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산 그리드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id Portal Site for Computational Chemistry and Nano-Materials (화학계산과 나노물질 계산을 위한 그리드 포털 사이트의 설계 및 구현)

  • Moon, Jong-Bae;Kim, M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3-166
    • /
    • 2002
  • 복잡한 계산 화학 문제의 해결과 신물질 개발을 위한 나노물질 계산 등을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을 위해 필요한 실험 장비의 가격은 천문학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문제 해결의 장애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그리드(Grid) 컴퓨팅'이라는 새로운 컴퓨팅이 제안되면서 지리적으로 떨어진 여러 자원들을 하나의 슈퍼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리드 환경을 이용하려면 그리드 미들웨어인 글로버스(globus)를 설치하고 인증기관을 통해 사용자 인증과 호스트인증을 거친 후 응용 프로그램들을 설치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그리드 환경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고, 실행할 수 있더라도 그리드 환경에서 작업을 요청하고 할당하려면 RSL이라는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화학계산과 나노물질 계산을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인터넷 상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리드 환경을 구축하고 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PDF

멀티그리드 고정용 전자석 해석 및 설계

  • Kim, Hoe-Seo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v.6 no.2
    • /
    • pp.99-108
    • /
    • 2002
  • 그리드 고정용 전자석은 절단금형에서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진 매우 얇고 가벼운 그리드를 전자석에 흡착시켜 그리드를 부착한 장소까지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전자석이다. 설계목표는 (1)그리드 고정용 전자석이 착자, 탈자 및 이동시 전자석에 흡착된 그리드 조각의 정렬상태가 동요되지 않는 전자석의 설계, (2)금형(그리드 흡착면)에 잔류자기가 최소화되는 설계, (3)전자석이 탈자되었을 때, 잔류자기가 최소화되는 설계에 초점을 두었다. 자장분포는 유한요소법으로 계산하였고, 전자력 계산은 Maxwell stress tensor법을 사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ders for computational and data Grid environments (계산 및 데이터 그리드 환경을 위한 Information Providers 에 관한 연구)

  • Hong, Won-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967-970
    • /
    • 2005
  • 본 논문은 계산 및 데이터 그리드 환경에서 필요한 Information Provider 들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드 정보 서비스의 한 요소로 필요한 Information Provider 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요구 사항을 분석한 후, 스키마를 정의하고 그것에 기반하여 Information Provider 를 구현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에서는 Globus Toolkit 과 SRB 를 기반으로 구축된 계산 및 데이터 그리드 환경에서 MCE 스키마와 MSE 스키마를 정의하고, 그에 따른 각각의 Information Provider 들을 구현한다. 각각의 Information Provider 는 계산 자원에 관한 정보 및 MCAT 기반의 SRB 서버에서 유지되는 리플리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Information Provider 들은 유사하게 구축된 그리드 환경에서 그리드 정보 서비스의 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Fuzzy Logic-based Grid Job Scheduling Model for omputational Grid (계산 그리드를 위한 퍼지로직 기반의 그리드 작업 스케줄링 모델)

  • Park, Yang-Jae;Jang, Sung-Ho;Cho, Kyu-Cheol;Lee, Jong-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5
    • /
    • pp.49-56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grid job allocation and grid resource scheduling to provide a stable and quicker job processing service to grid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uzzy logic-based grid job scheduling model for an effective job scheduling in computational grid environment. The fuzzy logic-based grid job scheduling model measures resource efficiency of all grid resources by a fuzzy logic system based on diverse input parameters like CPU speed and network latency and divides resources into several groups by resource efficiency. And, the model allocates jobs to resources of a group with the highest resource efficiency.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implemented the fuzzy logic-based grid job scheduling model on the DEVS modeling and simulation environment and measured reduction rates of turnaround time, job loss, and communication messages in comparison with existing job scheduling models such as the random scheduling model and the MCT(Minimum Completion time) model. Experiment results that the proposed model is useful to improve the QoS of the grid job processing service.

  • PDF

A Design of Grid User Environment for Accounting (어카운팅을 위한 그리드 사용자 환경 설계)

  • Kim Sangwan;Kwak Jae-hyuck;Hwang Youngchul;Lee Pil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16-18
    • /
    • 2005
  • 계산 그리드는 대형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하는 기관들이 계산 자원이나 저장 공간등을 공유함으로써 자원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사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컴퓨팅 자원을 많은 수의 사용자 커뮤니티내에서 공유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사용과 관련된 어카운팅 정보를 사용자별로 정확하게 수집함으로써 자원의 사용 정책 등에 반영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어카운팅 방법으로는 그리드상의 수많은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드 환경에서 사용자 어카운팅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계산 그리드의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환경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동일한 자원을 이용할 때 서로 충돌되지 않고, 각자 독립된 접근 영역 안에서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어카운팅을 간편하게 만들어 준다는 특징이 있다.

