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속버스터미널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고속버스터미널 이용자의 환승행태에 기반을 둔 환승저항 모형 구축 연구 (Modelling of Transfer Impedance of based an Express Bus Terminal use Behavior)

  • 김황배;권영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D호
    • /
    • pp.99-103
    • /
    • 2010
  • 본 연구는 고속버스 이용자가 고속버스 터미널에서 경험하는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대중교통 체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터미널 내 연계/환승 시 체감환승시간으로 환산된 환승저항을 산정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고속버스 터미널의 환승저항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외부보행거리 100m의 증가(감소)는 통행시간 3분의 증가(감소)와 같으며, 내부보행거리 100m의 증가(감소)는 5분, 계단 100개의 증가는 약 13분의 통행시간 증가, 에스컬레이터 1대 설치는 약 3분의 통행시간 감소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체감시간으로 산출된 환승저항은 환승센터의 환승 여건을 비교하고 시설개선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데에 객관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신규 환승센터 설계 시 시설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호통권51호
    • /
    • pp.16-29
    • /
    • 1973
  • PDF

빙축열, 고효율조명, 보일러 스케일방지시설까지 건물 곳곳에 ESCO 시설투자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15호
    • /
    • pp.22-25
    • /
    • 2002
  • 터미널과 상가로 구성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지난해 건물 냉방을 위한 빙축열시스템과 보일러 스케일방지를 위한 자동 블로우다운 시스템 설치공사를 ESCO사업을 통해 실시했다. 재작년에는 ESCO 고효율조명 교체사업을 마쳤다. 준공이후 설비개체를 하지 않아 노후된 시설이 많았던 터라 이곳 관계자들은 ESCO사업을 통해 에너지비용을 줄이고 훨씬 쾌적한 내부환경을 건물 이용자들에게 제공해줄 수 있게 된 결과에 매우 만족해했다.

  • PDF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 보행 위반행태 분석: 고속버스터미널역 사례 분석 (Analysis on Pedestrian Crossing Illegal Behavior on Exclusive Median Bus Corridor: A Cace Study of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 이동일;김진태;김준용;배현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6-144
    • /
    • 2015
  • 중앙버스전용차로도 도입으로 인해 무단횡단이 증가하였고 보행 교통 사망자 수 증가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부 교통안전 수준 증진을 위해서는 공학적이고 분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보행안전시설 연구의 기반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횡단보도부 보행자의 보행행태 자료를 분석한다. 중앙버스전용차로 형태 중 무단횡단이 가장 많이 관측되는 '분리형 횡단보도' 형태인 서울시 '고속버스터미널역'을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여 영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보행자 자료를 공간적 측면과 시간적 측면에서 위반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적 위반 보행자는 37.8%로 시간적 위반 보행자 3.4%에 비해 11.1배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간적 위반 보행자에 편중된 안전시설이 아닌 무단횡단 보행자의 절대 다수에 해당하는 공간적 위반 보행자에 안전대책도 필요하며 향후 시 공간적 위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함께 억제하는 안전시설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고속·시외버스 터미널 및 고속도로 휴게소의 통폐합 운영에 따른 편익가치 산정에 대한 연구 (Integration of Express·Intercity Bus Terminal and Highway Service Area: A Study of the Estimated Tangible Value Addition)

  • 장재민;한정헌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43-152
    • /
    • 2017
  • PURPOSES : This study intends to estimate the tangible benefits derived from the integration of operations of an Express Intercity Bus Terminal and a Highway Service Area. METHODS: For the study, a highway service area was chosen to function as a bus terminal, integrating its services with that of a nearby bus terminal plagued by operating losses. The exercise also helped improve mobility owing to the introduction of local buses between the terminals and utilization of the existing infrastructure such as rest areas. Thus, a terminal that was not being utilized for its intended functionality was integrated with an existing facility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both and subsequently aid local development. The impact of the exercise was then measured by evaluating the variation in utilization efficiency, operating costs, travel time between two regions (Seoul-Jeomchon and Seoul-Geumsan), and the social costs before and after the integration of the two facilities. RESULTS :The impact of the integration was an increase in utilization efficiency, a decrease in operating cost, a decrease in travel time, and a decrease in social cost in both the regions. The benefits of improved utilization and cost saving can be passed on to the citizens in the form of discounts. A local power generation facility will eventually replace the bus terminal, which can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CONCLUSIONS :The integration of the highway service area with the bus terminal is expected to have a win-win effect on the passengers as well as the operators. The study also proposes a sustainable strategic plan for existing terminals and rest areas to implement a method to compete with KTX transportation.

특수개질 및 일반 아스팔트 포장체 도로변의 미세먼지 발생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ine Dust Emissions near Special Modified Asphalt Pavement and Conventional Asphalt Pavement)

  • 강태우;김혁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82-28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신규 건설된 특수개질 아스팔트 포장체와 기존 도로로써 일반 아스팔트 포장체의 도로변 미세먼지의 발생량을 분석하였다. 충청남도 지자체로써 차량 통행이 높은 C 도시의 고속버스터미널과 상업 시설 지역에 위치한 도로변에서 2022년과 2023년 하절기 동안 3일 간격으로 1,000 g(100 g/day)의 먼지 샘플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먼지 샘플은 크기와 밀도 분리를 통해 75-150 ㎛ 범위의 미세먼지 및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로 전처리하여 분리하였다. 기존 도로로써 일반 아스팔트 포장체 구간인 No.1-3 구역의 미세먼지 및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의 평균은 각각 24.27 g과 24.36 g 및 0.53 g과 0.53 g으로, 2022년과 2023년의 미세먼지 발생량 데이터를 비교할 때 정량적 결과가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신규 건설된 특수개질 아스팔 트 포장체 구간인 No.4-6 구역은 2022년 분석 결과와 비교할 때 2023년 미세먼지는 14.8 %,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는 29.6 % 감소되었다. 또한, 열중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No.1-3 구역의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는 타이어와 도로 성분이 각각 30 %와 70 %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No.4-6 구역의 2023년에는 타이어와 도로 성분이 각각 35 %와 65 %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신규 건설된 특수개질 아스팔트 포장체에서 도로변 미세먼지 및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 발생을 낮출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환경 및 기후적 변수를 고려한 공간적 제약 및 샘플 수집 기간의 한계로부터 추후 지속적인 연계성을 확보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에는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기술적 접근과 도심지 도로변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및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의 정량적 분석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