 검증방법에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예인수조에서 예인전차를 이용하여 정수중에 배를 예인시켜 그에 따른 저항을 시험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는 회류수조에서 배를 고정하여 물을 회전시켜 모형선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저속 및 대형선박을 검증하기 위해 계발된 방법들로 소형 고속어선 및 고속레저선박의 저항성능 평가를 수행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예인전차의 예인속도와 회류수조 물의 유속이 소형 고속어선 및 고속레저선박의 속력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속을 요하는 선박의 저항성능 평가를 위해 새로운 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고속선의 저항성능 시험을 위해 실 해상에서 일반 선박을 이용하여 예인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저항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Major Design Parameters of a Pantograph-Railway Catenary System for Improving the Current Collection Quality (집전성능 향상을 위한 팬터그래프-전차선의 주요 설계 파라미터분석)

  • Cho, Yong H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7 no.1
    • /
    • pp.7-13
    • /
    • 2014
  • Stiffness variations and wave propagation/reflection in railway catenaries are the primary sources of contact loss between a pantograph and a railway contact wire. This paper analyzes which design parameter is more important for 200km/h conventional rail and 300km/h high-speed rail,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contact loss. For the high-speed rail, the wave propagation and reflection in the overhead contact lines are more influential than the stiffness variation over a span. When the high-speed rail needs to speed-up,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er strength contact wires in order to increase the wave propagation speed. In addition, the dropper clamp mass should be reduced in order to alleviate the wave reflection.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increase in the tension to a messenger wire could deteriorate the current collection quality, which contrasts with expectations. For the 200km/h conventional rail, the stiffness variation over a span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wave propagation and reflection. Therefore, shortening span length, increasing the tension in the contact wire and optimizing the location of the droppers are recommended for a smoother stiffness variation over the span.

Mechanical Loads of Dropper for High Speed Electric Railway (고속 전차선로 드로퍼에 대한 기계적 하중에 관한 연구)

  • Lee, Gi-Chun;Lee, Tae-Hoon;Lee, J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4 no.3
    • /
    • pp.222-227
    • /
    • 2011
  • The dropper supports the contact wire and is attached using various types of dropper clips on the catenary. Droppers are subject to mechanical stress from buckling during the passage of pantographs. In order to investigate failure causes for the high speed line dropper, theoretical analyses and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is paper, mathematical formulas are derived for the pre-sag of the dropper static load. The measured values in the experiment were similar to the theoretical predictions. To analyze the cause on fracture of dropper wire, we have conducted analysis such as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fractured specimens in the field and new specimens. Finally, we performed measurement for the variation of dynamic load on the dropper when a pantograph moved at 300km/h under the Korean high speed overhead line. If such mechanical load occur repeatedly with every passing pantograph, it is possible that the dropper wire will break due to fatigue. This results will be used for special management of high speed catenary system maintenance and life estimation of dropper.

Pulse Doppler Radar Signal Processor Development for Main Battle Tank Using High Speed Multi-DSP (고속 Multi-DSP를 이용한 전차 탑재 펄스 도플러 레이더 신호 처리기 개발)

  • Park, Gyu-Churl;Ha, Jong-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11
    • /
    • pp.1171-1177
    • /
    • 2009
  • A missile warning radar is an essential sensor for active protection system to detect antitank missile in all weather environments. This paper introduces missile warning radar for main battle tank and presents the results o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adar signal processor using high speed multi-DSP. The key algorithms include adaptive CF AR, weighted linear fitting algorithm, S/W tracking capability, and threat decision and present test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