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대가요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odern transformation phrase of (<공무도하가>의 현대적 변용 양상)

  • Ha, Gyoung Sook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43
    • /
    • pp.93-123
    • /
    • 2011
  • is a work of art that was composed through fluid and laminating by being passed down orally for a long time like other ancient songs. As well as, it is given a history of literature's value in the point that it is a Korea's first poetry work, it is considered it casts a long shadow to establishing traditionality of our country's poetry. Even today, has been transformed and recreated into a variety of genres because its literary subject carry the universal emotions and win the sympathy. This manuscript examines modern poetry, modern novel and modern songs that consist of changed ancient song and looks modern writers' perspective about through characteristic that each of works has and then aims checking special situation and meaning that is implicit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the original. As the has been recreated as modern poetry, it shows the current chaotic situation specifically by embodying it and actively seeks expressing human character, agony and longing, etc, by excluding factor of the original mythical interpretation. Also it rouses situation of reality as detained and repressed. , recreated as modern novel, expands narrative structure and shows portrait of various characters and speaks diverse human condition about reality and suggests plan for dealing with that. Basic emotions of the original is strongly passed to modern popular song . It makes us know that universal emotions which human has across generations can touch peopl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it is a fresh discovery and possibility that reaffirms the emotion of our people. Ancient song has been studied with emphasis on resignation and grief by focusing on the subject, simply parting and death. But recently, through transformation between a wide range of genres. it carries the spirit of the times that author toward, showing realistic and specific situations. Flexibility of ancient song is expected to continue its vitality transcending generations. Ancient song is assured that it can lead various aspects through active groping in era of change with a various possibility, that the original ha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genres.

헤이안큐[平安宮]·헤이안쿄[平安京]의 구조와 변모 - 고대도성에서 중세 도시로 -

  • 하시모토 요시노리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1
    • /
    • pp.32-75
    • /
    • 2013
  • 도성은 왕권이 존재하는 것뿐만 아니라 왕권을 지지하는 지배계층이 모여 거주하는 곳이다. 그리고 중앙집권적 통일지배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 의례의 장으로서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에 공통적으로 건설되었다. 그 기원은 중국에서 유래하며, 일본은 율령제(律令制)를 바탕으로 하는 천황제 고대국가가 실현되는 7세기 말 '藤原京(후지와라쿄)'에서 처음으로 지상에 출현한다. 7세기 말부터 거의 1세기 간 복도제(複都制)가 채택되었기에 '등원경(藤原京)' 이후 도성은 여러 곳에 건설되었고, 때로는 천도되었다. 그러나 8세기 말 '長岡京(나가오카쿄)'에서는 복도제(複都制)를 지양했고, '平安京(헤이안쿄)'에 도읍을 정한 이후, 중세 근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헤이안쿄-교토에는 1100년에 걸쳐 왕권이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지금의 '京都市'(교토시)에 이르게 된다. '등원경(藤原京)'가 고대 일본 최초의 도성이었다면, '평안경(平安京)'는 마지막 도성임과 동시에 중세 도시로 변모해 가는 전환점에 위치하고 있다. '등원경(藤原京)'이래 남북축선에 대한 선대칭 구조를 의식해 도성이 축조 되었고, '평안경(平安京)'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가장 강하게 표현되었지만, 9세기 초 천황과 관인들의 의식 정무의 동선이나 좌석 배치에 있어서 동서방향이 채용되게 되었고, 이에 더해 9세기 말에는 천황의 거소가 도성의 축선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한 10세기 중반 경 '平安宮(헤이안큐)'에서는 '內裏(다이리)'를 중심으로 한 잦은 화재가 발생해 천황은 궁외로 거소를 옮기게 되었다. 이후 천황이 궁 바깥에 거주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고, '평안궁(平安宮)'는 의식을 행하는 장소로서 한정적으로 유지 수리가 될 뿐이었으나 결국에는 그것마저 어려워져 폐쇄에 이르게 된다. 한편 귀족의 저택도 7세기 이래의 남북축선에 대해서 동서의 선대칭 구조로 부터, '寢殿造(신덴즈쿠리)'라고 불리는 건물배치도 공간구성도 비대칭인 건물양식이 주류를 이루어 갔다. 이상과 같이 일본의 고대 도성의 특징을 잘 가지고 있었던 최후의 도성 '평안경(平安京)'는 남북을 축선으로 하는 선대칭 구조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9세기 '평안궁(平安宮)'의 변화를 시작으로 11~12세기에 크게 변모해갔다. 이처럼 고대국가의 도성이 가지고 있었던 남북을 축으로 하는 구조를 버리고 동서방향으로 동선을 취한 움직임은 고대국가의 이념을 탈피하여 다음 시대로 전환하는 중요한 한 걸음이었다고 생각된다.

