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량 기포 콘크리트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5초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개량분체의 Mock-up 실험평가 (Mock-up Test of Improved Concrete Binders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 최성용;정광복;김기철;김성수;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853-856
    • /
    • 2008
  •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건축물 방바닥의 단열, 차음 및 높이차 조정 등의 목적으로 아파트 건설공사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소포에 의한 체적감소, 과다한 균열 발생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혼화재들을 첨가하여 특수한 특성을 가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개량분체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기포율 저감 및 균열방생등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개발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실무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실구체로 상정한 모의부재를 제작 후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들의 제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는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종 재료가 혼입된 개량분체인 플레인은 약 230mm의 플로우치를 보여 목표 플로우치를 만족하였고, 100mm부재에서 약 4mm의 침하가 일어나 OPC에 비하여 약 2배의 침하깊이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강도면에서는 OPC가 가장 높은 강도로 나타났으나, 세 수준 모두 KS기준 0.5품의 규정치를 상회하는 강도이었다. 건조수축 균열에 대한 부재균열 분석으로써 플레인은 약 0.1mm정도로 건조수축 균열에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량골재기포콘크리트에서의 메타카올린 강도 증가 효과 (Effect of Metakaolin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ellular Concrete)

  • 황은아;이행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89-490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구조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에 요구되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의 단계로 메타카올린 치환에 따른 경량골재기포콘크리트의 강도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카올린을 중량비 0%, 5%, 10%, 15%, 20% 로 치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하이볼륨 혼화재 경량기포혼합토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공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Flow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High-Volume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Lightweight Foam-Soil Concrete)

  • 심상우;양근혁;이경호;윤인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47-2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항만매립 및 지하매설물 뒷채움재로 사용할 수 있는 혼화재를 다량 치환한 경량기포혼합토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 콘크리트의 지속가능성, 유동성 및 압축강도 발현을 고려하여 선택한 결합재는 20%의 보통보틀랜트시멘트와 15%의 플라이 애쉬 65%의 고로슬래그이다. 목표 압축강도 1 MPa와 절건밀도 1,000kg/m3을 고려하여 선택한 주요 실험변수로서 단위 고체량 (준설토와 결합재)은 900kg/m3에서 1,807kg/m3까지 증가하였고, 준설토-결합재비 는 3.0, 5.0 및 7.0이었다. 실험결과 혼화재를 다량 치환한 경량기포혼합토 콘크리트의 플로우와 준설토와 결합재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준설토와 결합재량이 증가하면 증가하는 반면, 준설토-결합재비가 증가하면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경량기포혼합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밀도와 준설토-결합재 비의 함수로 제시될 수 있었다.

Composite 라이닝 공법의 배수공 재료인 경량기포모르타르의 공극구조와 배수성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rain Performance & Pore Structure of Cellular Mortar which Drain Material of the Composite Lining Method)

  • 최희섭;마상준;이흥수;서신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25-426
    • /
    • 2009
  • 본 연구는 새로운 터널 공법인 Composite 라이닝 공법의 터널 배수재로 적용될 최적경량기포모르타르 배합을 선정하고자, 기포율 변화에 따른 경량기포모르타르의 공극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MPa이상의 소요강도 확보와 더불어 투수성에 우수한 연속기포의 형성 및 분포가 가장 잘 이루어진 것으로 예상되는 FCR배합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통계적 방법에 의한 바텀애쉬를 사용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결정 (Decision of Optimized Mix Design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Using Bottom Ash by Statistical Procedure)

  • 김진만;곽은구;조성현;강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3-11
    • /
    • 2009
  • 석탄의 수요증가와 소비는 석탄의 이용과정에서 생성되는 고형페기물의 처리와 관련된 문제들을 증대시켰다. 석탄 부산물의 주요한 이용은 건설과 관련돼 적용되었다. 석탄부산물의 하나인 플라이애쉬는 폐기물 재활용 생산의 일부분으로 설명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적인 조사의 대다수는 많은 사용에서 플라이애쉬의 활용에 관하여 초점이 맞춰졌다. 반면에, 바텀애쉬의 재활용에 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러한 소홀함의 결과로서, 많은 양의 바텀애쉬가 처리장에 쌓여왔다. 따라서, 바텀애쉬의 적당한 이용을 위한 안전하고 경제적인 해결을 얻기 위한 필요성이 좀 더 긴급하게 되었다. 논문에 나타낸 연구는 오토클레이브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바텀애쉬의 성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실험실 측정 결과, 토버모라이트는 수열합성반응을 위한 재료로서 바텀애쉬가 사용되었을 때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분석에 따른 결과로서, 기포슬러리의 굳지 않은 상태에서 물비는 플로우와 슬러리의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포비는 슬러리의 밀도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굳은 상태에서에서 기포비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절건밀도와 압축강도에 영향을 끼쳤지만 휨강도와 인장강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반응표면분석의 결과에서, 목표성능을 얻기 위한, 바텀애쉬를 사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최적배합조건은 물비 70$\sim$80%, 기포비 90$\sim$100%로 나타났다.

