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산

Search Result 34,436, Processing Time 0.073 seconds

사학연금 재정계산제도 개선방향

  • Kim, Byeong-Ryul;Kim, Jae-Gy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1
    • /
    • pp.189-241
    • /
    • 2016
  • 1991년 사학연금제도에 재정계산제도가 도입되었으나 법적 근거만이 존재할 뿐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주체 및 절차, 재정계산의 역할과 범위 등 주요 내용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결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기별로 재정계산 추진방법이 다소 상이한 측면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사학연금 재정계산 실시의 일관성(coherency)과 신뢰성(credibility) 확보에 어려움이 노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학연금 재정계산 시행현황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공적연금의 재정계산제도 시행사례를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사학연금 재정계산제도의 향후 정책과제 및 개선 기본방향을 ①재정평가 및 재정계획 체계, ②재정계산 실시내용, ③재정계산보고서, ④담당주체 및 보고절차, ⑤재정계산 법적 근거 등을 위주로 하여 정책제언(政策提言)하였다. 이 글이 사학연금의 발전적인 재정계산 정책수립에 이바지하고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지속가능한 재정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On parallel computation for 3-d analysis of flow/wave field (3차원 유동/파동장 해석을 위한 병렬계산에 관한 고찰)

  • Lee, Woo-Dong;Hur,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8-88
    • /
    • 2019
  • 컴퓨터 성능향상과 수치해석기법의 발달로 인해 Navier-Stokes 방정식에 기초한 수치모델을 활용한 3차원 유동/파동장 해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Navier-Stokes 방정식 모델의 계산부하를 PC에서 소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게다가 실험실 스케일을 벗어나, 실제 현장을 계산영역으로 설정할 경우에는 계산량이 엄청나게 증가하게 된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병렬계산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계산부하가 큰 Navier-Stokes 방정식 기반의 3차원 수치모델 LES-WASS-3D를 활용한 대용량 병렬계산체계를 구축한다. 나아가 3차원 정밀 또는 광역의 유동/파동장 해석에 있어서 병렬계산체계의 성능과 적용성을 검토한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PC들은 모두 멀티프로세서가 장착됨으로 손쉽게 병렬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정밀 또는 광역해석을 위해서는 대용량 병렬계산 컴퓨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조프로세서를 장착한 공유메모리 환경의 고성능 병렬계산체계를 구축한다. 나아가 포트란 기반의 순차코드로 구축된 기존 3차원 Navier-Stokes 방정식 모델 LES-WASS- 3D를 병렬코드로 변환한다. 병렬계산 성능 및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한 수치해석을 수행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구축한 병렬계산체계의 성능 및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3차원 유동/파동장 해석에 있어서 정확도 향상뿐 아니라, 계산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또한 유동/파동 해석보다 많은 계산시간이 필요한 지형변동 해석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Distribution System Load Flow Based on DAS with Considering Distributed Load (분포부하를 고려한 배전자동화 시스템 기반의 배전계통 조류계산)

  • Lim, Il-Hyoung;Choi, Myeon-S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338-340
    • /
    • 2005
  • 현재까지의 배전계통 조류계산은 송전계통의 조류계산 방법을 모방한 형태로써 각 구간별로 배전계통의 특성을 고려한 계산방법이었다. 이 조류계산 방법은 비선형방정식 풀이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구하고자 하는 전압과 위상각에 초기치를 두어 계산하는 형태로 지금까지 여러 방법들이 연구되어왔다. 하지만, 배전자동화 시스템이 도입 된 후의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특징을 살린 배전계통 조류계산법의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FRTU로부터 모선의 전류와 역률각 Data를 수집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이 취득 Data를 이용한 배전계통 조류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FRTU로부터 취득되는 전류와 역률각을 가지고 4단자 정수를 이용하여 각 모선의 전압과 위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기존 방법들보다 매우 빠르고 실질적인 배전계통 조류계산 방법이다. 또한 보다 실질적인 조류계산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배전자동화 기반 배전계통의 여러 요소들을 고려한 배전계통 조류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istributed Load Flow for Distribution Power System : Part 2 Algorithm (배전계통을 위한 분산형 조류계산 : Part 2 알고리즘)

