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객요구속성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6초

대학 내 신규 학생식당의 운영 모델 제안을 위한 급식서비스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규명 (Identifying Relative Importance of Foodservice Attributes to Design a New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 이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28-10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교내 학생식 당 이용 실태 및 급식서비스 수준을 조사$\cdot$분석하고 컨조인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가상 학생식당의 주요 속성에 대한 고객의 효용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신규 학생식 당의 계획 단계에서 중점을 두고 논의해야 할 필수요소를 도출하고 신규 학생식당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학생식당 이용실태 분석 결과, 주당 평균 3.4회 학생식당을 이용하고 있었고, 이용 이유는 거리가 가깝고, 가격이 저렴하며 신속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급식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2.77\pm0.82)$와 지불한 가격에 대해 인지되는 급식의 질인 가치 $(2.68\pm0.78)$ 모두 불만족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급식서비스의 12가지 세부 속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 신속한 배식과 식당 운영시간, 가격, 식사량에 대해서는 비교적 수행 수준이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으나, 고객 불만사항 처리나 식당 시설 및 분위기에 대해서는 상당히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신규 학생식당 모델 도출을 위한 컨조인트 분석 결과, 급식서비스의 4가지 속성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고객은 가격$(37\%)$, 분위기$(30\%)$, 음식$(22\%)$, 거리$(11\%)$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8가지의 가상급식소 프로파일 중에서 '프로파일 2', 즉 $6\~10$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여유롭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4가지 정도의 반찬과 함께 후식을 2,000원 정도의 가격으로 판매되는 식사가 제공되는 급식소가 조사대상 대학교의 현재 여건에서 제안할 수 있는 신규 학생식당의 모델로 결론지어졌다.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이상적인 급식소 모델이 현장에 적용되어 새로운 급식소가 개소된다면 고객의 요구도가 적극 반영된 급식소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제기되고 있는 급식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고객 만족을 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신규급식소에서 일정기간의 급식서비스를 제공한 후, 급식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평가가 실시되어 현재의 연구결과와 비교된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급식소 모델의 효과성도 평가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덧붙여 고객의 평가 수준이 낮았던 급식서비스 속성의 개선이 함께 동반된다면 현재 급식소의 급식서비스 질 개선을 통한 고객 만족도의 증진이 가능하리라 본다.

사례기반 상품추천시스템 개발을 위한 사례표현에 관한 연구

  • 정대율;하동현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341
    • /
    • 2002
  • 사례기반추론기법을 통한 유사상품의 탐색과 사용자 요구에 적합한 상품추천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사례베이스의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추천시스템에서 번들상품구성문제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사례표현기법을 개발하며, 유1.1사례를 추출하기 위한 유사도 척도의 개발에 연구의 첫 번째 주안점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번들상품추천을 위한 사례표현기법으로 속성-값(feature-value) 방식인 프레임(frame) 형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유사도 측정을 위하여 각 속성(행사, 예산, 참여자 수, 고객 거주지 등)에 대하여 유사도 테이블을 작성하고, 이들 속성들의 가중합계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 PDF

고객요구속성을 반영한 중.노년층 니트정장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f Middle and Elderly Women's Formal Knitwear)

  • 이윤미;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44-855
    • /
    • 2010
  • An important issue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i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f a product. This paper identifies and analyzes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f formal knitwear for middle age and elderly women through the use of the Kano model in order to develop competitive products.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Customer voices for formal knitwear were collected by means of brainstorming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customer voices were transformed into customer-required attributes with the use of an affinity diagram. In addit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and was statistically analyzed to examine the dimensions of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n the basis of the Kano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ve categories of customer-required attributes were identified (symbolism, aesthetic, fitness, usefulness, and maintenance). The analysis based on the Kano model identifies a strong one-dimensional quality in all of the categories of customer-required attributes and the attractive quality that includes a one-dimensional quality in the categories of fitness and useful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affinity diagram for apparel that educates formal knitwear developers of the customer-required attributes that they should strategically focus on in order to develop competitive products.

