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산기하학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49초

과학기술,그뿌리와 현주소/수학편(상)-「0의 발견」이 이룬 현대문명

  • 김용운
    • 과학과기술
    • /
    • 제31권4호통권347호
    • /
    • pp.32-34
    • /
    • 1998
  • 수학은 고대 ㆍ근대 ㆍ현대에 이어지는 문명의 발달과 함께 성장하고 탈바꿈해 왔다. 그리스 기하학은 고대수학으로 수. 양. 함수 등은 근대수학으로 그리고 현대엔 연산작용 등의 수학적 구조로 변천해 왔다. '0의 발견'으로 새로운 세계를 연 수학은 기록용이던 숫자가 계산용으로 바뀌었으며 0은 컴퓨터의 발명에 이르기까지 인류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PDF

메쉬 간략화를 위한 확장 QEM 알고리즘 (Extended QEM for Surfaces Simplification Algorithm)

  • 김수균;김선정;김창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610-612
    • /
    • 2001
  • 본 논문은 이산 곡률을 확장된 QEM(Quadric Error Metrics)으로 변환한 새로운 메쉬 간략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산 곡률이란 이산적인 표면으로 구성된 메쉬 표면의 곡률이며, 기하학 정보만을 이용하여 계산 가능하다. QEM은 간략화 오차를 평면과 한 점과의 거리 제곱의 합인 이차식으로 표현함으로써 빠른 간략화를 수행한다. 본 논문은 모서리 간략화 수행 시의 새로운 점과 주변 평면과의 거리 뿐만 아니라, 그 점에서의 이산 곡률을 계산한다. 즉, 간략화 오차에 거리와 곡률을 함께 고려하여 이차식으로 표현함으로써 빠르고 높은 품질의 간략화가 수행 가능하다.

  • PDF

이산 복사조도-곡률을 이용한 자유곡면의 스무딩 (Smoothing freeform surfaces using discrete irradiance-curvature metric)

  • 김승만;이관행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676-678
    • /
    • 2003
  • 본 논문은 이산 복사조도-곡률 척도를 이용하여 간략화된 자유곡면을 스무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산 복사조도-곡률이란 형상의 기하학 조건인 이산 곡률뿐만 아니라 렌더링을 위해 설정된 라이팅 조건인 복사조도를 고려한 이산 척도이다. 즉 광원과 정점 사이에서 계산된 복사조도값과 메쉬 곡면의 이산 표면에서 정의되는 이산곡률값을 이용하여 각 점정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간략화된 분할곡면의 형상을 스무딩한다. 결국 제안된 이산 복사조도-곡률 척도를 고려한 스무딩 알고리즘으로 간략화된 메쉬 곡면의 형상과 렌더링 결과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랜드마크 시선각 측정값을 이용한 3D 비전항법해 결정 (Vision based 3D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ation using Landmarks' Line-of-Sight Measurements)

  • 김영선;지현민;황동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38-193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랜드마크의 시선각 측정값을 이용하여 3D 비전항법해를 계산하기 위한 항법방정식을 유도하고 항법해 결정 방법을 보여준다. 먼저, 카메라좌표계에서 측정한 시선각과 항법좌표계의 관계를 이용하여 3차원 항법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항법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 이상의 랜드마크를 관측해야함을 보였다. 또한 논문에서는 항법방정식과 기하학을 이용하여 항체의 위치 및 자세를 계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 PDF

컴퓨터 기하학을 위한 병렬계산 (Parallel Computing For Computational Geometry)

  • 오승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4권1호
    • /
    • pp.93-117
    • /
    • 1989
  • Computational Geometry is concerned with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mputational algorithms which solve geometry problems. Geometry problems have a large number of applications areas such as pattern recognition, image processing, computer graphics, VLSI design and statistics since they involve inherently geometric problems for which efficient algorithms have to be developed. Several parallel algorithms, based on various parallel computation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solving geometric problems.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parallel algorithms in computational geometry.

3D 그래픽 Geometry Engine을 위한 부동소수점 연산기의 설계 (Design of a Floating Point Unit for 3D Graphics Geometry Engine)

  • 김명환;오민석;이광엽;김원종;조한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2권10호
    • /
    • pp.55-6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3D 가속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기하학 처리 과정에 적합한 부동 소수점 연산기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부동 소수점 연산기는 IEEE-754 단정도 형식을 지원하도록 하여 기하학 처리에 적합하게 하였고 설계한 부동 소수점 연산기는 Xilinx-Vertex2에서 부동소수점 덧셈/곱셈기는 100 MHz, 부동소수점 NR 역수 계산기는 120 MHz, 부동 소수점 멱승기는 200 MHz, 부동 소수점 역 제곱근 연산기는 120 MHz의 동작 주파수를 각각 확인 하였다. 또한 설계된 부동소수점 연산기를 이용해 실제 기하학 프로세서를 구현하여 실제 3B 데이터 처리를 확인하였다.

프랙탈 나무 모델을 이용한 숲 속에 숨어 있는 타겟의 산란모델 (Scattering Model for Hard Target Embedded inside Forest Using Physics-based Channel Model Based on Fractal Trees)

  • 고일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4-181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숲 속에 숨어있는 타겟의 산란 특성을 계산할 수 있는 효율적인 모델을 계발한다. 이 산란모델은 숲의 산란 특성을 계산하기 위해 프랙탈 기하학과 single scattering 이론을 사용하는 channel model과 타겟 자체의 산란 특성을 계산하기 위해 physical optic(PO) 근사법을 사용하는 hybrid 모델이다. 그리고 전체 모델의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가역정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타겟과 숲 사이의 상호 작용을 계산한다.

기하학적 원리에 의거한 접촉각의 측정 (Development of a Contact Angle Measurement Method Based Upon Geometry)

  • 김동수;표나영;서승희;최우진;권영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5호
    • /
    • pp.41-45
    • /
    • 1998
  • 간단한 기하학적 원리에 의해 접촉각을 계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접촉각 측정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고체 표면의 용액 렌즈가 형성하는 접촉원의 지름과 렌즈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상당한 신뢰성을 가진 접촉각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용액 렌즈에 대해 일반적인 접촉각 측정 장치로 접촉각을 측정하여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한 결과 오차 한계의 범위내에서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PDF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lambda}$ 이산 2-중심 문제 (Min-Sum ${\lambda}$ Discrete 2-Center Problem)

  • 신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6호
    • /
    • pp.340-34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관위치설정 문제 중에서, 이차원 평면에 주어진 n개의 점들로 구성된 집합 P에 대한 이산 2-중심 문제를 다룬다. P의 있는 서로 다른 두 점을 중심으로 선택하는 데, P의 다른 점들은 두 중심 중에서 가까운 중심가지의 거리의 최대값과 두 중심 사이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Ο(n$^2$logn) 시간에 이산 2-중심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다중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재구성 (3D Reconstruction from multiple Images)

  • 김상훈;김태은;최종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35-3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재구성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기술인 카메라 교정 방법에 있어서 특정 교정 물체나 또는 영상에서의 제약 조건 등을 요구하지 않고 영상 내에 산재되어 있는 기하학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영상간의 카메라 움직임을 계산하여 3차원 재구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공간에서의 직교하는 평행선들의 집합이 만들어 낸 자 축 방향으로의 3개의 소실 점을 이용하면 그 투영 영상에 대한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한 영상간의 대응점 관계를 이용하면 두 영상 사이의 상대적인 카메라의 회진 및 이동 성분을 얻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의 내부, 외부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사영 행렬을 계산하고 역 투영 방법에 의해서 3차원 재구성을 구현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