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령층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3초

고령층 정보화교육의 현 실태 및 인력양성을 통한 일자리창출 실용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he Elderly informatization Education and the practical plan for creating jobs through human training)

  • 김기혁;박영식;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7-240
    • /
    • 2014
  •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정보화시대가 젊은이를 대상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나 고령층에 대한 고려가 빈약한 실정이다. 2012년을 기준으로 고령층 인구(만55세~79세)가 천만명을 넘게 진입한 상태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른 문제 중 고령층 정보화교육에 따른 정보격차 및 일자리 창출이 사회적인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고령층에 대하여 전문적인 정보화교육을 시켜서 멘토로 하는 다양한 정보격차를 줄이는 학습방법을 제안 해 보기로 한다. 숙련된 멘토로부터 일자리 창출을 확립시키므로 사회의 일원으로서 보람과 사회경제적 도움으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함을 목표로 삶는다. 이에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고령인구의 사회경제적 활동과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정보격차 해소 및 고령층 일자리 창출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어르신IT봉사단 활동을 기반으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의 초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는 과정에서 노인정보화 교육을 통한 정보격차 해소와 컴퓨터 재능기부를 활용한 노인 일자리 창출에 대한 방향제시가 연구의 목적이다.

  • PDF

우리나라 고령층의 경제활동 수준 예측 - 머신러닝 기법과 연계한 예측조합법을 중심으로 - (Prediction on the Economic Activity Level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Machine Learning Method Combined with Forecast Combination -)

  • 김정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7-247
    • /
    • 2022
  • 본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 시대에서 우리나라의 고령층의 경제활동 수준을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으로 정확히 예측하고자 하였다. 고령층의 경제활동 수준과 기존 연구들은 고령층의 삶의 만족도, 사회보장제도 등과 연관된 인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데 반해, 본 연구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으로 고령층의 경제활동 수준을 예측하였으며, 특히 예측조합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예측의 안정성을 도모하였다. 60세 이상의 경제활동참가율, 취업률 등을 종속변수로 하고 가구 특성, 소득, 평균임금 등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5가지의 머신러닝 기법과 2가지의 예측조합법을 적용하여 예측결과들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종속변수별, 예측구간별로 예측성능이 높은 머신러닝 기법 및 예측조합법은 상이하였으나, 예측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예측조합법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령층의 경제활동 수준을 정확히 예측하고 예측의 안정성을 도모하여 정책적 관점에서도 실용성을 제고한다고 볼 수 있다.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방지를 위한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음성 인식 기술) 기반 복지 정보 검색 모델 연구 (AS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based welfare information search model to prevent digital alienation of the elderly)

  • 하장원;임화랑;정동규;이혜원;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71-772
    • /
    • 2023
  • 복지 정보와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령층 친화 UI/UX 및 음성 인식 기술 등의 기술을 활용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방지를 위한 ASR 기반 복지 정보 검색 모델>의 개발을 제안한다.

고령층의 가청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이퀄라이저 연구 (A study on the hearing characteristic based equalizer design for the elderly)

  • 이철희;홍성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79-787
    • /
    • 2018
  • 본 연구는 가청주파수 축소로 인해 고주파수의 청취력 저하를 겪는 고령층에게 손실된 주파수의 음압을 보상하는 이퀄라이저 연구이다. 연구를 통해 신체 노화에 따라 고주파수 청력역치가 증가하는 원인과 고령층의 가청주파수 특성을 고찰하여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고령층에게 가청주파수 특성을 반영한 이퀄라이저 제공이 필요한 이유를 밝혔다. 현재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가청주파수를 확인한 뒤 이를 반영한 이퀄라이저 설정을 제공하는 기능과 연령대 별로 상이한 이퀄라이저 설정을 제공하는 기능이 상용화 되어있으나 실험을 통해 소리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 고령층의 청력 손실 폭을 온전히 보상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기능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고령층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소리 전달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활용 및 장애 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Internet Uses and Barriers of the Older Adults in Korea)