폐스티로폼의 가공 형태에 따른 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up In the Manufacturing Waste Expanded Poly-Styrene)

  • 오세출;서치호;신상태;지석원;김봉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07-215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문제점 및 역학적 성질의 개선을 위하여 산업폐기물인 폐스티로폼의 가공형태를 달리하여 기포콘크리트를 제조하고 그 역학적 특성의 변화를 구명해 봄으로써 현장타설 기포콘크리트의 효과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현장 작업자에게 필요한 실험값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폐스티로폼은 지름이 3~5mm의 둥근형태를 유지한 것(Type A)과 1~2mm의 작게 파쇄한 것(Type B)을 사용하여 그 역학적 특성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연구결과 Type A의 경우 흡수율의 개선과 경량성 및 단열성 향상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ype B의 경우는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나 겉보기 비중이 증가하고 Type A에 비하여 플로우, 흡수율, 단열성에서 Type A보다 낮은 성능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로부터 폐스티로폼의 가공형태에 따른 것으로 폐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은 것보다는 적당량을 혼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장타설 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폐스티로폼을 사용하여 현장타설 기포콘크리트를 제조할 경우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이라는 측면과 함께 보다 우수한 성능의 기포콘크리트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비선형 응력-변형률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충전 원형강관 보의 모멘트-곡률 관계 (Moment-Curvature Relation of Concrete Filled Circular Steel Tubular Beam with Nonlinear Stress-Strain Properties)

  • 박우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95-20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순수 휨을 받는 중공 원형강관, 내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보통콘크리트를 충전한 원형강관 부재에 대하여 강재의 압축부에 대한 좌굴특성을 고려하고, 충전된 콘크리트의 삼축압축응력 발생에 따른 강도증가 현상을 고려하여 모멘트-곡률 관계를 계산하였다.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충전하더라도 해석적으로 간편하게 모멘트-곡률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보통콘크리트를 충전한 경우에는 해석값이 실험값에 근접한 결과를 추정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멘트-곡률 관계 해석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폐발포 폴리우레탄이 혼입된 경량 콘크리트의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Light-weight Concrete Using Wasted Form Polyurethane)

  • 박상효;이성규;이민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56-362
    • /
    • 2016
  • 경량 콘크리트는 기포제를 사용하여 건축자재의 경량화와 단열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포제의 사용은 콘크리트의 체적이 감소되고,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기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산업 부산물인 폐발포 폴리우레탄을 재활용하여 콘크리트의 경량화와 단열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시공성과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소량의 혼화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혼화재의 혼입률이 폐발포 폴리우레탄이 혼입된 경량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두 개 회사의 혼화재 중에서 폐발포 폴리우레탄이 고르게 분산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혼화재의 혼입률을 다르게하여 배합한 결과는 혼화재의 혼입이 많을수록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감소된 반면, 콘크리트의 함수율과 압축강도는 소폭 증가하였다. 또한, 난연성능과 차음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처리에 의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 자동계측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ALC Block Measurement Algorithm using Image Processing)

  • 허경무;엄주진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5호
    • /
    • pp.1-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개인용 컴퓨터와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처리에 의해 생산 공정에서 자동으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각종 치수 측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치수측정 자동화 알고리즘은 실제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이중에지를 고려한 경계결정방법, 작업공정내의 피사체의 진동을 고려한 단위길이 결정방법, 카메라의 곡률보정에 의한 치수오차 보정 방법 등을 적용함으로써, 고성능의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실제공정에서의 실험결과를 통해 모든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에 대해 1mm이내의 오차를 보장하므로, 설계한 시스템이 적합한 치수측정 시스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경량골재 크기 및 혼입량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Size and Replacing Ratio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 정성민;윤창연;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2-16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by using synthetic foaming agent and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The effects of artificial lightweight siz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density and pore structure of the concrete were investigated. The samples were assessed by MIP analysis and simultaneous SEM was used to study their pore distribution. This study showed the improvement of important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ower pore distribution and correspondingly higher compressive strength values were reached. This i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use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through improvement on the problem such as unstability, falling in fluidity and the strength of existed foaming ag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