仁和寺藏古巻子抄本"黃帝內経太素"に見られる 日本的な誤りについて (인화사(仁和寺)에 소장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 고권자초본(古卷子抄本)의 전사과정(傳寫過程)에 나타난 일본(日本)에서의 오류(誤謬)에 관하여)

  • 좌합창미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7 no.4
    • /
    • pp.64-68
    • /
    • 2004
  • 당(唐)나라 고종시대(高宗時代)(7세기후반기(世紀後半期))에 유행(流行)했던 양상선(楊上善)이 선주(選注)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経太素)"가 일본(日本)에 전(傳)해진 것은 현종시대(玄宗時代)(8세기전반기(世紀前半期))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후 "태소(太素)"는 중국(中國) 송대(宋代)에는 이미 거의 모두 유실(流失)되었다. 일본(日本)에서도 점차 확실하게 전승(傳承)되지 못했지만 강호시대말기(江戶時代末期)에 이르러 경도(京都)의 인화사(仁和寺) 서고(書庫)에서 재발견(再發見)되었다. 따라서 지금 볼 수 있는 "태소(太素)"에 수록된 내용들은 모두 인화사(仁和寺)에 저장된 고권자초본(古卷子抄本)(이하(以下)에서 인화사본(仁和寺本)이라고 약칭(略稱))으로부터 유래(由來)해온 것이다. 이 초본(抄本)은 1165~1168년(年)에 단파뢰기(丹波頼基)가 직접(直接) 쓴 것이다. 그가 기초로 삼았던 원본은 일세대전(一世代前)의 단파헌기(丹波憲基)가 쓴 것이다. 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인화사본(仁和寺本) "태소(太素)"의 정리(整理)에서 최초에 초사(抄寫)할 때 착오(錯誤)가 있었다는 것을 고려(考慮)할 필요성(必要性)이 일반고의적이상(一般古医籍以上)으로 크다고 말할 수 있으며, "소문(素問), "영추(靈樞)"와의 이동점(異同點)에 대해서도 교기(校記)할 필요(必要)가 없는 것을 응당 지적(指摘)해내야 한다. 그중 상당한 부분(部分)은 옮겨쓴 사람이 일본인이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은 일본인(日本人)에 의하여 교정(校正)하는 것이 더 편리(便利)하다고 생각된다. 단지 대륙(大陸)의 문화(文化)가 고대일본(古代日本)에 전입(轉入)되는 과정에서 고대한국인(古代韓國人)의 작용이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태소(太素)"초본(抄本)에도 "일본적(日本的)인 착오(錯誤)"외에 "고대한국적(古代韓國的)인 착오(錯誤)"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금후(今後)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PDF

원로와의 대담-전 성균관대 이공대학장 박흥수박사

  • Lee, Gwang-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4 s.311
    • /
    • pp.75-77
    • /
    • 1995
  • 우리나라 고대 도량형연구의 개척자로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를 창립, 그 기초를 다졌고 음악에 심취해서 국악의 기본음계를 정립하는데 큰 공을 세운 물리학자 송은 박흥수 박사(76세)는 그가 30여년간 살아온 서울 성북구 삼선동5가 151-13의 옛 아이 시 에이(I.C.A)주택에서 지금도 고대 도량형연구에 꺼지지 않는 정열의 불꽃을 사르고 있다. 박박사가 태어난 곳은 울산지 중구 송정도 70번지. 지금은 사람의 왕래가 많은 도심에 속해 있지만. 1919년2월23일 그가 태어나 살던 송정마을은 도시와 거리가 먼 작은 농촌이었다.

  • PDF

정보화시대의 빛과 그림자

  • Hyeon, Won-B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10 s.317
    • /
    • pp.26-27
    • /
    • 1995
  • 윈도95 출시로 미국은 물론 우리나라까지도 떠들썩하지만 2백만원이 넘는 설치비는 pc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정보화 시대의 큰 변혁가를 맞아 ‘가진 자’와 ‘갖지 못한 자’가 차별없이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혜택을 골고루 받을 수 있는 새로운 시대가 오기를 고대한다.

