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분자재료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7초

국제학술회의 참관기 - 제5차 세계생체재료학술대회

  • 김철영
    • 과학과기술
    • /
    • 제29권8호통권327호
    • /
    • pp.36-38
    • /
    • 1996
  • 지난 5월30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제5차 세계생체재료학술대회는 재료를 연구하는 세라믹, 금속, 고분자재료 학자뿐만 아니라 이들 재료를 연구하는 생물학자, 의사들까지 참석한 대규모 학제간 학술대회였다. 4년마다 열리는 이번 대회에서 생체유리분과 좌장으로 활약했고 셋째날 논문을 발표하고 돌아온 김철영교수의 참관기를 싣는다.

  • PDF

최신 절연시스템과 내열특성에 대한 소고

  • 이복희;김정섭
    • 전기의세계
    • /
    • 제35권4호
    • /
    • pp.254-258
    • /
    • 1986
  • 최근 고분자재료의 눈부신 발전은 전기기기의 절연에도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전기기기의 절연재료로는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성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료가 많이 쓰이고 있다. 전기절연재료를 대별하여 보면 박막재료와 함침재료로 나눌 수 있으며, 박막재료에는 운모, 실리콘고무, 폴리아미드필름, 폴리아미드클로즈 등이 있으며, 바니쉬류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계바니쉬와 무용제함침재료가 많이 사용된다. 전기기기의 기본 구성재료이며 기기의 성능 향상과 소형화, 경량화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전기절연재료인 박막재료와 함침재료의 조화로 구성되는 절연시스템의 열열화와 내열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절연의 신뢰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1-3형 압전복합체를 이용한 초음파 탐촉자 설계 및 시작품 제작 (Design of an Ultrasonic Transducer with 1-3 Mode Piezocomposites and Fabrication of its Prototype)

  • 한교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 /
    • pp.1-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순수 압전세라믹에 비해 동등이상의 압적특성을 가지면서도 음향임피던스가 월등히 낮은 1-3형 압적복합체를 이용한 탐촉자의 개발에 관해 연구하였다. 압전 복합재료 탐촉자는 그 자체만으로 측정대상체와의 음향임피던스 차를 최소화하여 별도의 정합층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고분자재료의 물성값 설계와, 압전세라믹과의 적절한 배합구조와 형상의 결정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압전 복합체 초음파 트랜스듀서 시작품을 제작하고 그성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론적인 시뮬레이션 결과과의 비교를 통해 설계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사출성형의 충진과 충진후 과정의 통합해석에 관한 연구

  • 이상찬;양동열;윤재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7-232
    • /
    • 1995
  •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은 생산성이 좋으며 마무리가공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정형 형태( net shape)로 제조가 가능하고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어 고분자 재료의 대부분이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 되고 있다. 최근들어 가볍고 강도가 매우 높은 고분자재료의 개발로 전기전자 제품은 물론 자동차, 항공기 등의 생산에 이르기까지 사출성형의 중요성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형상과 여러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경우에는 동시에 충진이 완료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다른 캐비티가 충진되고 있는 동안에 먼저 충진이 된 캐비티에서 고분자 수지는 압축을 받고있기 때문에 사출성형품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좀더 정확한 압력과 온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 의 충진과정과 충진후과정(보압, 냉각과정)을 분리하여 해석 하는 것이 아니라 충진과정과 충진후과정을 동시에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program)을 만들었다.

  • PDF

섬유의 Plasma 가공(I) -plasma 처리화학-

  • 광진민박;조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4-56
    • /
    • 1991
  • 진공하에서 일어나는 glow 방전을 이용해서 행하는 plasma 반응은, 표면 특이적(Surface specific)인, 또는 비파괴적인 처리공정(Non-destructive process) 으로서 주목되고 있는 기술이다. 전반은 plasma chemistry로서, 섬유가공의 기초가 되는 plasma를 이용한 반응에 대하여 정리한다. 또 다음 후반에는 섬유가공에 관한 응용예에 대해서, 특히, 최근 실용화를 이룩하고 있는 일본에 있어서의 plasma 응용의 연구개발들, polyester 섬유염색물의 농색화가공, 양모직물의 방축가공 등의 기술동향 및 실용화를 위한 장치개발 등을 소개코자 한다.

