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주 지진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4초

강재 재료 불확실성을 고려한 I형 곡선 거더 교량의 경주 지진 기반 지진 취약도 분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based on Material Uncertainties of I-Shape Curved Steel Girder Bridge under Gyeongju Earthquake)

  • 전준태;주부석;손호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47-754
    • /
    • 2021
  • 연구목적: 곡선 교량은 기하하적 특성으로 직선교량에 비해 복잡한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지진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곡선 거더를 갖는 교량의 강재 재료 특성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지진 취약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I형 곡선 거더를 갖는 교량의 유한요소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강재 특성의 통계적 매개변수를 이용하였다. 라틴 하이퍼큐브 기법을 이용하여 100개의 강재 재료 모델을 샘플링하였다. 경주지진의 지반가속도를 0.2g, 0.5g, 0.8g, 1.2g, 1.5g로 scale을 변화시켜 지진 취약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곡선거더의 지진 취약도 평가결과 한계상태가 190MPa일 때 0.03g 파괴가 시작되었으며 한계상태가 315MPa일 때 0.11g를 초과하면서 파괴가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재료 불확실성을 고려한 지진 취약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지진파의 불확실성과 재료의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한 지진 취약도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한 지진 대응기술의 보급 및 실용성 제고 방안 연구 (A Study on Dissemination of Earthquake Response Technology and Improvement of Practicality through User Demand Surveys)

  • 최선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33-46
    • /
    • 2021
  • 대한민국 지진관측 사상 최대인 규모 5.8 지진이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하였고, 두 번째로 큰 규모 5.4의 지진이 포항에서 연이어 발생하였다. 정부나 지자체는 그간 경험하지 못했던 지진이 발생하자 긴급 재난 문자 발송, 대응 정보 전달 등의 지진 대응 업무에 대한 문제들이 노출됐고, 현장에 있는 국민은 적절한 정보를 전달받지 못해 대응 과정에서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진 발생 직후 국민에게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는 지진 대응 서비스가 필요하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 상황 및 장소에 따라 맞춤형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는 모델인 지진동 경보기 기반 지진 안심서비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진 발생 직후, 현장에 있는 국민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원활하게 대응하도록 도와주는 지진동 경보기와 이를 활용한 지진 안심서비스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이 기술에 대한 사용자 수요와 의견을 조사·분석하여, 기술보급과 실용성을 높이기 위한 향후 R&D 방향과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국외 대규모 지진과 최근 발생한 국내지진에 의한 이온층 총 전자수 변화 (Changes of Ionospheric Total Electron Content Caused by Large-scale Earthquakes and Recent Earthquakes Occurr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김병훈;서기원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4호
    • /
    • pp.228-235
    • /
    • 2016
  • 대규모 지진 전/후에 이온층에서 발생하는 총 전자수(TEC)의 이상 변화를 재 확인하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발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먼저 최근 지진관련 이온층 변화가 보고되었던 국외 대규모 지진들과, 근래에 발생한 규모 7.8 에콰도르 강진에 대해 TEC를 계산하고, 지진 발생 전 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TEC 계산 결과, 선행 연구들과 유사한 TEC 변화 시계열을 얻을 수 있었으나, 시계열들이 후처리되는 방법에 따라 전조현상 또는 후지진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들에 대하여 지진에 의한 TEC 변화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나, 2016년 경주지진을 포함한 가장 높은 규모의 국내지진들과 관련하여 지진 전/후에 TEC의 이상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국외의 대규모 지진들에 비해, 국내 지진이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탄성파(음파) 에너지가 작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포항 지진의 진원 깊이 연구 (A Study of Hypocentral Depth of Pohang Earthquake)

  • 정태웅;이영민;모하메드 자파르;정진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2호
    • /
    • pp.125-131
    • /
    • 2018
  •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진(규모 5.4)은 깊이효과로 경주지진(규모 5.8) 보다 피해가 더 컸으나, 정확한 깊이가 확증되지 않고 있다. 진원 깊이를 진원재결정을 통하여 역산한 결과, 대부분의 모델의 진원 깊이가 얕은 표층으로 도출된 반면, 지각구조가 가장 근접한 모델은 6.0 ~ 11.5 km 구간의 깊이로 산출되었다. 지온분석에서는 7.5 km 근방에서 $300^{\circ}C$의 온도가 관찰되어 지진유발층의 사례에 입각한 포항지진의 진원은 근접한 모델로 얻어진 7 km 근방인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기상청 지진 자료를 이용한 내진설계 지진규모의 신뢰구간 추정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of the Earthquake Magnitude for Seismic Design using the KMA Earthquake Data)

