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객유형의 조절효과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초

보상프로그램과 고객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고객유형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제2보)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Type in Reward Programs and Customer Satisfaction Relations)

  • 강용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133-151
    • /
    • 2011
  • 본 연구는 이동통신사의 멤버십카드를 소지한 고객을 대상으로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보상이 통신사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고객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로서, AMOS의 개별모수 차이검증을 통해 보상프로그램 가치와 통신사 만족간의 관계에서 고객유형별(거래지향형/촉진둔감형) 차이가 있는 지를 밝히고 보상프로그램 가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보상 실용성과 통신사 만족, 보상 쾌락성과 통신사 만족 간의 경로계수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고객유형이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다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보상프로그램 가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있어서 거래지향형 고객과 촉진둔감형 고객 둘 다 보상 실용성이 보상 쾌락성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쳤고, 보상 실용성의 경우 촉진둔감형 고객이 거래지향형 고객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 PDF

MBTI 성격유형,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 H사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MBTI Personality Types,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Willingness to Change Job)

  • 강민정;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5호
    • /
    • pp.151-173
    • /
    • 2017
  • 본 연구는 영남지역 H사 전속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와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고객지향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만족의 영향이 MBTI 성격유형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2014년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총 120명의 영남지역 H보험설계사들을 대상으로 MBTI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본 논문의 가설관련 문항들이 포함된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일관성 및 성실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14부를 제외한 106부가 가설검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성격유형(심리적 기능과 태도지표)에 따른 직무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BTI 성격유형의 조절효과 분석결과는 심리적 기능과 태도지표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심리적 기능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태도지표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직무만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존재하는 MBTI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직무만족을 통한 고객지향성 향상과 이직의도 감소노력에 있어 MBTI 성격유형을 고려한 맞춤전략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Big 5 성격유형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Employee Ex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derating effects of Big 5 character-types)

  • 백유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2호
    • /
    • pp.155-170
    • /
    • 2014
  • 본 연구는 미용실 근무 종업원 374명을 대상으로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고찰한 것으로 특히 양자 간의 관계에 있어 Big 5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종업원들의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Big 5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Big 5 성격유형 중 성실성과 개방성만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통하여 성격특성은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에 있어서 선행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박진현, 2012)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도 기능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는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고객의 신뢰를 얻어 매출상승에도 보탬이 될 수 있지만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종업원들의 조직몰입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미용업과 같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직무에 있어서는 종업원의 성격특성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성실하고 개방적인 성격특성을 지닌 종업원을 선발하고 그들에게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작용하는 조절변수를 탐구해 보았다는 데서 그 이론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 PDF

퀵서비스레스토랑의 지각된 가격, 소비감정, 소비자만족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 쿠폰유형이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upon Types on Perceived Price, Consumption Emotion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Quick Service Restaurants)

  • 데브 쟈니;정호균;장준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5-17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스토랑 고객의 지각된 가격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정반응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쿠폰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퀵서비스레스토랑을 방문한 303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되었고 자료분석은 SPSS 16과 AMOS 16.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감정반응은 지각된 가격과 고객만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쿠폰은 지각된 가격과 고객의 감정반응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지각된 가격과 긍정적 소비감정에 대한 할인쿠폰의 조절효과는 무료쿠폰과 경품 쿠폰보다 강하게 나타났고 지각된 가격과 부정적 소비감정에 대한 조절효과는 경품쿠폰이 할인쿠폰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레스토랑 운영자가 적절하게 쿠폰을 사용함으로써 고객의 반응과 지각된 가격뿐만 아니라 고객의 만족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서비스 유형의 조절 효과에 따른 기업의 고객감동과 행동 의도의 관계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Type on the Customer Delight-Behavioral Intention Relationships)

  • 김미정;윤주옥
    • 서비스연구
    • /
    • 제9권4호
    • /
    • pp.81-95
    • /
    • 2019
  • 고객만족은 모든 서비스 기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주제 중 하나이다. 모든 서비스 기업은 고객을 감동시켜야 하는가? 어떤 서비스 환경에서 고객감동을 창출하는 것이 보다 나은 결과를 이끌어내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감동과 충성도의 관계에서 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자료의 수집은 두 상이한 서비스 환경(소매 은행과 고급 레스토랑)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설 검정을 위해 다중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객감동은 실용적 서비스보다 쾌락적 서비스에서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 모두에 더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감동 전략이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객감동 전략은 쾌락 및 실용적 서비스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지만, 쾌락적 서비스에서 충성적인 고객행동을 이끌어내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서비스기업은 고객감동전략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기업이 효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하고 배분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감동 전략의 수립과 실행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고객의 충성도를 행동과 태도의 두 가지 차원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행동적 충성도는 실제 구매 비율이나 방문 빈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에서는 고객감동이 고객충성도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변화하는지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오더 서비스가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격유형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mart Oreder Service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Type)

