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공간

Search Result 86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Alternative Proposal of the 3D Spatial Data Construction & Utilization for Cityscape Planning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3D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제안 -GIS DB 및 위성영상의 이용을 중심으로-)

  • Choi, Bong-Moon;Lim, Young-Taek;Han, In-Gu;Cho, B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5
    • /
    • 2006
  • 본 연구는 도시계획 및 설계에 범용되는 그래픽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 방법과 신규 도시개발이나 도시경관계획에서 3D 공간정보를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 활용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기 구축된 GIS DB(수치지형도, 건축물 대장 등)와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도시경관계획에 필요한 3D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그렇게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으로 도시경관 측면에서 계획 및 개발 시나리오에 대한 컴퓨터 3D시뮬레이션을 통한 좀더 사실적이고 직접적인 경관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특히 3D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에 있어서 공간적 위계에 따라 광역적 차원, 도시적 차원, 지구차원에서 경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연구를 통해서 도시경관계획 등 다양한 공간계획 및 개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한 효율적이고 간편한 3D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Coastal Wetland Vegetation Using Landscape Index (경관지수에 의한 연안습지 식생의 분포 분석)

  • Jeong, Jong-Chul;Cho, Hong-La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39-43
    • /
    • 2008
  • 경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상호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관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경관구조 및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노력은 1950년대 후반부터 기하학적 이론을 기초로 하여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원격탐사, GIS, 정보이론, 프랙탈 이론에 근거한 지표 등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습지 식생의 발달과 분포 특성을 공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Landsat 영상에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선정한 지표면 식생비율을 10개 클래스로 구분한 후 각 클래스에 대해 경관지수를 적용하여 식생비율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새만금방조제를 비롯한 많은 연안습지에 생성되는 습지식생의 공간적 분포를 변화탐지 하고 이들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해석하여 연안습지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기초 정보를 위성자료를 통해 추출 분석하였다.

  • PDF

Regionalization of the Lineage Group in Korea(II): Landscape Phase(16C~17C)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에 관한 연구(II): 경관생산단계 - 16~17세기 계보의식의 탄생과 사회관계망의 공간적 확장 -)

  • 전종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4
    • /
    • pp.575-590
    • /
    • 2003
  • It was the landscape phase that social relations were extended by production of landscapes during the 16C~17C. Core lineage groups in study area had extended socio-spatial nexus through making of the landscape of ‘authority-ostentation’(권력-과시형 경관) and of ‘kindness-civilization’(시혜ㆍ교화형 경관). Therefore they could gain a result that their power and authority took root in community perfectly. In the case of the Kims of Kwangsan(광산김씨), the first landscape of ‘kindness-civilization’ was Jungheodang(the learning room Jungheo), and next it was built Yangsungdang(the learning room Yangsung), and Imlijung(the pavilion Imli). Through this landscape production, the consciousness of scholastic genealogy was born, and this genealogy consciousness could be deepened and extended in regional scale. One more important feature in this phase is the point that the Kims of Kwangsan in Yeonsan area and the Songs of Unjin(은진송씨) in Hoiduk area could unite socially by the landscape production of ‘kindness-civilization type’ becoming intermediation. And these social union, that is to say, it do connote enlargement of the territoriality. It tells that community of ‘regional’ scale was formed by of core lineage groups of ‘local’ uniting each other.

부산남항 수변경관 현황분석 연구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07-309
    • /
    • 2022
  • 항만경관은 항만의 특징을 드러내는 매력적인 요소로서 항만재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고있다. 최근에는 항만재개발사업에 있어 항만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항만 고유의 특색을 살린 수변경관계획 수립을 통해 수변경관을 개선함으로서 사람들이 모이는 매력적인 항만으로 변모하고자 한다. 도심의 친수공간으로서 잠재력이 큰 부산남항은 다양한 수변공간계획 및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관련 기존 항만개발사업은 기능성과 경제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수변경관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남항의 경관을 개선하고 매력적인 항만으로 변모하기 위한 수변경관계획 수립을 하기 위해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부산남항을 7개 지구로 구분하고 각 지구의 수변경관(색채, 랜드마크, 야간경관)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구별 수변경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부산 북항재개발 항만시설물 경관계획

  • Lee, Han-Seok;Kim, Gyeong-In;Gang,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65-36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재개발지역 항만시설물을 대상으로 친수성과 경관향상을 위해 경관계획을 실시하였다. 경관수로를 중심으로 방파제, 호안, 등대 등 항만시설물을 대상으로 시민에게 열린 친수공간을 계획하고 주변 녹지 및 수역과 조화되는 경관계획을 실시하였다.

