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강도 매스 콘크리트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초

혹한기 고강도 콘크리트 매스부재의 현장 압축강도 평가 (Evaluation on In-Site Compressive 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Mass Elements under Cold Weather)

  • 문재성;양근혁;김도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89-59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혹한기 환경에서 매스부재에서 수화열을 고려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제 압축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목업 실험체는 가로${\times}$세로${\times}$높이가 $2.0{\times}1.2{\times}1.0m$로 제작하였다. 콘크리트 현장 압축강도 발현 특성은 $5^{\circ}C$에서 기건양생된 원주형 공시체와 수화열의 영향이 반영된 목업 벽체에서 채취된 코어 실험체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목업 벽체에서 채취된 코어의 재령 3일까지 압축강도는 실린더 강도에 비해 30% 높았는데, 이는 시멘트계 재료의 수화열에 의한 고온의 양생온도 효과 때문이다. 또한 성숙도 함수에 기반한 예측모델과 실험결과의 비교로부터 매스 부재에서 콘크리트의 현장 압축강도 발현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화열의 양생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제시될 수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열 특성 및 발열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Properties of Hydration Heat of High-Strength Concrete and Reduction Strategy for Heat Production)

  • 정재동;조현대;박승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3-210
    • /
    • 2012
  • 최근 국내에서는 대형 및 초고층화 건축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와 함께 콘크리트의 성능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기술로 매스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 시공기술의 확보는 대단히 중요하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다량의 분체량에 따른 시멘트의 수화반응(hydration) 활성으로 콘크리트 내부에 높은 온도의 수화열이 발생하고 외부와 온도차로 인한 열응력의 증가 및 그로인한 균열, 슬럼프 로스현상 등의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스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혼화재의 종류와 혼입량의 변화, 배합수를 Ice-flake로 100% 대체함으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저감하고자 하였으며, 실험결과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 방안으로 혼화재는 고로슬래그와 플라이 애쉬를 사용하고 배합수로 Ice-flake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유동성개선 및 슬럼프로스 저감효과를 볼 수 있으며, 콘크리트 최고 온도를 크게 떨어트려 매스 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균열저감 및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파이프쿨링에 의한 Double T-beam 교량의 온도균열제어에 관한 연구 (Control of Thermal Cracking by Pipe-Cooling System in Double T-Beam Bridge)

  • 정철헌;홍민기;전세진;박세진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60
    • /
    • 2002
  •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후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한 온도응력에 의해서 온도균열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매스 콘크리트 시공시, 온도균열을 구조물의 내구성 관점에서 최대한 억제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단위시멘트량이 많은 배합을 이용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은 단위시멘트량이 많기 때문에 부재내 수화열에 의한 온도의 상승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시공에 앞서 사전에 설계, 재료 및 시공 측면에서 온도균열 제어 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중략)

잠열재를 사용한 고강도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및 자기수축 특성 (Properties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of High-Strength Mass Concrete with Latent Heat Material)

  • 이의배;구경모;남정수;김영선;김영덕;김규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315-3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기재령 수화발열 특성과 자기수축 특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수화발열상승속도 저감에 따른 고강도 매스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수화발열 상승속도 저감을 위한 재료로서 잠열재를 사용하였으며, 잠열재 사용에 따른 초기재령 수화열 및 자기 수축 특성과 서로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 PDF

고강도 매스 콘크리트-보의 수화열 및 강도특성 (Hydration Heat and Strength Properties of Mass Concrete Transfer Girder)

  • 강연우;김규용;김순묵;김수봉;한장훈;정재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8-29
    • /
    • 2013
  • When concrete was hardened, it should had considered a crack to make internal stress by hydration heat. For control of crack, admixture was use to change cement because hydration heat was effect to cement. High strength mass concrete had much hydration heat with high volume of cement. It was necessary to reduce hydration heat in construction method. In this study, it evaluates hydration heat, compressive strength of transfer concrete girder regard to field construction type such as separation, whole etc. Also, we test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core and mold specimen.

  • PDF

SRC 구조가 콘크리트 온도응답에 미치는 영향

  • 송영현;채원규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91-496
    • /
    • 2002
  • 중력식 댐과 같은 대형구조체의 콘크리트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던 매스콘크리트의 개념적용은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대형화, 특수화되어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된 콘크리트의 대량 급속 시공이 증가하고 있어 그 특별한 범주를 규정하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뿐만아니라 과거보다는 상대적으로 고강도화된 콘크리트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빈번히 관찰되고 있는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발생원인 및 발생시기의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중략)

  • PDF

매스부재를 고려한 고강도콘크리트의 수화발열상승속도 조절에 따른 자기수축 특성 (Properties of Autogenous Shrinkage according to Hydration Heat Velocity of High Strength Concrete Considering Mass Member)

  • 구경모;김규용;홍성현;남정수;신경수;길배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9-3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초기재령에 있어 매스부재를 고려한 고강도콘크리트에 대해 수화발열상승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열흡수성능이 있는 상전이물질을 사용하였다. 또한 수화발열상승속도의 조절에 의한 고강도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전이물질은 시멘트 수화반응을 촉진함으로서 초기재령에 빠른 응결시간과 높은 압축강도 발현을 나타냈다. 또한 수화열 및 수화발열상승속도를 저감시키고, 자기수축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초기재령의 수화발열상승 속도의 조절에 의해 자기수축량의 저감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혼합형 저발열 시멘트의 특성과 콘크리트 기초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Properties of Concrete and Characteristics of Blended Low Heat Cement)

  • 송용순;한정호;강석화;김상철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77-187
    • /
    • 1998
  • 최근 국내에서 해양 구조물, 장대 교량의 하부구조물, LNG저장탱크 등 매스콘크리트의 증가추세에 따라 구조물의 고내구성과 관련하여 시멘트의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의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3성분계 혼합형 저발열시멘트가 개발되어 실 구조물의 적용단계에 있으나, 저발열시멘트가 개발되어 실 구조물의 적용단계에 있으나 저발열시멘트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보고가 국내에서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성분계 혼합형 저발열시멘트의 특성 및 코\ulcorner리트의기초물성을 1종 보통포틀랜트 시멘트, 5종 내황산염시멘트, 슬래그시멘트와 비교하였다. 글 결과 저발열 콘크리트의 찹축강도는 초기재령에서 강도발현률이 적은 반면 장기강도발현률은 상당히 큰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화열은 1종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1/3~1/2정도로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소이온에 대한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거대 해양 구조물의 적용에 매우 유리한 시멘트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