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합조건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제초제(除草劑)의 사용법(使用법法) 개발(開發)을 위한 연구(硏究) - 제7보(弟7報) 맥후작(麥後作) 대두(大豆)(Glycine max L.)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수종제초제(數種除草劑)의 체계처리(體系處理)에 관한 연구(硏究)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VII. Weeding Effects in Systemic Use of Some Herbicides on Soybean(Glycine max L.) Cropped after Barley)

  • 구자옥;이관섭;김동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4-203
    • /
    • 1984
  • 남부지방(南部地方) 맥후작대두단포장(麥後作大豆團場)의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하여 발생전토양처리제(發生前處理土壤處理劑)인 Alachlor와 metribuzin, 발생후경엽처리제(發生後莖葉處理劑)인 Acifluorfen과 Bentazon의 4약제(藥劑)를 4조합(組合)의 체계처리(體系處理)로 공시(供試)하여 적용가능성(適用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시험(試驗)은 피와 바랭이가 우점(優占)하는 조건하(條件下)에서 수행(遂行)되었으며, 약제처리(藥劑處理)에 따른 작물약해(作物藥害)는 Metribuzin과 Acifluorfen에서 경미(輕微)한 정도(程度) 나타났으며 입묘(立苗) 및 생장(生長)에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各) 조합(組合)의 약제처리(藥劑處理)가 0.5~0.75kg/ha인 곳에서는 파종후(播種後) 60일(日)에 어느 체계(體系)에서도 만족스런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제초효과면(除草效果面)(60 DAS) 에서의 체계처리(體系處理)된 약제간(藥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Metribuzin보다 Alachlor 체계(體系)에서 뚜렷하였으며, 대체로 각(各) 약제(藥劑) 0.25~0.5kg/ha 범위(範圍)에서 협력적(協力的)인 효과(效果)를 나타내는 경향9傾向)이었다. 그러나 대두성숙기(大豆成熟期)의 작물생장량(作物生長量)과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로는 각(各) 약제(藥劑)의 0.75kg/ha 수준(水準)에서 처리효과(處理效果)가 향상(向上)되고 있었으며 Bentazon 보다는 Acifluorfen의 발생후경엽처리(發生後莖葉處理)에서 유의적(有意的)인 경향(傾向)이 있다. 이는 파종후(播種後) 60일(日) 이후(以後)의 토양잔유성제초효과(土壤殘留性除草效果) 및 이에 따른 잡초경합해(雜草競合害)의 차이(差異)에 따른 결과(結果)로 해석(解析)이 되었다.

  • PDF

배, 파인애플 및 키위로부터 추출 분리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단일 또는 혼합처리가 Actomyosin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ular Manner or Mixed Type Treatment of Proteases Isolated from Pear, Pineapple and Kiwifruit on Actomyosin Degradation)

  • 김은미;최일신;황성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199
    • /
    • 2003
  • 본 연구는 배, 파인애플, 키위로부터 획득한 단일 단백질 분해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 단백질분해효소의 pH 및 처리시간에 따른 계육의 actomyosin분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한 경우, pH 5.3, 7.0과 8.0 모두에서 가장 강한 분해능력을 나타내었으나, 배 및 키위 단백질분해효소의 actomyosin 분해 능력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pH에 따른 분해 능력의 조사 결과는 배, 파인애플 및 키위 단백질분해효소 모두pH 5.3에서 강한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pH 8.0에서는 파인애플을 제외한 배 및 키위 단백질분해효소는 약한 분해 반응을 보였다. 배 단백질분해효소와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를 1:1 (w/w)로 혼합하였을 때 pH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강한 분해를 나타낸 반면, 배와 키위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 또는 키위 와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의 경우, 배와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의 경우에 비해 분해 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pH 7.0에서는 키위 효소의 단백질 분해 활성은 배 단백질분해효소와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파인애플로부터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와는 경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배, 파인애플 및 키위 단백질 분해효소의 혼합효소로 처리한 경우pH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상적인 분해 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파인애플 및 파파야 등 열대 과일 유래의 단백질분해효소 단일로 처리할 때의 단점인 과잉분해의 문제점이 배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이용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희석에 의한 우유 중 $Aflatoxin\;M_1$의 효소면역측정법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Aflatoxin\;M_1$ in Cow's Milk without a Cleanup Procedure)