  • 김희섭;김판수;이미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7-2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인터넷 활용과 활용상의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파악하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은 대구 및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1:1 설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479부를 회수하여 그 중 유효한 119부를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더불어 연령별과 성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고령층은 인터넷을 통하여 오락, 지식, 문화예술 콘텐츠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온라인 활동으로는 정보검색, 영화/음악 감상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고령층내에서도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다소의 차이가 나타났다. 고령층이 인터넷 활용을 하는데 인지하고 있는 장애 요인으로는 컴퓨터 기기 사용법의 복잡함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고, 장애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이들 자신들의 방안으로는 컴퓨터 활용교육과 사용법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 일자리연계를 위한 드론테크산업 교육에 관한 연구 (Drone Tech Industry Education for Elderly Workers Linking with Jobs)

  • 김기혁;안귀임;임환섭;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81-2186
    • /
    • 2016
  • 최근 무인항공기를 지칭하는 드론 관련 산업이 미래를 이끌 신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카메라, 게임기 등의 역할을 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활용 현상과 같이 개인의 드론 활용도 급속도로 확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군사적 목적으로 로봇 비행체로만 인식되었던 드론이 이제 어른들의 장남감 또는 항공영상 등에 활용됨으로써 일상 생활에 근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고령화 인력을 드론테크 산업에 유입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 제시에 주요 목적이 있다. 드론의 조종 기술, 항공촬영 등이 고령층 인력의 교육을 통하여 현실적으로 고령층에게도 유용하다는 사실이 검증됨으로써, 고령층의 일자리 창출로 연계될 수 있는 결과를 보인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nd Age)

  • 김수린;김주현;주경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65-92
    • /
    • 2018
  • 노년기 건강과 우울의 긴밀한 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열악한 건강상태가 고령층의 우울위험을 높이는 것을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목적하에,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과 고령층의 연령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조사된 "2017연령통합설문조사"에 참여한 전국 55세 이상 성인 492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주관적 건강상태가 열악할수록 우울이 증가하였는데, 이 같은 경향은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이 더 양호한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층의 경우 완화되었다. 반면,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이 낮을 때 주관적 건강상태가 열악할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경향이 고령층의 모든 연령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고령층의 연령이 평균(66.6세) 및 그 이상인 경우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 수준이 개선됨에 따라 취약한 주관적 건강상태의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는 완충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의 개선을 통해 고령층의 건강증진과 우울예방에 기여할 몇 가지 제언을 논의하였다.

고령층의 정보활동이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ctivities on the Feeling of Happiness for the Elderly in Korea)

  • 이미숙;문진현;김희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4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정보활동(정보기기 사용수준, 정보검색 시간)이 고령층의 삶의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대구 및 대구근교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371부의 데이터를 IBM SPSS 21.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와 휴대폰 사용수준은 삶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TV와 전화기 사용수준은 고령층의 삶의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와 관련한 정보검색 시간은 삶의 행복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금융과 관련된 정보검색 시간은 삶의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 디지털 정보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 김유나;변은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89-97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역량과 정보활용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면서 하나의 모형 속에서 이들의 영향요인을 동시적으로 분석하며 관계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초점을 둔다. 분석자료는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만55에 이상 고령층 1,703명 이었다. 분석방법은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유용성, 자기효능감,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변수가 정보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함께 디지털 조력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정보활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간 영향요인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영향요인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 관련 이해의 확장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

고령층 연령에 따른 뱅킹앱 사용성 인식에 대한 차이 분석 -PACMAD 모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banking app usability by elderly age - Focusing on the PACMAD model -)

  • 정현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61-75
    • /
    • 2023
  • 본 연구는 고령층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뱅킹앱의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성(People At the Center of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모델을 설명하고 60세 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은행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고령자 165명을 대상으로 SPSS 25.0를 이용해 기술통계 및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효율성, 만족도, 효과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학습가능성, 기억가능성, 오류, 인지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연령별 차이 검증에서 모든 변수가 연령별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뱅킹앱에 대한 고령층의 사용성 평가와 연령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컨택스트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지만, 연령이 고령층에 한정되어 일반인과의 비교가 어렵다는 점과 다양한 통제변수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