  • 연예지;박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41-66
    • /
    • 2022
  • IT 및 모바일앱의 발전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의 확대로 최근 '스마트 오더'가 식음료서비스 분야에서 활성화되고 있다. 매출이 감소한 최근에도 스마트 오더에 의한 주문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문방식은 고객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어, 향후 효과적인 고객맞춤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스마트 오더에 대한 만족과 지속이용의 메카니즘을 밝히는 연구는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TAM)을 근간으로 스마트 오더의 만족과 지속이용의도를 연구하되, 고객의 성격유형(외향-내향)의 조절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스마트 오더 이용자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의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인지된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이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만족도는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은 내향적 고객의 경우가 더 컸으며, 이는 언택트(untact) 서비스의 경우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성격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서비스의 고객맞춤화 전략에서는 고객의 성격유형이 고려되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호텔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 브랜드이미지 조절효과 중심-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Hotel Drive through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Oncontinuous usage Intention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the Hotel Brand image-)

  • 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13-523
    • /
    • 2021
  • 본 연구는 호텔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영향관계와 호텔 드라이브 스루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간에 호텔 브랜드이미지의 변수를 투입함으로서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호텔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를 경험해본 고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으며, 2020년 12월부터 약 40일간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구성된 설문도구는 서울지역 호텔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를 경험한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유효표본 289부를 SPSS 2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 및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가설1과 가설2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설3의 유형성*호텔 브랜드이미지와 물리적환경*호텔 브랜드이미지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으로 조절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응답성*호텔 브랜드이미지와 신뢰성*호텔 브랜드이미지는 아무런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원의 설득전술 : 대학생의 구매형태 및 성별의 조절효과 (Persuasion Tactics of Salesmen : Moderating Effect in Regards to the Purchasing Patterns and Gender of College Students)

  • 윤성욱;강지호;정원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94-7500
    • /
    • 2015
  • 본 연구는 고객과 만나는 서비스 접점에 있는 판매원의 설득전술에 따라 고객의 태도와 행동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판매원의 설득전술을 고객에게 단순한 정보만 제공하는 비강압적 설득전술과 손실을 언급하는 강압적 설득전술로 나누었다. 이러한 판매원의 설득전술 유형에 따른 고객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의 효과 검증과 함께 고객의 소비하는 구매형태와 성별에 따라 어떤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원의 설득전술 중 강압적 전술인 손실언급에 대한 전술이 비강압적 전술인 정보제공전술보다 소비자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매형태에 대한 조절효과는 소비자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하여 강압적 전술이 비강압적 전술보다 온라인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성별에 대한 조절효과는 소비자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하여 강압적 전술이 비강압적 전술보다 여성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소비자 접점에서 판매원의 설득전술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수용의도에 대하여 온라인 구매형태와 여성에게 강압적 설득전술이 더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China - The Moderate Effect on Reliability -

  • Lee, Eun-Ji;Moon, Ja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97-107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과 기술수용모델(TAM)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이며, 중국의 디디추싱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본 연구의 조사는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9일 동안 총 414명을 조사하였고 유효한 응답은 314명이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디추싱의 서비스품질은 기술수용모델(TAM)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술수용 모델은 태도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분석결과, 태도와 고객만족은 신뢰의 정도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들에게 서비스품질 요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객들에게 신뢰가 중요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서 한계점과 향후방안들이 있다. 첫째, 표본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둘째, 차량유형에 따른 분석이 필요하다. 향후에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고객참여의 접점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여속도와 몰입속도의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 of customer participation on encounter satisfaction: moderating of participation and commitment velocity)

  • 안진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3호
    • /
    • pp.81-96
    • /
    • 2019
  • 서비스는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특징으로 인해 고객이 서비스의 전달 및 생산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고객참여라는 변수는 서비스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실증적 결과들을 집적 해오고 있다. 최근 고객참여관련 연구들은 고객참여의 관계마케팅적 요소에 주목하고 있으며, 실증적으로 고객참여의 관계적 가치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있다. 즉, 고객참여도 관계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잘 알려진 고객참여와 관계형성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접점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추가적으로 관계의 역동성을 고려한 몰입속도와 고객참여가 관계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 고객참여속도라는 변수들의 접점만족과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고객참여는 접점만족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몰입속도 및 고객참여속도 역시 접점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객참여의 접점만족에의 영향을 조절할 것으로 기대한 부분은 모두 기각되었다. 조절적 역할을 규명하는 데는 실패하였으나, 관계의 역동성을 고려한 변수들이 서비스 산업에서 중요한 접점만족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변수들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 유형에 적용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