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면접착특성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2초

벽지용 천연마늘접착제의 제조 및 접착성능 (Preparation and Bonding Properties of Natural Garlic Adhesives for Wallpaper)

  • 노정관;이진화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4호
    • /
    • pp.125-132
    • /
    • 2011
  • 최근 실내공간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는 천연재료의 사용이 요구됨에 따라 음식재료인 마늘을 이용한 도배용 천연마늘접착제의 제조와 그 성능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마늘을 이용한 천연접착제는 생마늘을 물로 추출하여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분리 및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였다. 제조한 천연마늘접착제의 접착성능은 불휘발분의 양에 의해 크게 영향 받았으며, 최적의 불휘발분은 60% 전후였다. 제조한 천연마늘 수지의 특성은 불휘발분 62%, 밀도 $1.3g/cm^3$, 점도 2,789 mPa s, pH 6.6이었다. 또한, 마늘 접착제의 접착성능은 KS의 기준을 크게 상회하였으며, 방부제의 첨가 없이도 마늘이 가지고 있는 항균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폼알데하이드의 방산이 거의 없는 매우 안전한 천연접착제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BC)와 석유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핫멜트 접착제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Their Properties of Hot-Melt Adhesive using Styrene Block Copolymer and Petroleum Resin)

  • 정부영;천정미;유종선;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9권4호
    • /
    • pp.12-16
    • /
    • 2008
  • 핫멜트 접착제는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존재하나 열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지압 정도의 압력으로 접착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속도가 빠르고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BS와 석유수지의 종류 및 이들의 조성비가 핫멜트 접착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핫멜트 접착제의 스타이렌 함량 및 $C_9$계 석유수지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 인장강도, 접착력 및 내열성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다이머산계 폴리아미드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mer Acid-Based Polyamides)

  • 박현주;전호균;오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4호
    • /
    • pp.136-1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aliphatic diamine 또는 aromatic diamine을 함유하는 다이머산계 폴리아미드 수지를 축합중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FT-IR로 폴리아미드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iamine의 구조에 따라 합성된 폴리아미드의 기계적,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방향족 diamine 함유 폴리아미드(DAP)의 경우 지방족 diamine 함유 폴리아미드(DAH) 보다 인장강도와 전단접착강도가 우수하였다. DSC thermogram에서 DAP는 DAH 보다 높은 $T_g$$T_m$을 나타내었다. DAP의 연화점은 $112-115^{\circ}C$이고, DAH는 $98-121^{\circ}C$이었다.

에폭시 접착제의 탄소나노튜브 함량과 경화시 습도 변화에 따른 GFRP 및 CFRP의 접착강도 변화 평가 (Evaluation of the Change in Adhesion Strength of GFRP and CFRP with Carbon Nanotube Contents in Epoxy Adhesive with Moisture Change during Curing)

  • 박희웅;김종현;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22
  • 풍력블레이드가 대형화되면서 유리섬유 복합재료(GFRP)와 탄소섬유 복합재료(CFRP)를 혼용하여 제작하고 있고, 이 때 두 가지 이종재료 간의 접착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접착제 내 탄소나노튜브 함량 및 경화 시 습도의 차이에 따른 접착강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다른 에폭시 접착제를 활용하여 GFRP와 CFRP를 접착하였고, 경화 시 습도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접착강도를 평가하였다. 탄소나노튜브 함량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접착제에 들어가는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을 0, 0.1, 0.3, 0.5, 1 wt%로 나누어 단일 랩 전단 시험을 진행하였고, 습도 조건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항온항습기로 습도를 20, 50, 80% 조건으로 나누어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 단일 랩 전단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에폭시 접착제에 탄소나노튜브를 넣음으로써 접착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지만 함량이 과도하게 많을 때에는 접착력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습도가 증가할수록 접착특성이 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극저온 환경에서 에폭시 접착제의 물성 향상을 위한 나노 보강재의 표면 개질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Core-shell Structured Meta-aramid/Epoxy Nanofiber Mats on Interfacial Bonding Strength with an Epoxy Adhesive in Cryogenic Environments)