  • PDF

헤이안쿄[平安京]의 변용과 중세 초기 정권도시

  • 오노 마사토시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1
    • /
    • pp.4-31
    • /
    • 2013
  • 본고는 중세도시연구의 관점에서 도성 헤이안쿄(平安京)가 중세 교토(京都)로 변화하는 계기와 그 의미, 그것이 새로운 무가(武家) 정권도시(政權都市)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하여 논하였다. 율령제 마지막 도성인 헤이안쿄는 천황을 절대적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이 동심원구조로 구현된 '왕성(王城)의 땅'이었으나, 10세기 후반 이후 도성의 구심점이었던 내리(內裏)가 헤이안큐(平安宮) 밖으로 나오는 등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도성의 이념과 틀이 급속하게 해체 변용되었다. 또 고대왕권을 대신하여 새로운 형태로 왕권과 여러 권력을 담당한 원(院)과 롱관가(瀧關家), 대두하는 무가권력 등이 그 본거지에 권력의 개성과 시대성을 반영한 새로운 경관과 공간원리를 생성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다. (1) 큰 정토정원을 갖는 御堂(사찰)과 세트를 이룬 御所(천황의 거소). (2)황통(천황가 내의 계통)과 가족의 상징으로서 조상을 모신 분묘를 중심으로 한 도시형성. (3) 내리를 기점으로 남북으로 주축을 갖는 고대도성과 달리, 어당과 어소가 동서로 배열된 동서가로를 주축으로 한 도시계획. (4) 수도와 외부를 잇는 교통의 결절점에 입지하였고, 특히 하천변을 향해 적극적으로 확장된 도시. 일본 중세는 무가정권의 시대를 맞이하여 도고쿠(東國) 초기 무가정권의 본거지 히라이즈미(平泉)와 최초의 막부가 열린 가마쿠라(鎌倉)가 모델로 한 것은 '도성 헤이안큐'가 아니라 헤이안큐 수도 밖 신도시의 경관과 공간원리였다. 특히 히라이즈미와 가마쿠라 등이 가정기관(家政機關)과 조상의 묘를 중심으로 한 '가족 원리'에 따른 정권도시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은 단순한 도시의 모방이 아니라 주종관계를 축으로 의제적인 '집(家) 원리'로 권력이 형성된 무가에는 더욱 어울리는 논리이며, 또 고대와는 다른 새로운 시대의 논리였기 때문이다. 그 한편으로 무가의 대들보로서 무사들에 의해 추대된 초기 무가정권은 도시의 논리와 경관을 도입하였을 뿐 아니라 그들과 공통의 가치관을 표현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였다. 그것이 최신의 도시를 모방한 어당과, 그것과는 대조적인 도고쿠 무가의 전통적인 어소의 병립이라는 종교공간과 정치 일상공간에서의 권위표상의 의식적인 분리에 의해 표현되었다. 히라이즈미와 가마쿠라에서는 유통, 상공업 등의 도시기능과 도시적인 경관이 정비되기까지 약 50년의 시간이 경과할 필요가 있었다. 12세기 일본의 무가정권은 스스로의 거점으로서 도시를 기획, 형성하는 의식과 실현하는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었는가 검토가 필요하다. 명확한 동아시아모델의 도성을 실현함으로써 왕권의 존재를 드러낸 고대 율령정권과의 차이점은 매우 크다. 이후 무가가 권력의 의도를 도시구조로서 명확하게 드러낸 것은 15세기 후반의 전국시대 다이묘(大名)의 죠카마치(城下町)로부터이다. 특히 16세기 후반부터 천하통일을 실현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연합정권에서는 구체적인 성(城)과, 그 성을 중심으로 한 계층성을 명시한 죠카마치의 공간설계가 있었다. 여기서는 다시금 '도시의 경관'이 명확한 권력의 상징으로서 기능하게 된 것이다.

Study for the observation record of constellation Crux in the ancient time of China and its deform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of the Chinese constellation 'Goru(庫婁)'

  • Park, Daeyoung;Lee, Yong-Sam;Kim, Yong-K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8.1-48.1
    • /
    • 2016
  • 남십자자리(Crux)는 현재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는 관측할 수 없는 별자리지만 고대 중국의 전통 별자리 체계가 성립되던 시기인 춘추전국시대만 하더라도 지평선 부근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였다. 우리는 세차운동 계산을 통해 남십자자리가 출몰성에서 전몰성으로 변했음을 확인하였고, 고대 중국의 문헌 기록과 성표, 성도의 별자리 그림 분석을 통해 남십자자리의 밝은 4개의 별이 중국의 전통 별자리인 고루성(庫褸星)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십자자리가 관측되던 시기와 관측되지 않던 시기에 각각 작성되었던 성표와 성도 분석을 통해 고루성의 별자리 모양이 점차 변형되어 갔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양의 천문기술이 중국에 전해 진 이후 진행된 동서양의 별자리 상호 비교 및 동정 결과들을 분석하여 중국의 전통 별자리 체계에서 어떻게 고루성이 완전히 배제되게 되었는지에 대한 논의를 포함, 본 연구의 초기 결과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Development of the Old Korean Girder Bridges (현존(現存) 한국(韓國) 고대항교(古代桁橋)의 구조적(構造的) 발달(發達)에 관한 연구(硏究))

