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통수 분석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초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극동지역 송사리의 계통과 지리적 분포의 상관관계 (Molecular Phylogeny and Distribution of Far Eastern Oryzias latipes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 어재영;유정하;강태욱;김무상;김창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1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극동지역 Oryzias latipes의 지리적 분포와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cyt b)의 유전적 다양성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전국 9개의 지역에서 53개체를 채집하여 얻은 cyt b 염기서열과 GenBank에 등록되어있던 117개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이를 142개의 haplotype으로 새로이 변환하였고, 이의 계통수를 작성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극동지역 송사리는 3개의 haplogroup (A, B, C)으로 나뉘어지며, haplogroup A는 남한의 남한아지역을 중심으로 남한 전역에 분포하며, haplogroup B는 중국와 남한의 서한아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haplogroup C는 일본에만 분포하였다. Haplogroup A는 haplogroup B와 한반도내에서 지리적으로 가깝게 분포하고 있으나 계통적으로는 상당한 거리를 가지고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haplotype의 분지양상은 선행된 연구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형태적 특징 및 다좌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산철쭉 모무늬병균 Sphaerulina azaleae 동정 (Identification of Sphaerulina azaleae on Korean Azalea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 최인영;최영준;이귀재;주호종;조성완;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9-335
    • /
    • 2020
  • 2008년부터 2017년도에 제주, 홍천 등에서 산철쭉에서 모무늬 증상을 나타내는 잎을 채집하였다. 산철쭉모무늬 증상은 빈번하게 잎에만 발생하여 식물의 관상가치를 떨어트리고 조기낙엽을 유발하였다. 변색부는 잎의 윗면에 작고 담갈색 내지 흑자색 점무늬가 먼저 나타나며, 잎의 세맥으로 경계가 구분되어 모무늬 또는 부정형의 증상을 나타냈다. 산철쭉에서 분리한 균주를 동정하고자 형태적 특징과 actin (Act),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E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28S nrDNA (LSU),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PB2)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징을 재확인한 염기서열 분석결과 Sp. azaleae와 99~100%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계통수를 작성하였을 때도 Sp. azaleae 계통군에 속하였다. 따라서 산철쭉에 모무늬 증상에 관여하는 곰팡이는 Sp. azaleae로 동정되었다.

장미꽃 추출물에 의한 식중독 세균 Salmonella enteritidis JK-15에 대한 살균활성 및 그에 따른 LPS 변화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JK-15 and LPS Changes Caused by Rose Flower Extracts)

  • 송유진;조윤석;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8-323
    • /
    • 2009
  • 본 연구는 식중독 원인 세균인 Salmonella enteritidis JK-15를 장미추출물에 노출시켜 나타나는 살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리세균인 S. enteritidis JK-15는 장시간 노출된 음식으로부터 농화, 분리되었다. 16S rRNA PCR을 수행하여 S. enteritidis JK-15의 유전학적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BIOLOG 분석 시스템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S. enteritidis 종(species)과 98% 유사성을 가졌으며, 이 균주를 S. enteritidis JK-15로 명명 하였다. 5~100 mg/ml 범위의 장미추출물에 노출된 S. enteritidis JK-15의 살균효과를 조사하였고, 100 mg/ml의 장미추출물에서 6시간, 그리고 50 mg/ml에서 12시간 이내에 완전히 살균되었다. 지수생장기의 S. enteritidis JK-15 균주는 노출된 장미추출물의 농도와 시간에 따라 lipopolysaccharide의 양이 변화하는 것을 SDS-PAGE와 silver staining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장미추출물에 노출시킨 세균의 외부 형태를 분석한 결과, 움푹 패이고 불규칙적인 간균 형태로 관찰되었다.

RAPD를 이용한 뽕나무속 식물의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orus Species on the Basis of RAPD)

  • 성규병;남학우;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9-6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형태적인 특성에 의해 분류가 이루어져, 객관성이 부족한 뽕나무를 대상으로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뽕나무 품종분류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30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41개의 뽕나무품종에 대하여 RAPD를 수행한 결과 201개의 band를 얻었으며, 이중 151개의 polymorphic band를 집괴분석하여 dendrogrom을 작성하였다. 이 계통수에서 유사도 0.747을 기준으로 41개의 공시 계통을 19개 품종과 16품종이 각각 속해있는 2개의 대분류군과 2품종이 속하는 1개의 군 그리고 1품종씩 속하는 4개의 군으로 모두 7개의 분류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분류군별 관계를 보면 I군, II군, III군에 속하는 품종들은 유전적 상동성이 비교적 높았으나, IV-Ⅶ군에 속하는 품종들은 다른 품종군들과 유연관계가 비교적 낮았으며, 특히 단독으로 하나의 군을 형성(Ⅶ군)하는 모후상은 다른 품종군들과의 유연관계가 매우 낮았다.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분석을 통한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분류학적 재평가 (Reassessment of the Taxonomic Status of the Bemisia tabaci Complex (Hemiptera: Aleyrodidae) Based on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 이원훈;이관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07-120
    • /
    • 2017
  • 담배가루이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농업 해충들 중의 하나이며, 전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종들로 구성된 종복합군(species complex)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유전적 변이와 구성하는 종들의 수를 550개의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재평가하였다. 담배가루이의 유전적 변이는 0% - 27.8%이며(평균 11.1%), 이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서로 다른 속들 혹은 아과들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217개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분석된 계통수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잠재적인 신종(Java)을 포함한 43개 종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운데 9종(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기존의 종구분 한계인 4.0%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들을 구분하는데 적합하며, 높은 종내 유전변이를 보이는 종들은 은밀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국장에서 분리한 세균인 Bacillus licheniformis HK-12의 혈전용해활성 및 특징 (Fibrinolytic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HK-12 Isolated from Chungkook-Jang)