  • 오현주;김성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29-134
    • /
    • 2013
  • 극저온 환경에 노출되는 구조체의 접착조인트의 경우 피접착물과 접착물 사이에서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계면에서 잔류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접착조인트 내부에 미소균열, 층간분리 등의 형태로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비강성, 낮은 열팽창계수의 특성을 지닌 메타 아라미드 섬유를 에폭시 기지재의 보강재로 사용하였다. 표면처리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전기방사법의 고분자 혼합법(polymer blend method)으로 코어-쉘 구조의 메타 아라미드/에폭시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극저온 환경에서 계면특성이 향상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를 보강한 에폭시 접착제의 전단물성을 확인하기 위해 환경챔버를 이용하여 $-150^{\circ}C$의 저온에서 단일 겹치기 실험(single lap joint test)을 진행하였다. 또한, DCB(double cantilever beam) 실험을 통해 파괴인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극저온에서 일반 메타 아라미드 나노섬유에 비해 코어-쉘 구조의 메타 아라미드/에폭시 나노섬유를 보강한 접착제 시편이 우수한 계면특성으로 인해 물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층박막법을 이용한 표면 젖음성 제어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 of surface Wettability Control Using Layer-by-Layer Assembly Technique)

  • 성충현
    • 접착 및 계면
    • /
    • 제18권4호
    • /
    • pp.171-178
    • /
    • 2017
  • 최근 들어, 다층박막법(Layer-by-Layer(LbL) assembly)을 이용한 표면 젖음성 제어 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다층박막법은 고분자, 계면활성제, 나노 입자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수직 구조와 표면 특성을 나노 및 마이크로 스케일로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적이며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박막법을 이용하여 표면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초발수, 초친수, 초발유/초친수 LbL 표면의 제조와 응용에 대한 기술 동향과 연구 결과를 기술한다. 또한, omniphobic, 자가-치유, 지능형 및 외부 반응형 표면 등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의 기본적인 원리와 제조 방법 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폐석분과 폐타이어 칩을 충진제로 한 혼성복합재(Hycom)의 제조 및 계면현상 연구 (Preparations and Interfacial Phenomena of Hybrid Composites (Hycom) Containing Wasted Stone Powders and Tire Chips)

  • 황택성;차기식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1호
    • /
    • pp.1-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 및 폐타이어 칩(WTC)으로부터 얻은 폐석분을 충전제로 하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E)를 결합재로 하여 고분자 혼성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무기 충전제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 결합뿐만 아니라 매트릭스 내의 충전제의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gamma}$-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gamma}$-MPS)]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하였다. 혼성복합재의 구조적 특성과 기계적 물성에 대한 이 무기 재활용 충전제의 함량과 농도의 영향은 Mercury Porosimeter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탄소계 복합재와 내열 고무 경계면의 환경 노화에 따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the Carbon Composite /Insulation Rubber Interfaces)

  • 윤영주;박병열;박현목;정상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34-34
    • /
    • 1998
  • 일반 항공기 및 상용 복합 구조재의 경우에는 내부에 결함이 생길 경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나 복합재 압력 용기의 경우에는 다양한 환경 변화를 겪게 되며 또한 유지 및 보수가 힘들다는 제약 조건이 있으므로 단열재로 사용되는 인슈레이션 고무와 FRP간의 접착, 가황 고무와 미가황 고무 사이의 접착 등 여러 가지 이종 재질들 간의 접착이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될 뿐만 아니라 압력 용기의 전체적인 성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제작 조건에 따라 결함이 발생하는 빈도가 차이가 나며 특히 가혹한 환경 조건하에서도 내구성을 보여야 하므로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환경 조건, 성형 조건을 가지는 FRP/고무, 고무/고무 접착 시스템의 계면 접착력을 측정한 후 이로부터 환경 노화에 저항성이 강한 최적의 접착제 및 접착 조건 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