  • Hwang, Hak Joo;Kim, Keun Sob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0 no.1
    • /
    • pp.81-86
    • /
    • 1990
  • This study aims to systemize the developement of the domestic girder bridges, an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construction of our own bridges. Bridges are analyzed by grouping them in terms of construction time and structural component. The bridg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the first era of Goryeo-dynasty, have no distinction between main beams and stone deck. Form the latter era of Goryeo-dynasty, the structure of the bridges began to seperate into main beams and stone deck in order to enlarge the width and span length. The bridg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the Chosun-dynasty, were constructed using modulized material, and are considered to be built by structural design concept. Their construction materials became larg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method. The superstructure of the old Korean bridges became more complicated in contrast to simplification of the substructures.

  • PDF

Carbonized Rice Excavated at the SORORI Paleolithic Age Site (청원 소로리 구석기유적지 출토 탄화벼)

  • Lee Y.J.;Woo J.Y.;Shu H.S.;Kim J.Y.;Cho Y.K.;Heu M.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1999.05a
    • /
    • pp.120-121
    • /
    • 1999
  • 1. 충북대학교 박물관팀이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에서 구석기시대 유적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13,010BP로 추정되는 상위토탄층에서 고대형 탄화벼가 출토되었고 36,350BP 이전으로 추정되는 하위토탄층에서 유사벼가 출토되었다. 2. 고대형벼는 11개의 단립형과 1개의 장립형이었다. 장립형벼는 영피표면에 융모가 없고 황금색인(Smootn and gold-hull) 세장립이었다. 그 크기는 지금의 세장한 indica 와 비슷하였다. 3. 유사벼는 영표면에 융모가 있고 깍지(莢)모양으로 되어있는 것(유사벼-1)과 영표면에 융모없이 미끈한것(유사벼-2)으로 2종류가 있었다. 이들의 크기는 모두 벼알과 비슷하였다. 4. DNA 분석결과 고대벼는 지금의 재배종 japonica 나 indica 와는 차이를 보였다. 장립종은 시료가 부족하여 분석하지 못하였다. 유사벼-1은 재배종 벼와 약간 유사한점이 보였으나 유사벼-2는 유사점이 없었다. 5. 고대벼에서는 쌍봉돌기(Bi-peak protuberences)가 있었으나 유사벼-1 과 유사벼-2에서는 이것이 없었다.

  • PDF

Study on Korean Ancient Dietary Culture through Japanese Sacrificial Offerings -Danjanjinja Kakitsisai(2)- (일본신찬(日本神饌)을 통한 한국고대식(韓國古代食)의 추정연구(推定硏究) -담산신사(談山神社) 가길제(嘉吉祭) 백미어식(百味御食)(2)-)

  • Kim, Chon-Ho;Kaneko, Kentaro;Sumino, Takeshi;Kaneda, Takash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8 no.2
    • /
    • pp.139-146
    • /
    • 1993
  • The predeccessor of Danjanjinja was Myorak temple which is built in the 7th century. At that age, the Buddhist culture of Japan had highly prospected by transmitting Buddhism to Japan from Han peninsular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god of Fujiwara family in Danjanjinja is Uchigami which is one of typical Japanese popular belief like Dangshin of Korean's. Through these historical background, it could by presumed that the Kakitsisai might be the original form of Korean Buddhist sacrificial offerings from ancient age. So this study on Kakitsisai what had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bout for 1300 years help us to study and estimate the ancient dietary culture of Korean and Japanese. 1. Kakitsisai performed high filling method in the sacrificial offerings like Kasuga, Horyuji and Korea. 2. The patterns and colors of high filling offerings are various in Korea and Japan. 3. They used unpolished rice by ancient rice, and called red and black one. We can guess both of countries ate unpolished rice at that age. 4. They used many kind of ancient wild fruits and vegetables. We could recognize what the ancients had eaten the fo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