  • 손병희;송유진;오계헌
    • KSBB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51-256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 천연한 청국장에서 분비되는 혈전용해효소를 생산하는 Bacillus Iicheniformis HK-12의 혈전용해활성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이다. 먼저 균주 HK-12의 생리생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BIOLOG GP2 MicroPlate system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균주를 동정하였고, 그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확인되었고, B. licheniformis HK-12로 명명하였으며, 이 균주는 GenBank에 [Eu288193]로 등재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근거하여, B. licheniformis HK-12의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B. licheniformis HK-12의 배양기간동안 세균의 생장, 혈전용해활성, pH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36시간배양 후, 배양의 최대 혈전용해활성은 대조군으로서 플라스민과 비교하여 약 2.25배로 나타났다. 혈전용해활성과 관련하여, B. licheniformis HK-12의 생장에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초기 pH 7.0과 40$^{\circ}C$로 나타났다.

한국산 꿩의다리속(미나리아재비과)의 cpDNA trnL-F 지역의 분자진화와 유연관계: Indel events의 영향 (Molecular evolution of cpDNA trnL-F region in Korean Thalictrum L. (Ranunculaceae)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Impacts of indel events)

  • 박성준;김혁진;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23
    • /
    • 2012
  • trnL-F 지역은 엽록체 게놈 large single-copy 지역에 위치하며, trnL gene, trnL intron, trnL-F IGS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한국산 꿩의다리속 내에서 trnL-F 지역의 분자진화와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갭형질을 이용한 자료의 베이시안과 파시모니 분석에서 몇몇 indels evolution는 분계조를 지지하여 해상력이 좋은 계통수가 나타났다. 한국산 꿩의다리속 내에 cpDNA trnL-F 지역의 indel events는 계통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꿩의다리절(그늘꿩의다리 제외)은 속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한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절은 강하게 분계조를 형성하며 분기하였다. 한국산 꿩의다리속 내에 trnL-F 지역은 뉴클레오티드의 다양한 공간적 분포 변이와 주로 transversion에 따른 염기치환 등 다양한 진화적 패턴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산 피나무속(Tilia L.) 식물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Tilia L.)

  • 부다운;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47-554
    • /
    • 2016
  • 피나무속 식물은 화경의 아래에 부착된 선형의 포를 특징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질은 아욱과의 다른 속과 구분된다. 본 연구는 피나무속의 종간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계통학적 분석은 한국과 일본의 피나무속 10종, outgroup으로 멕시코목화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nrDNA의 ITS와 cpDNA의 trnL-F, rpl32-trnL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ITS, trnL-F 와 rpl32-trnL의 data를 유합한 결과 계통수는 6개의 분계조로 구성되었다. 구주피나무는 outgroup과 가장 가깝게 나타났다. 피나무 , 뽕잎피나무 그리고 털피나무는 한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연밥피나무, 섬피나무, 일본피나무는 각각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섬피나무는 일본피나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보여주었다. 보리자나무, 찰피나무, 염주나무는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여 서로 근연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산 비짜루목 및 백합목(백합강)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paragales and Liliales (Liliopsida))

  • 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9-465
    • /
    • 2002
  • 분자생물학적 자료에 의한 한국산 백합강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2가지의 다른 자료, 즉 엽록체 DNA인 rbcL 및 atpB sequence 자료분석에서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계통수를 얻었다. 즉, 한국산 백합강은 Dahlgren 등의 분류체계에 의한 비짜루목, 백합목, 마목의 3목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비짜루목과 백합목의 유연관계를 추론하는 분자생물학적 연구에서 마목의 분류군이 군외분류군으로 사용되었다. 두 엽록체 DNA인 rbcL 및 atpB sequence 분석에서 붓꽃과는 백합과 보다는 비짜루과에 더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넓은 의미의 Narthecaceae (종전의 Melanthiaceae [국명부재]에 속한 분류군)는 비짜루목이나 백합목에 속하는 분류군들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전의 은방울꽃과 [Ruscaceae] 내에 취급되었던 애기나리속, 나도옥잠화속, 죽대아재비속 등은 각각 Colchiaceae, 백합과, Caloghortaceae로 이전 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마지막으로 한국산 백합강에 속하는 과의 체계에 대해서 토의하였다.

순천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근권에서 유래한 해양세균의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성 (Phylogenetic Analysis and Diversity of Marine Bacteria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s of Halophyte in Suncheon Bay)

  • 유영현;박종명;이명철;김종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5-78
    • /
    • 2015
  • 순천만의 염생식물 근권에서 정주하는 세균의 분리를 위해 순천만에서 우점하는 자생식물인 칠면초 군락 3개 지점을 선발하여 샘플링 하였다. 시료는 marine broth, tryptic soy broth 한천배지를 통해 분리되었으며, 형태학적인 구분을 통해 순수분리되었다. 분리주의 16S rDNA를 분석하여 총 92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들의 유연관계 확인을 위한 계통수 작성 결과, 각각 firmicutes (56.5%), gamma-proteobacteria (29.3%), alpha-proteobacteria (5.4%), actinobacteria (5.4%), bacteroidetes (3.3%)에 속하였다. Shannon’s Diversity index (H')를 산출하였을 때 각각 1.675, 1.924, 2.04로, 채취 지점별로 종 다양성의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