  • 손동화;임선희;이인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84-1187
    • /
    • 1996
  • 우유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발암성 진균독소의 하나인 $aflatoxin{\;}M_1{\;}(AFM_1)$을 신속,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소혈청알부민에 공유결합한 $AFM_1\;(AFM_1-BSA)$을 토끼에 면역하여 항체를 생산하고 정제하였다. 이 항체의 유사독소와의 교차반응율은 29.9%이하의 비교적 낮은 교차율을 나타냈다. $AFM_1$의 검출을 위하여 확립한 직접경합ELISA (cdELISA)로 우유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AFM_1$을 정제과정없이 ELISA로 분석하는 경우, 우유를 PBS로 40%되게(2:3) 희석하였을 때 양호한 회수율을 보였다. 이 조건하에서 행한 ELISA의 $AFM_1$분석 회수율은 0.3-3.0 ng/ml의 오염농도 범위에서 농도별 회수율로 평균 113%, 그 분산은 8.2%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ELISA system은 우유 중의 0.5 ppb이상의 $AFM_1$을 정제과정없이 손쉽게 분석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식품 중 대두단백질의 정량분석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Quantitation of Soy Proteins in Food)

  • 손동화;김현정;음병욱;김수호;김순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91-996
    • /
    • 2000
  • 식품 중 대두단백질의 분석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주 구성 성분이며 열에 안정한 glycinin의 acidic subunits(AS)에 대한 특이항체를 생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간접경합 ELISA(ciELISA)를 확립하였다. 시료처리조건은 urea와 DTT로 처리함으로써 용해시킨 다음 $10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하였고 cystine을 함유한 용액으로 재생시켰다. 이러한 시료의 처리조건하에서 ISP를 $60-90^{\circ}C$까지 열처리한 시료에 대해서도 분석결과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곡선 상에서 ISP의 검출한계는 0.3 ${\mu}g/mL$이었다. 항AS 항체의 다른 단백질에 대한 반응성을 검토한 결과, 탈지분유, 카제인, 난백분말, ovalbumin에서 0.1%이하로 미약하게 반응하거나 거의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SP를 0.5-2%첨가한 탈지분유에 대한 ISP 분석 회수율은 평균 76%(C.V., 11.5%)였으며 ISP를 0.5-3% 첨가하여 시험 제조한 소세지의 경우 평균 83%(C.V., 19%)로 나타났고 시판 소세지 6점에 함유된 ISP의 함량은 평균 1.27%로 나타났다.

  • PDF

도급계약에서 하자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의 조화와 중용 - 대법원 2020.6.11. 선고 2020다201156판결에 대한 고찰 - (The Harmony and Moderation of Between Defect Liability and Default Liability in the Construction Contract)

  • 안상효;신만중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65-75
    • /
    • 2022
  • 2020년 6월 11일 대법원은 대상 사건에 대해 계약특수조건에서 정한 하자보수 보증기간이 지났다고 하더라도 원고가 피고에게 불완전이행으로 인한 채무불이행책임을 주장할 수 있다는 원심의 판단을 정당하다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민법학에서 하자담보책임에 대한 제척기간과 채무불이행책임에 대한 소멸시효의 경합이 인정되고, 제척기간과 소멸시효는 법리상 각각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둘은 상호 연관 관계에 있음을 전제로 조화롭게 중용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대상 판결이 일반화될 경우 도급계약에서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약정은 더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다. 본 연구는 하자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에 대한 일반론 및 선행판례 연구를 통해 대상 판결을 고찰하고, 대상 판결이 일반화될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점 도출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모델을 바탕으로 실무적 개선방안으로 도급계약 약정상 하자담보책임기간의 현실화하고 그 성격의 규정을 명문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헤테로토피아로 본 영화 <창>의 공간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ovie Viewed as a Heterotopia)

  • 태지호;김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81-191
    • /
    • 2021
  • 본 연구는 1997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 <창>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화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포함하여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당대의 현실 및 외재적 상황을 파악하게 해주는 영화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공간 개념을 활용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당대의 성격을 규정하면서, 우리 삶을 둘러싼 자본과 권력, 제도와 규범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가시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본 연구는 우선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그 함의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영화 <창>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로 논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영화 <창>의 공간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저항 불가능성의 헤테로토피아, 경계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영화의 대사, 장면, 편집 등과 같은 영화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병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영화 <창>에 드러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 <창>에서의 여성들은 수동적으로 재현되며, 헤테로토피아의 경계를 부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화 <창>은 역사와 기억을 동시에 재현하고 있으며, 그 경합의 장으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제시하고 있었다.

