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혈

검색결과 1,127건 처리시간 0.023초

경혈식별을 위한 파라메터 추출 및 식별시스템의 설계 (Extraction of Parameters for Acupoint Discrimination and Design of discrimination system)

  • 이용흠;박창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89-101
    • /
    • 2001
  • 한의학에서 진단과 치료의 기본 대상인 경혈.경락의 혈위 식별을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방식은 직류를 인체 피부에 자극하여 저정항 양도점을 식별하고 있다. 그러나 직류를 인체에 인가하면 시간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는 현상이 있어서 반복 측정 시에 식별율 및 재현성이 감소되는 식별데이터의 신뢰성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세포에 분극현상을 일으켜서 인체의 생리적 상태에 영향을 준다. 또한 직류방식은 식별계측에 시간이 다소 길게 소요되며 전류감쇠현상으로 낮아진 측정 전류량을 얻기 위해서는 전극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그 전극누름 압력에 의한 통증을 유발시킨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류의 시간적 감소현상과 인체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혈자극 패턴의 최적 파라메터를 추출하고, 이를 적용한 SPAC(Single Power Alternative Current) 자극방식을 제안하였다. 이는 주파수를 1.28V의 4kHz로 결정하고, 듀티비가 40%인 구형파에 가까운 파형을 추출하였다. 또한 피부 상태에 관계없이 식별이 어려군 부위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피부 전류량의 절대값과 상대값을 레벨메터에 동시에 표시하고, 측정 전류량을 그래프로 연속 표시하여 식별에 유리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추출된 최적 파라메터와 알고리즘을 적용한 식별시스템을 구현하여 성능을 기존의 직류방식과 비교 검토한 결과, 식별율(경혈과 비경혈의 상대차)은 19.6%, 재현성은 15.1%, 인체영향력은 11.2%, 고전 경혈점과의 부합율은 18.4%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코카인 연구에 사용된 경혈에 대한 소고(小考) (A Short Reveiw on the Acupoints Used in Cocaine Studies)

  • 이봉효;임성철;김재수;이윤규;이현종;정태영;이상남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3호
    • /
    • pp.145-150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코카인 연구에 사용된 경혈을 고찰하고 그 효능을 경락학설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논문 검색 사이트 PubMed에서 50 개의 논문, KISS에서 16 개의 논문, OASIS에서 9 개의 논문, NDSL에서 40 개의 논문, DBPIA에서 19 개의 논문을 '코카인' 또는 '침'을 검색어로 하여 조사하였다. 영문로 작성된 코카인(남용, 의존, 민감화, 섭취, 금단 증상, 재발, 탐닉)에 관한 논문을 조사하였고 수기침이나 전침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침은 제외하였다. 결과 : 가장 많이 이용된 경혈은 신문(HT7)이었고 합곡(LI4), 태연(LU9), 족삼리(ST36), 삼음교(SP6) 등은 한 번씩 사용되었다. 신문은 수소음심경이 뇌의 기능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 및 혈명이 가지는 뜻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며 태연은 신문의 효능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합곡은 머리 꼭대기로 흐르는 궐음경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족삼리는 궐음과 관련된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이며 삼음교는 정신질환에 효능이 있으므로 뇌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 코카인 연구에 사용된 경혈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뇌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장부상통 이론이 일정 부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류마티스성 슬관절염(膝關節炎)의 침구치료(鍼灸治療)에 관한 문헌고찰 (Acupuncture Therapy Literature Study on the Knee Rheumatoid Arthritis)