  • Lee, S.S.;Park, J.K.;Moon, S.I.;Yoon, Y.T.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b
    • /
    • pp.298-300
    • /
    • 2005
  • 본 논문은 Part 2로서 배전계통을 위한 분산형 조류계산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결합 조류계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경계상의 정보를 이용하고 송전과 배전계통에서 조류계산의 수렴 이후에 교환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는 각각의 조류계산 해법들이 송전과 배전계통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송전과 배전계통의 조류계산은 네트웍의 토폴로지와 파라메터 값들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분리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두 계통이 물리적으로 연계되어 있거나 정확한 조류계산 해를 동시에 풀 수 있기 때문에 두 계통의 경계모선들에서 전력 오차를 계산하는 데 있어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송전과 배전 계통의 경계 모선에서 전력 조류는 송전계통의 조류 계산에 대하여 부하로서 나타낼 수 가 있다. 다중 조류 기법들이 상호 존재하므로 이를 분산처리에 이용하는 이점이 된다. 특히, 분산전원 출현으로 인한 이러한 분산형 조류계산 기법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분산형 조류계산 알고리즘은 비동기 분산형과 동기화 분산 알고리즘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분리 계산 기법이 하나 이상의 배전계통을 가진 계통의 결합 조류계산에 사용된다면, 스칼라 경계 변수들은 상태 변수 벡터로 대체 할 수 있다.

  • PDF

A Predicted Newton-Raphson Iterative Method utiliz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예측 뉴턴-랩손 반복계산기법)

  • Kim, Jong-Hoon;Kim, Yong-Hyup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0.04a
    • /
    • pp.339-344
    • /
    • 2000
  • Newton-Raphson 기법은 구조물의 비선형 해석에 널리 쓰이는 반복계산기법이다. 비선형 해석을 위한 반복계산기법은 컴퓨터의 발달을 감안해도 상당한 계산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 예측을 사용한 Predicted Newton-Raphson 반복계산기법을 제안하였다. 통상적인 Newton-Raphson 기법은 이전스텝에서 수렴된 점으로부터 현재 스텝의 반복계산을 시작하는 반면 제시된 방법은 현재 스텝 수렴해에 대한 예측점에서 반복계산을 시작한다. 수렴해에 대한 예측은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이전 스텝 수렴해의 과거경향을 파악한 후 구한다. 반복계산 시작점이 수렴점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하므로 수렴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허용되는 하중스텝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반복계산의 시작점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계산과정은 통상적인 Newton-Raphson 기법과 동일하므로 기존의 Newton-Raphson 기법과 정확히 일치하는 수렴해를 구할 수 있다. 구조물의 정적 비선형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modified Newton-Raphson 기법과 제시된 Predicted Newton=Raphson 기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제시된 Predicted Newton-Raphson 기법은 modified Newton-Raphson 기법과 동일한 해를 산출하면서도 계산상의 효율성이 매우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각종전력조류계산수법의 개관

  • 송길영
    • 전기의세계
    • /
    • v.24 no.4
    • /
    • pp.11-22
    • /
    • 1975
  • 전력조류문제에 대해서는 일찌기 1947년부터 그 계산수법에 관한 논문이 발표되었고 digital계산기가 출현하면서 부터 이제까지 교류계산반을 사용해서 계산되던 조류가 완전히 digital계산기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졌다. 실질적으로 digital계산기로 조류계산을 시도한 것은 미국 Purdue대학의 J.B.Ward와 H.W.Hale의 양인이라소 할 수 있다. 1956년 IEEE잡지에 실린 그들의 논문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연구의 시초를 개척한 것이였으며 이 분야에서는 말하자면 기념비적인 의의를 가지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후 실로 수많은 논문들이 발표되기도 하였는데 최근에 이들 전력조류계산수법을 총정리해서 요약보고하는 보고서 및 연구논문이 입수되었기에 여기에 그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trength Design of Thin-Rimmed Internal Gear -Formulation of Stress Calculation- (박육 림 내접치차의 강도설계 -응력계산식 작성-)