Orchardgra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붕소의 시용이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효과 1.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 및 근류 등의 특성 변화 (Effects of Boron Application on the Forage Traits in the Pure and Mixed Sward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 Changes in the growth, flowers, roots, and nodules of forage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1-90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붕소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근류 형성, 수량, 양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및 다른 미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시비량을 달리한 시비처리를 하였다. 붕소 처리수준은 1) $B_{0}$; 0.0, 2) $B_1$; 0.2, 3) $B_2$;2.0, 4) $B_3$;6.0, 5) $B_3$;6.0, 5)$ B_4$;15.0me B/pot로 하였으며, 본 I보에서는 붕소 처리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 및 근류의 형성, 수분관리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White clover에서 붕소의 과다증상($B_3$$B_4$ 처리구)은 예취 차수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서 경감되었고, 전반기 예취기에는 orchardgrass보다 더 심한 과다증상을 보였다. 그리고 단파보다도 혼파재부에서 과다증상이 더 심했다. 각 초종별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는 공히 붕소의 과다증상이 경감되었다. 2. Orchardgrass에서 붕소의 과다증상은 잎의 선단 부위에 황화현상, 좁은 엽폭, 적은 분얼 및 약한 줄기를 보였으며, white clover는 고엽부터 엽변의 황화현상과 백화현상, 적은 분얼수 및 포복경을 생성하는 얼자의 미 형성이 관측되었다. 3. 적합한 붕소시비($B_2$)는 white clover의 뿌리생육, 근류 형성, 개화 및 화아가 양호하였고, 꽃의 생성기간이 길었으며 만개시기가 빨랐다. 그러나 혼파재배에서는 orchardgrass에 의한 억압된 생육 때문에 이 효과가 경감되었다. 4. 붕소의 시비효과는 orchardgrass보다 white clover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혼파재배에서 white clover는 추비가 시비되지 않은 5차 예취시에는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이는 뿌리 및 근류의 형성이 더 양호한 특성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적합한 추비(특히 질소) 및 붕소의 시비는 양호한 식생을 갖는 grass-clover 혼파초지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붕소의 시용이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영향. III. 목초 중 질소화합물(조/순단백질 및 수용성 질소화합물)의 함량 및 수량 변화 (Effects of Boron Application on the Forage Traits in the Pure and Mixed Culture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II. Changes in the contents and yields of N-compounds(crude/pure protein and soluble N-compounds) in forage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9-178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영양성분/무기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양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B_{0}$ ; 0.0, 2) $B_1$; 0.2, 3) $B_2$; 2.0. 4) $B_3$; 6.0, 5) B$_4$;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목초 중 질소화합물(조/순단백질 및 수용성 N-화합물)의 함량 및 이들의 수량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단파재배에서 white clover는 무추비시 $B_{0}$$B_4$ 처리구는 함량 감소와 N-결핍증상을 보였다. 이에 비해서 $B_2$ 처리구는 이들의 함량이 양호하였으며 추비(특히 N)시보다 순단백질 함량이 더 높았고 이에 따라서 순단백질/수용성 질소화합물의 함량비도 높았다. 추비(특히 N)시에는 B-처리별 조/순단백질의 함량차이가 상대적으로 경미하였다. 2. 혼파재배에서는 추비(특히 N)로 인한 white clover 생육의 열세로 단파재배의 경우와는 다소 다른 B 시비효과를 보였으며, 조/순단백질 함량이 단파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적합한 B 시비($B_2$)의 시비효과는 단파재배시와 같이 양호하였다. orchardgrass에 대한 붕소의 시용효과는 단파 및 혼파재배 공히 $B_2$, 처리구가 순단백질의 함량 제고에 다소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나 white clover보다 상대적으로 경미하였다. 3. 적합한 B 시비($B_2$)는 white clover의 건물 수량에 미치는 효과보다 조/순단백질의 수량에 미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N-화합물의 함량과 이들의 수량에 미치는 붕소의 시비효과는 초종, 단파와 혼파재배, 그러고 추비의 시비조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붕소의 시용이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영향 - IV. 목초 중 미량요소(Fe, Mn, Cu, Zn과 B)의 함량 변화 - (Effects of Boron Application on the Forage Traits in the Pure and Mixed Culture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 IV. Changes in the contents of micronutrients(Fe, Mn, Zn, Cu, and B) in forages -)

