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사사진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9초

위험 경사면의 변위 검출을 위한 지상 라이다의 활용 (Application of Terrestrial LiDAR for Displacement Detecting on Risk Slope)

  • 이근왕;박준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23-328
    • /
    • 2019
  • 기존에는 지형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주로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현황측량, 원격탐사,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법이 주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토털스테이션이나 GNSS는 대상지에 접근과 많은 관측을 요구하기 때문에 작업효율과 경제성이 떨어지며,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영상은 지형의 3차원 형상을 취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지상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측정 대상물에 무수히 많은 레이저를 주사하여 X, Y, Z 좌표와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자료처리의 자동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사면의 변위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사면 3개소를 선정하고, 2016년과 2017년에 대상 사면에 대한 자료를 취득하였으며, 자료 처리를 통해 경사면의 형상과 단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의 중첩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면의 변위가 0.1m 이내임을 파악함으로써, 위험사면의 관리를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주기적인 데이터 취득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지상 LiDAR를 이용한 방법은 효과적인 위험사면 관리에 기여할 것이다.

교정치료후 부정위치된 제2대구치의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ECOND MOLAR WHICH WAS MALPOSITIONE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윤용선;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10
    • /
    • 1995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시 제2대구치의 위치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제1대구치까지 banding하여 교정치료를 완료한 성인환자 64명을 Class I 발치군 15명, Class I 비발치군 12명, Class II 13명, Class III 14명으로 4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치료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lass I 발치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보다 적은 정출과 더 많은 원심경사를 보였고,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와 유사한 정출과 근심경사를 보였다. 2. Class I 발치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에 비해 함입되고 유사한 원심경사를 보였으며,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와 비슷하게 정출되었다. 3. Class II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에 비해 적은 정출을 보였고,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보다 많은 정출을 보였다. 4. Class III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와 유사한 정출과 더 많은 원심경사를 보였으며,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에 비해 적은 정출을 보였다. 5. 제2대구치 위치변화에 대한 각 군간의 비교시 FH plane에서 상악 제2대구치 치근 분기점까지 거리 변화는 Class I 발치군과 Class II, Class I 발치군과 Class III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구개평면과 교합평면에 대한 상악 제2대구치의 각도 변화는 Class I 발치군과 Class III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평면에 하악 제2대구치 치근분기점까지 거리변화는 Class I 발치군과 비발치군, Class I 비발치군과 Class II군, Class I 비발치군과 Class III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평면과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 제2대구치의 각도 변화는 각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구획별 교합면 기준선에 대한 치아근원심경사 (Mesiodistal tooth angulation to segmental occlusal plane in panoramic radiography)

  • 김재덕;김진수;유충현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5권1호
    • /
    • pp.25-31
    • /
    • 2005
  • Purpose :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segmental occlusal plane and anatomical line as the reference line for measuring the mesiodistal tooth angulation in panoramic radiography and to determine the mean angle and the range of the mesiodistal tooth angulation in Korean population with normal occlusions.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nine subjects (15 men, 14 women) with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A total of 29 panoramic radiograms were taken at normal head position and then 10 images of 5 subjects selected were repeatedly taken with repositioning 2 times at each of the head down (V-shaped occlusion) and up (horizontal occlusion) for evaluation of stability of adopted reference lines by using PM2002CC (Planmeca, Finland). The images were traced with adoption of two test reference lines and the long axes of the teeth. The mesial angles formed by each reference line and the long axes of the teeth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 With anatomical reference line, the mesiodistal tooth angulations of the molar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y over 5 degree between the normal and each changed head position. With segmented occlusal reference line, deviations of mesiodistal tooth angulations by the two changed head positions were less than 1 degree. The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siodistal tooth angulations to segmental occlusal reference line on panoramic radiography were determined. Conclusion : It would appear that mesiodistal tooth angulations to segmental occlusal plane as reference line in panograms are predictable as standards of normal occlusion and useful for evaluation of tooth arrangement between adjacent teeth.

  • PDF

3D 파노라마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한 지질 답사 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using 3D Panorama Virtual Reality Technique)

  • 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80-19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부안군 채석강 지역에 대한 3D파노라마 가상 현실 지질 답사 투어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360^{\circ}{\times}180^{\circ}$ 파노라마로서 관측 지점의 모든 면을 볼 수 있고, 확대, 축소, 화면 돌리기 등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 컴파스 활용하기, 지층의 경사 등을 측정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각도기 제공, 관찰 지점의 표본에 대한 3D 관찰하기 등을 제공하였다. 또 주요 관찰 포인트에는 확대된 사진, 팝업창, 전문가 설명 등으로 학습을 도왔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교 과학 영재반 학생 35명에게 적용해본 결과 약 85% 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중학교 과학과 지질학 수업 시 간접적 상황학습이 될 수 있고, 시간문제, 비용문제, 안전문제 등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보충적인 지질 답사 방법이 될 것이다.