  • 김무진;윤종화;김경호;이승덕;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91-201
    • /
    • 2005
  • 1. 역절풍(歷節風) 침구치료(鍼灸治療)에 사용된 경락(經絡)은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이 가장 많고,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수(手) 양명대장경(陽明大腸經)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음경(陰經)에 비해 양경(陽經)이 훨씬 많이 나타났다. 2. 역절풍(歷節風) 침구치료(鍼灸治療)에 사용된 경락별(經絡別) 경혈수(經穴數)는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이 가장 많고, 족궐음담경(足厥陰膽經),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역절풍(歷節風) 치료에 사용된 각 경락(經絡)별로 빈도수가 높은 경혈을 살펴보면 폐경(肺經)은 척택(尺澤), 심경(心經)은 소해(少海), 심포경(心包經)은 대릉(大陵), 각경(脚經)은 삼음교(三陰交)과 음릉천(陰陵泉), 신경(腎經)은 태계(太谿), 간경(肝經)은 슬관(膝關), 대장경(大腸經)은 곡지(曲池), 소장경(小腸經)은 후계(後谿), 삼초경(三焦經)은 천정(天井), 위경(胃經)은 족삼리(足三里), 방광경(膀胱經)은 위중(委中), 담경(膽經)은 환도(環跳)와 양릉천(陽陵泉), 임맥(任脈)은 관원(關元), 독맥(督脈)은 대추(大椎), 경외기혈(經外奇穴)에는 슬안(膝眼)의 사용빈도가 높았다. 4. 전체 경혈(經穴)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경혈(經穴)은 환도(環跳)와 양릉천(陽陵泉)으로 각각 37회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足三里(32), 곡지(曲池)(창)(漲), 위중(委中)(23), 절골(絶骨)(17), 양보(陽輔), 합곡(合谷)이 각 15회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다용(多用)된 경혈(經穴)들의 주치효능(主治效能)에 따라 거풍습(祛風濕)하며 청혈열(淸血熱) 화습담(化濕痰)등의 작용으로 경맥(經脈)을 소통시키고 기혈(氣血)을 조화시킴으로써 류마티스성(性) 슬관절(膝關節) 염을(炎) 치료할 수 있다.

  • PDF

혈류량과 통증역치에 대한 경혈과 전기자극치료의 융합연구 (Convergence of Acupoint and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for Blood Flow and Pain Threshold)

  • 이동현;김범룡;허윤정;김동훈;심수영;임종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9-87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경혈지점에 은침전기자극과 침형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여 혈류량과 통증 역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남녀 32명을 대상으로 SSP group (n=18), A-TENS group (n=14)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적용하였다. 혈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도플러 영상을 사용하였고, 통증 역치를 측정하기 위해 압통측정기를 사용하였다. 집단 내 혈류량의 변화는 두 그룹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압통 역치의 변화는 SSP group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중재 후 집단 간 혈류량과 압통 역치의 변화에서는 SSP group과 TENS group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과적으로 경혈지점에 SSP와 A-TENS을 적용한 결과 혈류량과 압통 역치의 변화가 있었으며, 특히 SSP을 경혈지점에 적용할 때 더욱 큰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혈과 전기자극치료의 융합이 다양한 환자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이 필요하다.

공최(LU6)를 활용한 치질치료의 근거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Evidence that Hemorrhoids Were Included in the Efficacy of LU6)

  • 조은별;김청수;남연경;권오상;양승범;김재효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8권4호
    • /
    • pp.235-249
    • /
    • 2021
  • Objectives : Acupoint LU6 (Gongchoe) is known as an acupoint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bleeding caused by hemorrhoi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acupoint LU6 for treating hemorrhoids. Methods : We searched both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using keywords "Gongchoe" and "hemorrhoids". We further performed an online ancient literature search for crosscheck. The searched literature was stratified by country (Korea, China, and Japan), and data were organized chronologically. Concerning literature related to hemorrhoids, data based on acupuncture treatment were compiled. Results : The bone proportional measurement of the forearm had been 12.5 cun until the Qing Dynasty but was recorded as 10 cun in "Shinkyushinzui," and the majority of modern Japanese and Korean literature indicated it as 10 cun. Gongchoe for treating hemorrhoids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including "Shinkyushinzui" (Japan, 1941), "Shiyoungzongguozhenjiujingxuexue" (Taiwan, 1963), "Gyeonghyeolhak" (Korea, 1971), and "Jinzhenmeihuashichao" (China, late Qing dynasty), but except "Jinzhenmeihuashichao", the location is different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tandard acupoint location as it is 7 cun from the wrist out of 10 cun of the forearm bone proportional measurement. In addition, classical guides published until the Qing Dynasty did not report acupoint LU6 for the treatment of hemorrhoids.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Gongchoe in "Shinkyushinzui" and LU6 in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Gongchoe (LU6)'s primary treatment for hemorrhoids has not been describe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further clinical evidence is needed to support it. When using Gongchoe for hemorrhoids, we should consider that the location of Gongchoe is closer to the LU5 than the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and it is meaningful not only for treatment but also for diagnosis.