베이커리카페 선택속성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Bakery Cafe Choice Attributes Perceived by Customers in Seoul)

  • 최미경;정재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56-463
    • /
    • 2006
  •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외식 산업 트랜드로 부각되고 있는 베이커리 카페의 특징적인 고객 선택속성을 규명하고 고객인지 중요도와 수행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베이커리카페 운영상의 중점 개선점과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제안하기 위채 2005년 10월 12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울지역 만 20세 이상 소비자 3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제품, 서비스, 시설, 입지, 브랜드 등과 관련한 선택속성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평가하도록 구성되었고, 유효한 275부(이용율 85.9%)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이커리카페의 특징적인 고객 선택속성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파일럿테스트를 통해 개발한 설문지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도구호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인지 베이커리카페 선택속성 중요도 수준은 위생 및 청결, 제품 품질, 편안하고 쾌적한 시설과설비, 베이커리 제품의 맛, 조용하고 편한 분위기, 서비스속도, 가시성 등에서 높게 나타나 베이커리카페 이용고객은 제품뿐 아니라 서비스와 분위기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도에 있어서는 브랜드 차원만이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높았고, 제품 차원, 서비스 가격차원, 내부환경 차원에 있어서는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유의적으로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중요도 수행도 분석(IPA) 결과에서는 차원별로는 서비스 가격 차원의 경우 중요도는 높은 반면 수행도가 낮은 중점 개선 영 역에, 내부환경 차원, 제품 차원, 브랜드 차원은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유지관리 영역에, 이용의 편의성 차원과 입지 차원은 중요도, 수행도가 모두 낫은 향후 개선대상 영역에 포함되어 서비스 가격 차원의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타 차원의 경우 장기 적이고 지속적인 관리 개선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세부속성별로는 "분위기가 조용하고 편안하다.", "불만이나 고충이 신속히 처리된다."라는 속성이 중점개선 영역에 포함되어 분위기와 고충처리 부분에 대한 개선을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내부시설 및 기물이 쾌적하다.", "종업원이 친절하다." 항목은 유지관리 영역에 포함되기는 하였으나, 수행도 수준이 중요도에는 다소 못 미쳐 일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기존의 일반 베이커리 연구들에서 나타난 선택속성 및 고객인지 중요도가 제품중심이었던 결과와는 달리 베이커리카페에 대해 고객이 인지하는 중요 선택속성은 제품, 서비스, 인테리어 등의 복합적인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베이커리카페 관련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명확히 파악하고 연구를 전개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업체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있어서도 고씩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큰 선택속성 차원과 세부항목을 중점대상으로 하여 일반 베이커리와는 구분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베이커리카페 이용고객은 특징적인 선택속성을 기준으로 베이커리카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외식 산업 군인 베이커리카페의 조기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선택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선택속성 차원 중 많은 경우에 있어 고객이 인지하고 있는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해당 차원의 개선을 위한 경영자들의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전문화된 전자 쇼핑몰에서의 상품추천을 위한 3차원 속성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Attributes for Recommending Merchandises in Specialized Electronic Shopping Malls)

  • 이경우;최덕원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7-640
    • /
    • 2000
  • 인터넷 상에는 많은 전자 쇼핑몰들이 개설되어 있고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전자 쇼핑몰들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품목과 동일한 소비자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경쟁적 쇼핑몰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다른 전자 쇼핑몰들에 대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차별적인 마케팅전략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러한 전략의 한 가지로서 소비자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하는 쇼핑몰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쇼핑몰은 아직까지 소비자와 상품의 연관성을 찾아서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쓰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고객과 제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 패턴을 고려하여 가장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해 주는 3차원적 모델을 제시하고, 모델 구성에 필요한 3차원 속성(제품 특성, 소비자의 유형, 구매의사결정 유형)의 분류에 대하여 연구한다.

  • PDF

증권회사의 지속적 사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신뢰도 및 고객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cision factor in customer loyalty in securities companies : Focusing on relia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s moderating effects)

  • 이한우;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32-1843
    • /
    • 2015
  • 최근 금융환경의 변화로 증권회사간의 경쟁이 더욱 거세짐에 따라, 경영성과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권회사의 서비스 품질을 기업속성, 직원속성, 금융상품속성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신뢰도 및 고객만족도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각 증권회사의 실제 이용고객이며, 전체 표본 400부 중에서 378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SPSS 20.0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첫째, 기업속성의 윤리성, 혁신성, 규모, 직원속성의 친절성, 전문성, 윤리성, 상품속성의 수익성과 다양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도와 고객 만족도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증권회사 고객의 선택행동을 이해하고 경영환경에서의 다양한 전략을 도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근거한다는 점에서 산업적 학문적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인공신경망 응용 디자인 평가를 위한 감성속성의 명세화 및 평가모델의 구축에 관한 연구 (Applying New Network to the Emotive Elements Specification and Model Construction for Design Evalua)