지적정보 서비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for Cadastre Information Service)

  • 이근상;김형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지적업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적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반 지적정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BlackPoint-Xr을 공간 클라이언트 엔진으로 선정하였다. 모바일 지적정보 시스템은 항공사진, 지적도, 행정구역도, DEM 등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GPS를 통한 위치 찾기, 주소와 지번을 통한 필지 검색 그리고 필지에 대한 주소, 지목, 공시지가 등의 토지대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나 토지정비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해 필지에 대한 거리, 면적, 경사 그리고 횡단면도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현장에서 다양한 지적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해 줌으로서 지적업무와 건설공사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고 디지털 지적정보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andom Walk Model을 활용한 우면산 토석류 거동 분석 (Umyeon Mountain Debris Flow Movement Analysis Using Random Walk Model)

  • 김기홍;원상연;모세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15-525
    • /
    • 2014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태풍의 증가로 산사태 및 토석류와 같은 산지토사재해가 급증하고 있다. 산지토사재해는 자연사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를 말한다. 넓은 지역에 대하여 토석류 피해범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기반의 수치해석보다는 Random Walk Model과 같은 응답모델이 적절하다. Random Walk Model은 계산방법이 간단하고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토석류의 유동 및 퇴적 특성을 경사도의 인자로 단순화한 확률 모델이다. Random Walk Model을 이용하여 토석류 피해범위 예측을 할 수 있지만 이 모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형조건에 맞는 초기 입력변수가 결정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한 서울시 우면산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자료와 항공사진, 항공라이다 자료로부터 생성된 토석류 발생 전 후 수치표고모형의 육안판독을 통해 토석류 발생부와 퇴적부를 추출하여 Random Walk Model의 최적 변수를 산정하였다.

고속탄자 유동의 가시화 실험 및 비정렬격자 계산 (Flow Visualization and Unstructured Grid Computation of Flow over a High-Speed Projectile)

  • 이상길;최서원;강준구;임홍규;백영호;김두연;강호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2-20
    • /
    • 1998
  • Exter ballistics of a typical high-speed projectile is studied through a flow-visualization experiment and an unstructured grid Navier-Srokes computation. Experiment produced a schlieren photograph that adequately show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is complex flow, namely two kinds of oblique cone shocks and turbulent wake developing into the downstream. A hybrid scheme of finite volume-element method is used to simulate the compressible Reynolds-Averaged Navier-Stok- es solution on unstructured grids. Osher's approximate Riemann solver is used to discretize the cinvection term. Higher-order spatial accuracy is obtained by MUSCL extension and van Albada ty- pe flux limiter is used to stabilize the numerical oscillation near the solution discontinuity. Accurate Gakerkin method is used to discretize the viscous term. Explict fourth-order Runge-Kutta method is used for the time-stepping, which simplifies the application of MUSCL extension. A two-layer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turbulent wakes accurately. Axisymmetric folw and two-dimensional flow with an angle of attack have been computed. Grid-dependency is also checked by carrying out the computation with doubled meshes. 2-D calculation shows that effect of angle of attack on the flow field is negligible. Axi-symmetric results of the computation agrees well with the flow visualization. Primary oblique shock is represented within 2-3 meshes in numerical results, and the varicose mode of the vortex shedding is clearly captured in the turbulent wake region.

  • PDF

도화원도의 활용방안 (A Application Method of Plotting Original Data)

  • 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41-448
    • /
    • 2011
  • 최근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도화가 보편화 되었으며 이로 인해 지표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하고 있다. 도화원도는 도화사가 지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작한 신뢰 있는 3차원 데이터이며 등고선과 표고점 이외에도 지형지물에 대해 3차원 좌표를 가지고 있는 점, 선으로 표현되었을 뿐 아니라 레이어로 분류되어 활용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도화원도를 이용해 정밀하고 정확한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치지형도에서 등고선과 표고점 레이어를 추출하였고 도화원도에서 Break Line을 추출하여 각각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이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해 주거지, 산지, 농경지, 제방 등 경사가 완만하거나 복잡한 지형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최적의 수치표모델이 제작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레이어를 삭제하면서 Break Line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도화원도에서 등고선과 표고점 레이어를 비롯해 8개의 도로 레이어 및 2개의 경계 레이어를 Break Line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더욱 정밀한 수치표고모델을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교차하거나 접하는 Break Line을 편집하여 복잡하고 변위가 급격한 지형에서 수치표고모델의 왜곡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해평취수장 부근에서 충적하천의 저수로 이동 특성 (Lateral Migration Features of the Alluvial Channels in Hapyeong Intake Station, Nakdong River)

  • 장창래;이광만;김계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4호
    • /
    • pp.395-404
    • /
    • 2008
  • 충적하천의 복잡하고 다양한 이동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하천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저수로의 이동 및 하상저하로 인하여 취수문제가 있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해평취수장 주변에 대하여 항공사진 분석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하천의 지형변화, 저수로의 이동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저수로는 좌안에서 우안으로 이동해 가고 있으며, 저수로는 강턱유량에 대하여 복렬사주가 발달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폭이 넓고 수심이 얕은 곳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저수로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저수로의 사행도가 감소하면서 저수로 폭이 증가하는 것은 제한된 범위 안에서 저수로의 분류와 합류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의 증가에 따라 저수로 하폭의 증가율과 측방향 이동율은 감소하고 있다. 강턱유량을 이용하여 중규모 영역구분을 수행한 결과, 복렬사주가 발달하는 하천의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모래하천으로서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으로 판단되었다.

기능성 및 골격성 전치부 반대교합 환자의 형태학적 차이점에 관한 연구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functional and skeletal anterior cross-bite patients)

  • 유임학;김태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9-445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및 골격성 전치부 반대교합 환자에 대한 형태학적 차이점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치부의 기능성 반대교합을 보이는 28증례와 골격성 반대교합을 보이는 31증례를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삼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9.6{\pm}1.8$세와$9.9{\pm}1.9$세이었다.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두 군간의 형태학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49개 항목에 대한 계측 및 통계학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계측항목 중 cranial deflection, maxillary depth, ANB, convexity, NPo-AB, APDI, Mx 1-SN, Mx 1-NA angle, Mx 1-NA, Md 1-NB angle and Md 1-NB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 실험군에서는 Class III로의 성장 가능성, 상악골의 전방위치, 상하악골간의 전후방적 부조화 감소, 상악 중절치의 후퇴, 직립 및 하악 중절치의 전돌, 순측경사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