  • PDF

Customizable Global Job Scheduler for Computational Grid (계산 그리드를 위한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글로벌 작업 스케줄러)

  • Hwang Sun-Tae;Heo Dae-Young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3 no.7
    • /
    • pp.370-379
    • /
    • 2006
  • Computational grid provides the environment which integrates v 따 ious computing resources. Grid environment is more complex and various than traditional computing environment, and consists of various resources where various software packages are installed in different platforms. For more efficient usage of computational grid, therefore, some kind of integration is required to manage grid resources more effectively. In this paper, a global scheduler is suggested, which integrates grid resources at meta level with applying various scheduling policies. The global scheduler consists of a mechanical part and three policies. The mechanical part mainly search user queues and resource queues to select appropriate job and computing resource. An algorithm for the mechanical part is defined and optimized. Three policies are user selecting policy, resource selecting policy, and executing policy. These can be defined newly and replaced with new one freely while operation of computational grid is temporarily holding. User selecting policy, for example, can be defined to select a certain user with higher priority than other users, resource selecting policy is for selecting the computing resource which is matched well with user's requirements, and executing policy is to overcome communication overheads on grid middleware. Finally, various algorithms for user selecting policy are defined only in terms of user fairness, and their performances are compared.

D-Class Computing Parallel Algorithm the on Grid Computing Environment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D-클래스 계산 병렬 알고리즘)

  • Shin, Chul-Gyu;Han, J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929-932
    • /
    • 2005
  • D-클래스의 계산은 NP-완전 문제로서 그 결과를 개인키, 공개키로 이용하여 보안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계산 복잡도로 인해 현재 극히 제한된 크기의 행렬에 대한 D-클래스만이 알려져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클래스 계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수식과 알고리즘을 설계 및 구현하였지만, 행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결과를 얻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그리드 컴퓨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최적화된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을 위해 Globus 가 설치된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MPICH 를 이용 효율적인 D-클래스의 계산 알고리즘을 설계 및 구현하여 실행 결과에 대해 논한다.

  • PDF

A Grid-based Matching Algorithm for Improving Response Time in Image Database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응답 시간 향상을 위한 그리드 기반 매칭 기법)

  • Nam, Yun-Young;Park, Jin-Kyu;Hwang, Een-Jun;Wee, Young-Cheul;Kim, D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283-286
    • /
    • 2006
  • 내용기반의 이미지 검색방법은 객체의 내부의 정보를 이용한 검색방법으로 색상, 모양, 질감과 같은 특징을 사용한다. 이러한 특징 중에 모양은 검색에 사용될 수 있는 점을 추출하여 유사도 계산에 사용한다. 유사도 계산은 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검색의 응답시간도 함께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응답시간 향상을 위하여 특징점들에 대한 그리드 기반의 유사도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드 기반의 유사도 매칭 기법은 점들을 그리드로 나누어 검색의 범위를 좁힘으로써 매칭하는 횟수를 줄이는 방법이다. 특징점으로 사용된 점들은 이미지의 선으로부터 MPP(Minimum Perimeter Polygons) 알고리즘으로 추출하였으며, 특징 점들간의 거리값의 합을 유사도로 계산하였다. 실험에서는 400여개의 식물 잎 이미지로부터 점들을 추출하여 검색 시간을 비교하였다.

  • PDF

A Grid Implementation for High-Energy Physics Study (고에너지물리연구를 위한 그리드의 구축)

  • 조기현;오영도;권기환;한대희;손동철;김복주;이상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5-57
    • /
    • 2003
  • 고에너지물리연구에서는 입자가속기에서 배출되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기 위한 계산능력과 대용량의 저장장치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또한, 실제 실험에 참여, 연구, 분석하는 인력 또한 전세계에 흩어져 있어 실험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차세대 인터넷이라 불리는 그리드를 활용하여 고에너지연구에서 필요로 하는 계산자원과 저장장치,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등을 확보한다는 방안이다. 이 글에서는 CERN에서 개발한 EU-DataGrid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고에너지물리 데이터 그리드의 구축 상황을 기술하였다.

  • PDF

Design of Cloud based Grid Test-bed for Handling Science Dataset (클라우드 기반 과학데이터 그리드 테스트베드 설계)

  • Kang, 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90-92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그리드 환경에서 과학응용을 효율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해 클라우드 기반의 동적자원 프로비저닝 기술을 그리드 응용에 적용하기 위한 테스드베드 설계를 기술한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 그리드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요구사항 및 응용 아키텍처 설계를 요약한 후 가상화 자원을 이용하는 과학데이터 그리드 플랫폼을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도록 최적화하고, 그 방안을 제시한다. 설계된 테스트베드는 그리드 환경 고도화를 위한 접근 방법으로 계산 자원 제공을 위해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