  • 정태형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4
    • /
    • pp.478-486
    • /
    • 1985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대처하고 얇은 림 내접치차의 이뿌리응력을 해석, 이 결과를 종합하여 얇은 림 내접치차의 이뿌리응력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근사 계산식을 작성한다. 또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한 이뿌리응력의 실측치와 이계산식에 의한 계산응력치를 비교검토하여 이 계산식의 계산정밀도 및 신뢰성을 검토하기로 한 다.

Comparison of standard's formula and simplified formula voltage drop on low voltage feeder design (저압간선의 전압강하 계산시 정식계산과 간이계산의 비교)

  • Choi, Hong-Kyoo;Cho, Kyeh-Soo;Seo, Beom-G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5b
    • /
    • pp.207-209
    • /
    • 2004
  • 저압간선의 굵기산정시 일반적으로 간이 계산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교류 임피던스를 적용한 정식과는 허용 전압강하를 기준으로한 포설거리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저압간선의 설계시 보다 정확한 계산을 위해 교류 임피던스를 기준으로한 정식을 사용하여 계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식과 간이식에 따른 계산결과와 실측을 통한 전압강하를 비교하여 정확한 전압강하 계산법을 검토하여 보았다.

  • PDF

Unified State Model(USM)을 이용한 정밀 궤도 계산

  • Song, Yong-Jun;Baek, Seul-Min;Kim, Gap-S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60.2-160.2
    • /
    • 2012
  • Unified State Model(이후 USM)은 Altman(1972)에 의해 처음 제안된 이후 Chodas(1981), Raol & Sinha(1985), Vittaldev et al.(2012) 등을 거치며 연구 발전되어 왔다. 이 모델은 공간상 6개 성분의 위치, 속도 벡터를 이용해 위성의 운동을 기술하는 기존 계산 방법과 달리 4개의 Quaternion 변수를 도입하여 위성의 위치를, 3개의 Hodograph 변수를 도입하여 위성의 속도를 각각 기술한다. USM의 장점은 직교좌표계로 표현된 위성의 위치, 속도 변수에 비해 USM 변수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수치 계산 시 계산의 안정도가 높다. 또한 원궤도(${\omega}$ : undefined)와 적도면 궤도(i = 0, ${\Omega}$ : undefined) 계산 시에 나타나는 특이성(singularity)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USM 계산방법과 기존 방법에 의한 위성궤도 계산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구궤도 위성의 정밀계산을 위해 이체항 이외에 지구타원체 섭동항과 대기 항력에 의한 섭동항을 추가 적용하였다. 비구형 지구 중력 포텐셜에 의한 섭동은 J4항까지 고려하였으며, 대기 항력은 간단한 exponential 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수치계산 시 적분 간격과 정밀도 차수를 조절하여 각 모델의 계산 안정성을 테스트하였다. 본 연구의 궤도계산 결과 USM 모델을 이용한 계산방법은 그 정밀성과 계산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 PDF

Convergence Study on Ability and Accuracy in Drug Dose Calculations of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약물용량계산능력과 정확도에 관한 융합적 연구)

  • Jung, In-So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3
    • /
    • pp.123-131
    • /
    • 2017
  • This study is to find the weaknesses in drug dose calculations of nursing students by analyzi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confidence(C), performances in classes(PC) and exam sheets of drug dose calcul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imple calculation ability(SCA), but male students' mean scores were higher in applied calculation ability(ACA) and accuracy on calculation(A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lculation abilities according to high school departments. And students were weak in questions which are needed ACA. The explanation rate of C on PC and PC on AC were 4.2% and 3.2% respectively, so there were weak positive effects from C to PC, and PC to AC.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an intervention program according to students' abilities to increase AC, C, and PC by studying math on an ongoing basis. This study needs to be cautious in generalizing, because the data set was limited to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