  • 조홍연;이기섭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62-66
    • /
    • 2017
  • 최근 발생한 기록적인 5.8 규모의 경주지진으로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규모에 대한 관심과 해안구조물에 대한 내진 설계검토에 대한 요구가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진규모 자료(규모 3.5, 4.0 이상의 자료)를 이용하여 비모수적인 극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지진규모와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 지진규모 4.0 이상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재현기간 50, 100년에 해당하는 지진규모는 각각 5.81, 5.94, 추정 지진규모의 90% 신뢰구간은 각각 5.52-6.11, 5.62-6.29 범위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지진규모는 공간적인 지진위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규모를 극치해석과 가용한 자료의 한정된 기간을 반영하여 신뢰구간을 추정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연안 구조물의 설계 관점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초점 - 원자력연구원 하나로 건물 내진 보강 공사 현황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37권1호
    • /
    • pp.7-14
    • /
    • 2017
  • 작년 경주 지진으로 원자력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촉각이 예민해져 있는 가운데 최근 대전 지역에서 원자력연구원의 하나로 원자로 건물 외벽 내진 보강 공사 방식에 대한 검증을 요구하는 여론이 일고 있다. 그 동안 원자력연구원에서 진행한 하나로 건물 내진 보강 공사 배경과 주요 일정, 설계 개념, 구조 성능 검증 실험, 공사 현황, 건물 성능 점검, 안전 관리, 정보 공개 및 검증, 향후 계획 등을 정리하여 종합했다.

  • PDF

지진재난 대비를 위한 건축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A Study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Building Industry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

  • 한동호;김종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307-314
    • /
    • 2018
  • 2016, 2017년 연속으로 발생한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으로 인해 한국사회가 더 이상 지진에 대해 안전하지 않다는 점이 명백해졌다. 불행히도 한국의 건축 산업은 이제까지 지진에 대한 대비가 매우 미흡하여 많은 건물이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내진성능 확보 비율이 낮다. 둘째, 지진과 화재에 매우 취약한 필로티 구조 건물의 비중이 최근에 매우 높아졌다. 셋째, 안전성 확보를 위한 건축법 적용에서 제외되는 소규모 건축물의 비중이 너무 높다. 넷째, 관행화된 부패와 부실시공이 안전성을 저해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지진재난 대비를 위한 조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진에 취약한 건축물의 부족한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구조체를 보강하는 방법과 건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을 경감시키는 방법을 활용한다. 둘째, 부패로 인한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고발자를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보호한다. 이를 위해 내부고발자를 조직에 대한 배신자가 아니라 안전이라는 공익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 수단으로 인식해야 한다.

경주 지역의 지반공학적 지진 민감도 분석 (Analysis of geotechnical Seismic Sensitivity in Kyeongju)

  • 선창국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130-140
    • /
    • 2000
  • The earthquake hazard has been evaluated for 10km by 10km area around Kyeongju which is located near Yangsan fault and has abundant historical earthquake records. The ground motion potentials were determined based on equivalent linear analysis b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and the El centro eartqhuake record scaled to CLE and OLE of the region. The in situ tests include 9 boring investigations 2 crosshole 7 downhole 13 SASW tests and in the laboratory X-ray diffraction analyses and resonant column tests were performed. The peak ground accelerations range between 0.140g and 0.286g on CLE and between 0.051g and 0.116g on OLE respectively showing the good potential of amplification in the deep alluvial layer which is common in Kyeongju area. the response spectrum based on the Korea design guide was sometimes underestimate the motion. particularly near the natural period of the site and the importance of site-specific analysis and need for the improved site categorization method were introduced.

  • PDF

1999년 6월 2일 경주 지진의 스펙트럼 특성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June 2, 1999 Kyeongju Earthquake)

  • 신진수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 /
    • pp.37-44
    • /
    • 1999
  • Spectral characteristic of Kyeongju earthquake occurred on the June 2, 1999 with magnitude 3,4 is analyzed. It is guessed that the stress energy release of source within relatively short period caused the ground near the epicenter to vibrate with large amplitude for the magnitude and predominantly high frequency. The cumulative absolute velocity and average spectrum acceleration are 0.034 gsec and 0.118g, respectively lower than threshold values of potential earthquake damag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investigation of damage in field. The analysis of the acceleration records of Kyeongju earthquake shows the need to develop the ration criterion for the determining the operating basis earthquake of nuclear power pl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