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성

Search Result 10,02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항만종합개발계획(PMP)의 적응력 제고 방안

  • Gil,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47-249
    • /
    • 2012
  • 당해 항만의 장기개발방향을 제시하는 항만종합개발계획(Port Master Planning; PMP)은 향후 해당 항만의 확충 정비 개발을 위한 기본계획이나, 계획의 실행단계에서 많은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PMP의 한계점을 분석한 후,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적응계획(adaptive planning) 방법론을 검토하고, 로테르담항만의 적응계획법 적용 사례 소개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항만개발계획의 견실성과 적응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Planning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Gwangmyeong and Chuncheon Smart City Services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스마트도시계획간 연결성 연구 - 광명시와 춘천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중심으로)

  • Kim, Hong Gwang;Yi, Mi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6
    • /
    • pp.601-609
    • /
    • 2018
  • The Smart City Plan specifies that it should reflect the content of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which is the upper plan while presenting the basic direction, promotion strategy, servic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lans of a smart city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studies on whether plan contents a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according to smart city planning hierarchy. In this study, we are to us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o find out the local government's smart city plan is actually highly connected to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 master plan at national level. To this end, we condu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Gwangmyeong and Chuncheon, which were recently approved for smart city planning. First, 108 keywords were derived from the 2nd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se keywords and Smart City Planning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connections of Smart City Planning in Gwangmyeong was 371, which was higher than 307 in Chuncheon, and the average degree of connection per keyword and network density were also higher in the Gwangmyeong Smart City Planning than the Chuncheon Smart City Plan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mart City Planning actually had a high connectivity with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the keywords with high connection centrality were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lans.

원전 계획예방정비시 방사성폐기물 감용처리 표준화 공정 개발

  • 고영우;김영식;김효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5.06a
    • /
    • pp.190-191
    • /
    • 2005
  • 원자력발전소 계획예방정비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 작업공정 및 특성상 단기간에 방사성폐기물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계획예방정비 기간중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의 종류 및 내용물은 약$60{\sim}80\%$ 이상이 철재류, 비닐류, 면류, 종이류가 차지하고 있다. 기존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감용 및 재활용등 처리방법을 개선하고 일련의 작업공정을 표준화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계획예방정비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의 종류 및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절차를 개선하고 표준화 공정을 적용한 사례 및 실적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Graphical Methods for Evaluating Supersaturated Designs (초포화계획을 평가하기 위한 그래픽방법)

  • Kim, Youn-Gil;Jang, Dae-He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1
    • /
    • pp.167-178
    • /
    • 2010
  • The orthogonality is an important property in the experimental designs. We usually use supersaturated designs in case of large factors and small runs. These supersaturated designs do not satisfy the orthogonality. Hence, we need the means for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the orthogonality of given supersaturated designs. We usually use the numerical measures as the mean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the orthogonality of given supersaturated designs. We can use the graphical method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the orthogonality of given supersaturated designs.

Genetic Algorithm for Job Shop Scheduling with Flexible Routing (경로 유연성을 가지는 Job Shop 일정계획에 대한 Genetic Algorithm)

  • 김정자;김상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99-102
    • /
    • 2000
  • 전통적인 job shop 일정계획문제는 NP_hard 문제로 조합최적화 문제이다 일반적인 가정은 job이 방문하는 기계들의 경로가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경로 유연성을 가지는 job shop 일정계획문제는 job이 방문하는 기계들의 경로가 고정되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전통적인 job shop 문제를 복잡하게 만든다. 경로 유연성을 가지는 job shop 문제도 NP-hard 문제이다. 그러므로 휴레스틱이나 AI 기법들을 사용하는 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유전 알고리즘은 매우 복잡한 조합 최적화문제인 job shop 일정계획문제에 적용되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최대완료시간(makespan)으로 경로 유연성을 가지는 job shop 일정계획문제를 풀기 위한 유전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경로 유연성을 가지는 job shop 일정계획문제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유전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한 첫 단계로 유전적 표현 즉, 개체 표현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유전 연산자의 소개 그리고 알고리즘 재생과정을 제시하고 수치실험을 통해 알고리즘이 양질의 일정계획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Options for Combining Functions for Convergence Products (컨버전스 제품 개발을 위한 기능의 결합 조건에 관한 연구)

  • Ryu, Seung Ho
    • Smart Media Journal
    • /
    • v.2 no.4
    • /
    • pp.41-50
    • /
    • 2013
  •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ree universal appropriate conditions, 'difference', 'planning', and 'freshness' for convergence products, and research their contents. 'Difference' means that combined functions have to be all different. 'Planning' indicates that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has to be proceeded in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so multiple usages human beings make in their daily lives have to be excepted. 'Freshness' explains that the values of combined functions are expanded by convergence. They are the elements to represent convergence produc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ing processes. They widen the range of convergence products by making in a number of various combining ways, and develop a lot of discourses based among social cultural backgrounds, concepts, and products. This study has shown that convergence is a product method that is managed by strict plans, strategies, and chosen functions. Convergence is a product development method with chosen functions, strict pla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Now, this study will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works on product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convergence.