모르핀 중독의 침 연구에 사용된 경혈(經穴)에 대한 소고(小考) (A Short Reveiw on the Acupoints Used in the Studies about Morphine Addiction)

  • 이봉효;임성철;김재수;이윤규;이현종;정태영;정현정;감철우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2호
    • /
    • pp.179-187
    • /
    • 2012
  • 목적 : 침 치료는 약물 중독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받은 이래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르핀 중독의 침 치료에 사용된 경혈 및 소속 경락에 대해 육경(六經)적인 관점에서 이를 해석하였다. 방법 : 미국 국립 의학도서관(PubMed)에서 "모르핀, 침"을 주제어로 하여 255개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한국학술정보(주)(KISS)에서 "모르핀"을 주제어로 하여 629개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영어로 기술된 논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모르핀에 대한 중독(남용, 의존, 민감화, 중독, 섭취, 금단 증상, 금단 증후군, 재발, 갈망)과 관련된 논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침 또는 전침을 사용한 논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침을 사용한 것은 제외하였다. 임상 연구와 실험 연구를 모두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모르핀의 침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경혈은 족삼리-삼음교(足三里-三陰交)(전침, 10회)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신문(神門)(5회)이었으며, 그밖에 합곡(合谷)(2회), 신유(腎兪)(1회), 내관(內關)(1회) 등의 경혈이 사용되었다. 족삼리(足三里)는 장부상통에 의해 심포경과 통하는 위경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 반응에 관계된 심포경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모르핀 중독 연구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음양이총혈의 하나인 삼음교(三陰交)는 정신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혈분을 다스리며 식욕을 조절하는 기능 또한 이러한 효능에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수소음심경의 원혈인 신문(神門)은 뇌와 관계된 소속 경맥의 기능 및 혈명으로부터 정신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양계(陽谿)는 양명경의 원혈로서 상통하는 궐음경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신유(腎兪)는 소속 경맥이 뇌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내관(內關)은 모르핀 중독에 수반되는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 모르핀 연구에 사용된 경혈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이에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Tc-99m ECD 뇌혈류 SPECT를 이용한 백회, 인중, 합곡, 족삼리, 삼음교에서 체침의 뇌혈류에 대한 효과 (Effect of Acupuncture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t Acupoints GV 20, GV. 26, LI. 4, ST. 36, SP. 6 Evaluated by Tc-99m ECD Brain SPECT)

  • 송호천;범희승;강화정;안수기;김성민;정환정;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56-464
    • /
    • 2000
  • 목적: 뇌졸중 등을 포함한 신경질환에 여러 경혈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작용기전은 아직 불분명하며, 경혈과 뇌혈류의 변화, 그리고 뇌영역 간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뇌졸중에 사용되는 경혈인 백회, 인중, 합곡, 족삼리과 삼음교에서 체침 자극시 뇌혈류의 변화 여부와 이에 따른 뇌영역의 차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한 정상 성인 54명(남:여=34:20, 연령분포 $18{\sim}6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혈에 따라 백회 6명, 인중 5명, 합곡 15명, 족삼리 16명, 그리고 삼음교는 6명에서 시행하였고, 대조군으로 이 중 6명에서 비경혈 부위를 자극하였다. Tc-99m ECD 925 MBq를 수사하고 5분 째 기저영상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촬영시작 8분 째 각 경혈에 체침을 놓은 상태로 검사 끝까지 43분간 유지시켰다. 첫 촬영이 끝난 직후 동일양의 Tc-99m ECD를 주사하고 5분후 동일한 방법으로 두 번째 촬영을 하였다. IBM 컴퓨터에서 PC용 MATLAB과 윈도우용 SPM'97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백회의 경우 양측 전두엽 앞쪽, 우측 측열구(sylvian fissure) 주위의 전두엽과 측두엽, 좌측 측두엽 앞쪽과 소뇌반구 일부에서 의의있는 뇌혈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인중의 경우 좌측 전전두엽에서 뇌혈류가 의의있게 증가하였고, 이에 인접한 우측 전두엽 일부에서 뇌혈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우측 합곡에서는 좌측 대뇌반구, 즉 좌측 전두엽 대부분, 측두엽 앞쪽 일부와 좌측 소뇌, 그리고 우측 전두엽 하방에서 의의있게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우측 족삼리의 경우 좌측 측두엽, 우측 전두엽 하방과 측두엽 일부, 좌측 소뇌에서 뇌혈류가 증가되었다. 우측 삼음교에서는 좌측 전두엽 하방과 측두엽 전면부, 그리고 촤측 소뇌 일부에서 의의있게 뇌혈류가 증가되었다. 비경혈부위에서는 의의있는 뇌혈류 증가는 없었다. 결론: 체침은 뇌혈류를 증가시키고, 각 경혈은 특정한 뇌영역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체침은 뇌졸중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하고, 효과적인 경혈을 선택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