  • PDF

섬유의 Plasma 가공 (2) -섬유가공을 위한 응용례

  • 광진민박;조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9-38
    • /
    • 1991
  • 섬유에 대한 plasma 처리의 process상 특징은, 첫째 건식공정 둘째 간략화된 가공, 이라고 하는 두 가지 특징을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섬유가공에서는 처리시에 대량의 물이라든지, 증기를 사용하고, 또 다량의 열 energy를 표하기 때문에, plasma 처리와 같은 기상처리기술에 대한 기대가 그 무엇보다 크다. 만약, 종래의 습식공정에 의한 섬유가공공정의 전부나, 일부를, 이 건식방법인 plasma공정으로 바꿀 수만 있다면 절수라든지, energy절약에도 크게 이바지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클 뿐아니라, 염료와 염색조제들을 위시한, 가공처리제 등의 사용량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공해의 미연방지에도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 PDF

CMC / PVA, PAA 복합막의 투과증발 분리특성

  • 홍영기;배기서;이정민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0-31
    • /
    • 1994
  • 분리막을 이용한 분리기술은 일반증류법에 의한 분리 또는 정제에 어려운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데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미래 산업적인 중요성 때문에 최근 유용한 정제법으로 주목을 끌고 있다. 한편, 투과증발법에 의한 액체혼합물의 분리는 공정자체는 매우 간단하면서도 분리막의 투과성능에 따라 분리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고분자 분리막의 개발은 아직도 많은 연구과제로 남아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증류법이나 기타방법에 의하여 회수된 저 농도의 유기수 용액으로부터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고농도의 특정순수 유기용제를 얻으려는데 목적을 두고 보다 높은 물 선택성과 투과율을 갖는 새로운 복합막을 개발하기 위해 고흡수성 고분자재료인 CMC와 PVA 그리고 PAA를 소재로 하여 목적하는 분리기능을 갖는 새로운 복합막을 제조하여 실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투과증발 분리실험을 하였다.

  • PDF

광도파로용 Fluorinated Poly(maleimide-co-methacrylate)s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luorinated Poly (maleimide-co-methacrylate)s for Optical Waveguiding Materials)

  • 김원래;한학수;한관수;장웅상;이철주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253-259
    • /
    • 2002
  • 본 연구는 내열성, 저광학손실 광도파로용 고분자재료를 합성하고 그 물성을 조사한 것이다. 열안정성을 높이고 광학손실을 줄이기 위한 pentafluorophenylmaleimide와 복굴절률을 낮추기 위한 두가지 methacrylate 유도체와 가교제 역할을 하는 glycidylmethacrylate를 삼원 공중합하여 광가교가 가능한 poly(maleimide-co-methacrylate)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들은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었고, 열처리에 의해서 가교가 됨을 확인하였다. 고분자의 굴절율은 공중합 비율에 의해서 조절가능하였고, 1.45~l.49 범위의 고분자가 합성되었다. 복굴절은$6{ imes}10^{-4}$ ~ $1{ imes}10^{-4}$ 범위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고분자와 광개시제를 사용하여 접촉 인쇄 방식에 의한 노광과 습식 현상을 통해 깨끗한 광도파로 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온도, 속도, 그리고 하중 변화에 따른 볼 베어링용 그리스의 수명평가 (Life Evaluation of Grease for Ball Bearings According to Temperature, Speed, and Load Changes)

  • 손정훈;김세웅;최병호;이승표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7권1호
    • /
    • pp.7-13
    • /
    • 2021
  • Ball bearing is a device that supports and transmits a load acting on a rotating shaft, and it is a type of rolling bearings that uses the rolling friction of the balls by inserting balls between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Grease, which is prepared by mixing a thickener with a base oil, is a lubricant commonly used in bearings and has the advantage of a simple structure and easy handling. Bearing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high value-added products such as semiconductors, aviation, and robo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bearing grease. The selection of greas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earing design. Therefore, a study must be conducted on the grease life evaluation to select an appropriate grease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a high temperature, high rotational speed, and high load.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life of ball-bearing grease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namely, temperature, speed, and load changes. For this, we develop and theoretically verify a grease life test machine for ball bearings. We conduct a life test of grease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of bearings and predict the grease life with a 10% and 50% failure probability using the Weibull analysis. In addition, we analyze the oxide characteristics of the grease over time using th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ease using the carbonyl index.

자동차 부품의 응용을 위한 고분자재료의 사출방향에 따른 강도 평가 (Estimate of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Injected direction in Polymer for Automobile Application)

  • 이승재;이인섭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7-32
    • /
    • 2002
  • In this study, estimate of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Injected direction in Polymer for Automobile Application. The used materials is polyamid(nylon6), polypropylene(PP) of a simple component and its mixed, reinforced glass fiber(15%) in polyamid. One side direction of a simple component is highest strength and the two sides direction of multicomponent appear lowest strength. This is caused by effects of weldline, imperfect fusion and impregnation of multicomponent.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minimize of weldline, compatibility, perfect fusion and impregnation in multicomponent polym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