  • PDF

초점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7 no.12
    • /
    • pp.5-19
    • /
    • 2017
  • 산업통상자원부는 '17년부터 '31년까지 향후 15년간의 전력수급 전망 및 전력설비 계획 등을 담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을 마련하여 12월 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하 산업위)의 통상 에너지 소위에 보고했다. 이번 계획(안)은 지난해 12월 계획 수립에 착수한 이래 약 1년간 70여명 전문가들의 43차례 회의를 거쳐 작성되었으며, 그간 수요 전망, 설비 계획, 예비율 등 5차례에 걸쳐 중간 결과를 공개하여 시민 환경단체, 에너지업계 등 이해 관계자로부터 의견을 수렴해 왔으며, 지난 9월에는 국회 산업위 통상에너지소위에 중간 보고를 하였다. 기존 수급계획이 수급 안정과 경제성 위주로 수립되었던 것에 반해, 이번 8차 계획은 최근 전기사업법 개정(전기사업법 제3조 개정('17.3월) :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전기설비의 경제성, 환경 및 국민안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취지를 감안하여 환경성 안전성을 대폭 보강하여 수립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발전소 건설을 우선 추진하기보다는 수요 관리를 통한 합리적 목표 수요 설정에 주안점을 두었고, 신규 발전설비는 대규모 원전 석탄 일변도에서 벗어나 친환경 분산형 재생에너지와 LNG 발전을 우선시하였다. 이번 수급계획은 국회 산업위 통상에너지소위 보고 외에도 국회 산업위 전체회의 보고, 공청회 등을 통해 추가적으로 의견을 수렴한 뒤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국회에 보고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 전문을 게재한다.

  • PDF

Systematizing and Improving of Spatial Environment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환경정보의 체계화와 개선방안)

  • Eum, Jeong-Hee;Choi, Hee-Sun;Lee, Gil-S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2
    • /
    • pp.111-133
    • /
    • 2010
  •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notwithstanding their feasibility and potential utility in constr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spaces, has long been perceived in practice as "declarative" and a "formality." Such perceptions are largely the result of the failure to provide spatial planning that is directly relevant to development of the space in question, and to sufficiently interconnect with urban development plan. This demonstrates the need for ways to link disparate plans, i.e. to enact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onse to these issues, this study proposes the systematization of spatial environment data a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which would provide both linkages with other plans, and ensure the applicabilit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environmental data, and then proposed systems for links with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ect of this, the study examined spatial data systems, and then classified applicable spatial according to each environmental medium. The study also produced spatial information and planning items that can be included in spatial environment plans for each of the nine environmental media, and then constructed a system that could link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system, current spatial environment data, and spatial environment management plan.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matters for improvement in the construction of spatial environmental data to ensure the activat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 The construction of a systematic spatial database, by facilitating the smooth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can enhance and upgrad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while contributing to enhanced linkages with related spatial plans.

  • PDF

A study of optimal scheduling for generator maintenance considering economics (경제성을 고려한 발전소 예방정비 계획 최적화 방안 연구)

  • Jang, Ji-Won;Yoo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59-460
    • /
    • 2015
  • 현재의 예방정비계획 운영 방법은 KPX에서 발전 사업자들로부터 희망하는 자신들의 발전기 예방정비계획 일정을 받아서 공급예비력 기준을 만족하면 승인을 해주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경제적인 부분을 예방정비계획 수립에 반영하지 못하고 계통의 신뢰도 측면만을 판단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비용을 최소화하는 예방정비계획 최적화 모델을 적용하여 예방정비계획 수립 시 경제성을 반영하려 한다. 이를 통해 연발전비용을 낮추면서 연평균 SMP 또한 낮춤으로서 한전과 발전사업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용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하는 tool을 적용한 예방정비계획 최적 값과 기존의 예방정비계획을 공급예비율, 계통한계가격(System Marginal Price, SMP), 발전비용 세 가지로 나눠 비교하고 신뢰도와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 예방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dvanced Aspects of Integrated Flood Management in River Basin (유역종합치수계획의 선진화방안 연구)

  • Kim, Ki-Tae;Jeon, Jae-Ryung;Choi, H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2-432
    • /
    • 2011
  • 유역종합치수계획은 홍수유출을 조절시킬 수 있는 자연 또는 인공 시설물들을 유역 전반에 걸쳐 종합적으로 연계 운영하는 구조적 수단과 비구조적 수단을 동원함으로서 유역의 홍수피해 저감 능력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계획이다. 하지만 유역종합치수계획의 비구조적 측면은 이상기후로 인한 극단적인 형태의 홍수, 제도적인 연계성 부족으로 관계기관, 유역주민, 법적 행정적 뒷받침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유역종합치수계획과 하천기본계획과의 연계성 문제, 유역의 홍수방어 대책, 유역 협의체의 구성 등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유역종합치수제도와 일본의 유역종합치수대책 및 특정도시하천유역치수계획의 선진 외국의 유역종합관리 현황 및 최근의 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유역종합치수계획에 대한 적용성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 지자체간의 연계성을 위한 통합적인 유역협의회 구성 및 운영의 문제, 유역분담 홍수량 저감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의 문제, 전국적인 유역종합치수사업의 시행에 필요한 법적 제도적인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