  • Jung, Yeun-Kyu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9-186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량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B_{0}$ ; 0.0, 2) $B_1$; 0.2, 3) $B_2$; 2.0. 4) $B_3$; 6.0, 5) $B_4$;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pot시험으로 수행하였다. I보(생육상), II보(수량성), III보(조단백질)에 이어서 본 IV보에서는 목초 중미량요소(Fe, Mn, Cu, Zn 및 B)의 함량 및 이들의 충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예취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서 두 목초 중 B-함량이 공히 낮아졌고, B 시비수준간 차이도 줄어들었다. white clover에서 B-함량이 B$_{0}$ 처리구는 B$_2$ 처리구 보다 약간 낮았지만 수량성은 큰 차이를 보였고, 이는 $B_{0}$ 처리구의 잠복성 붕소결핍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이에 비해서 orchardgrass는 상대적으로 더 큰 차이와 예취 후반기에 크게 낮아졌지만 수량차이는 미약하였다. 2. 일반적으로 목초 중 Fe, Mn, Cu 및 Zn의 함량은 우선 초종, 단파/혼파재배 및 다양요소추비의 시비 여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B 시비수준별 이들의 함량 변화는 미량요소의 종류와 상기 조건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3. white clover 중 Fe-함량은 적정 B 처리구 ($B_2$)에 비해서 $B_{0}$$B_4$처리구에서는 낮았다. 이는 $B_{0}$$B_4$ 처리구에서 뿌리발육의 저해/수량감소 특성과 연관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orchardgrass는 일관성을 보이지 안 했다. 두 목초 중 Mn, Cu 및 Zn의 함량에 미치는 붕소시비의 영향은 일관성을 보이지 안 했다. 4. 붕소 시용수준이 미량요소 양이온 총 농도((Fe+Mn+Cu+Zn)에 미치는 효과는 미약하였다. 일반적으로 충 농도의 변화는 Mn과 Zn의 함량에 밀접한 영향을 받았고, 반면에 Fe과 Cu의 함량은 경미한 영향을 보였다. white clover 중총 농도는 혼파보다 단파재배에서 더 높았다.

숙기에 따른 찰옥수수 및 초당옥수수의 주요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Major Quality Characters during Grain Filling in Waxy Corn and Super Sweet Corn)

  • 김선림;박승의;차선우;서종호;정태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3-78
    • /
    • 1994
  • 풋옥수수로 이용되는 찰옥수수 및 초당옥수수의 품질에 관련된 각종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신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삭의 발달은 출사 22-24일을 전후로 그 길이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실의 발달에 있어 초당옥수수는 길이가 찰옥수수는 두께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2. 출사후 종실의 수분함량은 찰옥수수가 초당옥수수에 비해 급격히 감소되었고 종실의 경도 및 식미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3. 종피의 두께는 출사 24일 이후 초당옥수수의 변화는 작았으나 찰옥수수는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며 종실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4. 가용성 고형물은 찰옥수수의 총당함량과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초당옥수수는 유의성이없었고 식미와도 관련이 적어 맛의 평가기준에 부적합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종실의 경도는 찰옥수수의 경우 식미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요인으로서 생육후기로 갈수록 급격한 증가를 보였던 반면 초당옥수수는 변화가 미미하였으며 총당 및 가용성 고형물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6. Glucose 및 Fructose는 초당옥수수 및 찰옥수수 모두 생육초기에 높았고 식미 및 Sucrose함량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초당옥수수는 출사 28일(11.8%) 이후 감소되었으나, 찰옥수수는 출사 24일(3.3%) 이후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7. 찰옥수수는 종실의 경도가 초당옥수수는 당의 함량이 좌우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당옥수수는 출사후 26∼30일에, 찰옥수수는 출사 28일 이후의 것이 높은 식미반응을 보였다..6%가 저하되었으며 모든 경우 유의하게 선발효과가 있었다.에 좋은 특성을 가진 품종으로 생각된다. 8. 각 품종내 피의 생육은 경수외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대체로 파종후 35일까지는 벼 품종들과 피와의 경합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TEX>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다.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로 빠른 시일에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다. 4. 저온저장(4$^{\circ}C$,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_x$는 $Co_3O_4$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_3O_4$의 외부표면이 $Co_2TiO_4$$CoTiO_3$ 같은 $CoTiO_x$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