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획된 행위 이론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4초

계획적 행위이론에 근거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에 관한 연구 (Nurse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 Regarding Pressure Ulcer Prevention Behavior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박준호;장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12-223
    • /
    • 2019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가 종합병원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의 4개 종합병원에서 총 111명의 간호사가 연구에 참여하여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와 관련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체 대상자뿐만 아니라 대상자를 각각 학력수준, 근무병동 및 병원규모로 나누어 집단별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반면에 집단별 분석 결과에서는 '학사이상'이거나 '3차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임상경험이 많을수록 행위 수준이 높았고, '외과병동 및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학사이상'인 간호사는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의 수준을 개선함으로써 욕창예방 행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교육수준, 근무부서, 병원규모를 고려한 개별화된 맞춤형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정보기술의 행위의도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 Korea)

  • 남수태;김도관;이현창;신성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581-2587
    • /
    • 2013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정보기술에 대한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이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계획된 행동이론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총 3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행위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571로 보였으며, 주관적 규범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381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행위통제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58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도에서 행동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21을 보였다.

학교 밖 청소년의 금연의도 관련요인: 계획된 행위이론 변수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Quit-Smoking Intention among Out-of-school Youths : Based on the Planned Behavioral Theory)

  • 임소연;박민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54-36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quit-smoking intention based on the planned behavior theory among out-of-school youth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during Nov. 1. 2018 to Feb. 28, 2019, study subjects were 189 out-of-school youths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A, B, C area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quit smoking intention according to age, weekly allowance, participate of antismoking program.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quit smoking intention and attitude to non-smoking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influenced by predictive variable, age, weekly allowance, attitude to non-smoking,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explain 26.8% smoking cessation intention. Conclusion: We believe that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the specific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for out-of-school youth's health behaviors.

계획된 행위 이론을 적용한 모유수유의지 및 행위의 예측요인 분석 (Prediction of Breastfeeding Intentions and Behaviors :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혜숙;남은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96-806
    • /
    • 1997
  • The majority of studies on breastfeeding consists of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ies identifying the incidence and correlates of breastfeed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s been shown to yield great predictive power for behavioral goals over which individuals have only limited control such as improving school grades and weight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breastfeeding of mothers who delivered vaginally, One hundred mothers who delivered vaginally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one general hospital and three private hospitals in Taej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following the guidelines suggested by Ajzen & Fishbein(1980) and Ajzen & Madden(1986). The instruments included measuremen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tention to breastfeed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oth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did not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prediction of intention, but the addition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 the regression equation greatly improved the model's predictive power, increasing the R²from .05 to .52. 2. Intention to breastfeed alone had a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 on actual breastfeeding, resulting in a regression coefficient of .16(X²=8 60, p<.01), but wh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added to the equation, intention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 and onl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actual breastfeeding, resulting in a regression coefficient of .12(X²=4.69, p<.05). In sum, breastfeeding behavior lent only partial support to the second ver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becaus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strong effect on intention to breastfeed and actual breastfeeding,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which focus on strengthening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r the promotion of breastfeeding.