  • 이은종;권오병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2-247
    • /
    • 1999
  • 디자이너는 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고객의 감성적 평가에 대한 예측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특히 Web상에서 제품을 평가하는 사례가 늘어감에 따라 보다 차별화된 감성적 평가 모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연구된 다양한 디자인의 명세화 방법을 조사ㆍ분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Web상에서 좋은 제품을 선택하게 하는 감성적인 속성을 명세화하는 몇 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인공신경망을 통한 검증을 거쳐서 디자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감성요소 명세화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명세화된 감성속성을 가지고 인공신경망을 응용하여 감성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 PDF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한 항공여객의 항공사 선택속성 분석(국내선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irline Choice Factors with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ocus on Domestic Airline))

  • 하헌구;오세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항공이용객이 접하게 되는 일련의 항공사 선택 속성요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아 체계적인 서비스 요인의 분석을 하고자 하며, 이 세부적인 선택속성 중에서 어느 부분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가장 이용자의 요구수준이 높은지를 측정하고자 했다 즉, 계층화 분석기법 (Analytic Hierarchy Process ; AHP)을 활용하여 국내선 항공사를 선택하는 항공이용객의 항공사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선택속성의 설정은 선행연구 및 국내선 항공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마케팅, 예매서비스, 공항서비스, 기내서비스, 부대서비스의 5개의 상위선택기준과 상위선택기준의 하위단계인 17가지 세부적인 선택요인을 결정하였다. 하위단계의 선택속성은 1) 프로모션/이벤트, 2) 홍보/광고, 3) 신속하고 안정적인 예매, 4) 예매의 편리성, 5) 예매의 신축성, 6) 선호좌석배정 7) 수하물처리서비스, 8) 비정상운항시 후속조치, 9) 탑승라운지 운영, 10) 기내분위기, 11) 음료서비스. 12) 읽을거리 13) 좌석공간. 14) 비즈니스석 운영, 15) 다양한 제휴사, 16) 마일리지제도 운영, 17) IT 서비스이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선 항공사 이용객의 선택속성 중 상위단계의 5가지 선택기준에서 공항서비스가 국내선 항공교통 이용객에게 중요한 선택기준이 되고 있으나, 예매서비스 및 기내서비스도 상당히 중요한 기준임을 알 수 있었다. 소득수준별 상위단계 선택기준 및 하위단계 선택속성의 중요도 분석에서는 저소득자와 중소득자 그리고 고소득자 간에는 선택속성의 중요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항공사는 이러한 차이를 반영한 고객지향적인 경쟁우위 방안이 요구된다 하겠다.

제품선택속성이 제품 선호도와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영향: 스타트업 제품을 중심으로

  • 박서현;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3-178
    • /
    • 2023
  • 스타트업이 초기 시장진출의 진입장벽을 극복하고, 신제품의 시장 진출 이후에 경쟁력을 잃어 실패하고 마는 데스밸리(DeathValley)를 극복해내기 위해서는 시장 진입 및 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 역량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주된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 시장이 원하지 않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이유로 조사됨에 따라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상품을 만다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다만 상대적으로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 비해 자본력과 지속성에 약점을 갖고 있는 스타트업에 있어서는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타트업 제품선택속성이 제품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까지 연결이 되는지를 확인하여 스타트업이 제품 개발 시 소비자의 수요에 부합한 제품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도출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제품 구입 시 영향을 미치는 선택 속성을 가격, 디자인, 편의성, 기능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제품 선택 속성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둘째,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선호도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품 선택 속성과 제품 선호도, 구매의도 및 구매의도 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선호도,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선택 속성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는 스타트업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이해 및 예측한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문제 해결 실행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 PDF

화상회의를 이용한 v-커머스 비즈니스모델 아키텍처 설계 (A Design of Business Model Architecture using Video Conference)

  • 권병일;문남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 /
    • pp.251-254
    • /
    • 2006
  • 2000 년대 초반부터 글로벌화에 따라 화상회의 시스템이 정부와 기업에 중요한 업무지원도구로 확산이 되고 있다. 그 동안은 화상회의는 기업이라는 제한된 울타리에서 1:1 또는 다자간의 회의를 위한 도구로 만족을 하였지만 점차 화상회의를 상업용, 가정용으로 적극적인 활용을 모색하는 추세이다. 또한 기존의 인터넷, 모바일 등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발전의 한계점에 도달하였으며, 고객들의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는 화상회의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회의를 이용한 비즈니스의 확산을 위하여, 화상회의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환경연구로서, e-커머스에 대응한 화상회의 상거래, 즉 v-커머스를 지향한 기술 및 서비스 구성,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과 고객가치속성, 모델의 구성요소, 적용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