  • PDF

지식정보화사회에서 SNS의 사회적 기능 향상에 따른 부작용 해결방안을 위한 멀티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법제화의 당위성에 관한 연구(Ajzen의 계획된 행위 이론을 기반으로) (Study on Justification of the Legislation of Multimedia -Literacy Education to Solve Side Effects of Improving Social Functions of SNS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신승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89-94
    • /
    • 2021
  • 최근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스마트폰 보급의 일반화로 인해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신문, 라디오, 텔레비전)때와 달리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사람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으며,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개인마다 문제의식은 동일하지만 서비스유형이 다원화되면서 문제해결방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처럼 뉴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성장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은 우리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로인해 발생되는 사회적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최근 정보격차로 인한 사회 계층간의 소통문제는 또 세대 간의 갈등으로 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이 같은 문제가 지속될 경우 국가·사회적 손실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격차 해결을 위한 정책적 노력 및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법제화 필요성을 심리적 모형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20대 성인의 구강검진 행위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Oral Examination Behavior of Adults in Their 20s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 황선희;최혜숙;손소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7-83
    • /
    • 2011
  • 본 연구는 개인의 건강행위를 변화단계에 따라 설명하는 범이론적 모델을 적용하여 20대 성인의 정기적 구강검진행위에 대한 변화단계와 의사결정균형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성인 358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73.2%, 여자가 26.8% 명이었으며, 나이는 20세에서 24세 까지가 91.9%, 학력은 전문대졸이 74.3%이었다. 전신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다가 49.2%, 보통이다가 29.3%, 구강상태는 보통이다가 38.5%, 건강한 편이다가 32.4%이었다. 구강에 대한 관심은 신경 쓰이는 편이다가 43.9%, 보통이다가 34.4%로 조사되었다. 2. 정기적 구강검진에 대한 변화단계에 따른 대상자들의 분포는 계획전단계 22.1%, 계획단계 43.6%, 준비단계 10.6%, 행동단계 13.1%, 유지단계10.6%로 조사되어 76.3%의 성인들은 아직 구강검진을 위해 치과를 방문하지 않았거나 앞으로 1개월에서 6개월 내 구강검진을 위한 치과방문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3. 의사결정균형 요인과 각 문항의 동의 정도 분석에서 긍정적 요인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항목은 '구강검진은 내 치아에 이득이 된다.' (M=4.26)이며, 가장 낮게 평가된 항목은 '치아건강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다.' (M=3.59)이었다. 부정적인 요인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항목은 '치과에 가면 항상 기다린다.' (M=3.31)이며, 가장 낮게 평가된 항목은 '치과에 가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M=2.69)였다. 4. 구강검진 단계에 따른 의사결정균형 정도를 분석한 결과 구강검진의 긍정적 요인에서는 계획전단계(P= .000)와 유지단계(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구강검진의 부정적인 요인에서 역시 계획전단계(P=.024)와 유지단계(P=.028)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구강검진의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도 계획전단계(P=.000)와 유지단계(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범이론적 모델을 근거로 20대 성인들을 대상으로 정기적 구강검진에 대한 행위 변화단계와 의사결정균형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행위 실천은 근거중심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범이론적 모델은 행위 변화를 위한 개인의 상황과 인지정도에 따라 적절한 중재전략을 제공하는 유용한 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의도 및 금연행위 예측을 위한 계획적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검증 (Testing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 Smokers)

  • 송미라;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56-470
    • /
    • 200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 smoker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future smoking cessation program as a nursing intervention.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80 adolescent smokers who had smoked one cigarette and attended a five-day school smoking cessation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4 to December 21, 1999.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tools developed by Jee (1994) to measure TPB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PC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Results: 1.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parti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2.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smoking cessation behavior. 3. There were partial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4. There were partia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perceiver behavioral control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partially demonstrated support for the TPB model that was partially useful in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 smoke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implementing nursing interventions to change the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 smokers.

  • PDF

청소년 딸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의도 및 행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s and Behavior of Human Papilloma Virus Vaccination in Adolescent Daughters)

  • 홍소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23-23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2016년부터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무료접종 대상자인 청소년 딸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HPV 예방접종 의도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의도는 박혜민, 오현이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2017년 6월부터 9월까지 24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HPV 예방접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순이었다. 또한, HPV 예방접종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대상자의 예방접종 상태, 의료인의 권유, 주변인의예방 접종 상태, 의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하여 예방접종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여 예방접종률 극대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여중생 딸을 둔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및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mong Mothers of Junior High School Daughters)

  • 박혜민;오현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07-318
    • /
    • 2014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여중생 딸을 둔 어머니의 HPV(human papillomavirus) 백신 접종 의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며, G광역시에 소재한 여중학교 4개교의 어머니 1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 HPV 백신 접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는 Askelson 등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2년 9월 17일부터 24일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여중생 어머니들의 HPV 백신 접종 의도는 비교적 높았지만, 6개월 이내에 접종하겠다고 한 어머니는 29.8% 뿐이었고, 어머니들이 생각하는 HPV 백신 최적 접종 연령이 평균 17.74세였다. 대상자의 HPV 백신 접종 의도는 태도, 지각된 행위 통제, 주관적 규범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HPV 백신 접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가 접종의도의 중요한 영향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대상자의 HPV 백신 접종 의도를 84.3%를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어머니들이 HPV 백신 접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백신 접종을 쉽고, 용이하게 지각하도록 격려하는 홍보 및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Intention to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하영미;양승경;최문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41-149
    • /
    • 2021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G시와 S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99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한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한 태도는 3.79±0.74점, 주관적 규범은 3.43±0.66점, 지각된 행위통제는 3.12±0.71점, 사용의도는 3.23±0.77점이였다. 지역사회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규범(β=.35, p<.001), 지각된 행위 통제(β=.35, p<.001)였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8.7%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위의 변수를 고려한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