  • PDF

도면 중첩법을 활용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 - 디지털 게임 속 가상경관을 중심으로 -

  • Kim, Ik-Hwan;Hong, Seok-Ju;Lee, J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6-18
    • /
    • 2017
  •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가상경관은 보다 정교해지고 있으며, 설계 및 구현 과정에서 고려를 요구하는 요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태 가상경관 설계를 위한 정형화된 설계 방법론도 전무한 관계로, 디자이너들은 비효율적인 설계 과정을 거치며 동시에 질적으로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물을 구축하고 있다. Ian McHarg의 도면 중첩법은 레이어 단위로 설계 고려요소를 정리하여 설계를 진행하기에, 설계에 고려할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는 디자인의 진행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면 중첩법을 활용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가상경관의 공간적 특수성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는 분류 방법론을 문헌 조사를 통해 파악하여, 이들을 각각의 레이어로 조직하였다. 그리고 설계 영역으로서의 가상경관과 실공간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이들을 기반으로 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토콜 분석방법론과 공간 구성요소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구축한 설계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본 설계 방법론은 디자이너들의 작업 시간을 22% 이상 줄일 수 있었으며, 동시에 작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향후 본 설계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을 비롯한 가상경관 설계 및 구현의 영역에서 활발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가상경관을 조경 설계의 한 영역으로써 확장이 가능할 것임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n Visualization of Urban Landscape Information Using 3D-GIS Topological Relationship (3D-GIS 위상관계를 활용한 도시경관정보 가시화 방안 연구)

  • Jang, Mun-Hy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1
    • /
    • pp.35-52
    • /
    • 2007
  • Three-dimensional GIS, which provides spatial information through expression techniques of virtual reality close to the real world and the web, is one of the fields that attract a new attention. In particular, Open GIS Consortium(OGC) announced a topological relationship specification of spatial object which supports interoperability while interest in interoperability of spatial data is increasing. However, this specification is limited to two-dimensional spatial object. So this research established a topological relationship of three-dimensional spatial object in order to improve urban landscape and provide a foundation to use GIS.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ways to visualize landscape informa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new town's circumstanc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research has a bigger meaning since it established a base of sharing information about realistic urban landscape that can be accessed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 PDF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and Capital - Political Economic Interpretation of Urban Landscape - (담론과 자본으로서의 경관 - 도시 경관의 정치·경제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틀 -)

  • Park, Keun-Hyun;Pae, Jeong-Han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6
    • /
    • pp.117-128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discourses of the urban landscape discussed in the fields of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order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a contemporary urban landscape. The notion of landscape is a modern idea that separates humans, especially the bourgeois subject, from nature, and then achieves the visual possession of nature. New cultural geographers have studied the political aspects of landscape. According to them,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is "a way of seeing" which includes the vision of the upper class, the imperialistic view, and the masculine and voyeuristic gaze. In addition, spatial political economists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aspects of landscape. They have emphasized that the material production of landscape is indispensable in the production of surplus values in the capitalistic system. Thus, we insist focusing dialectically on both the materiality and ideology of landscape.

3D GIS의 기술 동향

  • Lee, J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5-185
    • /
    • 2010
  • 문명 발전에 의해 생활공간이 더욱더 복잡해짐에 따라 현실 세계의 3차원 공간으로서의 이해가 필요해졌고, 3차원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GIS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의 3차원 GIS는 1990년대에 들어서 3차원 가상도시의 등장으로 도시 모델의 3차원 가시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3차원 가상도시는 도시 관리 차원에서 도시공간의 표현, 분석,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도시정보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3D GIS 기술의 활용 사례로는 3차원 도시 경관 분석 및 도시 계획, 3차원 시뮬레이션, 3차원 위치기반 서비스, 도시 행정 관리 등이 있다. 3차원 도시 경관 분석 및 도시 계획 활용 분야에서는 3차원 GIS를 활용하여 새롭게 건설되는 건물들이나 토지 이용 변경에 따른 경관 분석을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 분석함으로써 경관 변화 예측 및 적합한 경관 설계에 대한 분석을 한다. 3차원 시뮬레이션의 경우 환경오염도 분석, 최적의 입지선정, 개발 전후의 경관 차이, 각종 재난에 따른 위험도 분석, 경관과 일조량 분석 등을 미리 가상도시에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불필요한 업무를 줄일 수 있고 발생할 수 있는 결과 값을 예상할 수 있다. 3차원 위치기반 서비스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측정함으로서 생소한 도시를 방문하거나 위치를 찾아갈 경우 최단 경로 및 최적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앞으로의 3차원 GIS 기술 동향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시공간분석(Temporal GIS)과 3차원 실내공간인지 기술 개발 등으로 볼수있다. 시공간분석은 시공간 질의를 통한 공간정보의 시간에 다른 변화 계산 또는 예측된 결과를 분석할 수 있고, 시공간 분석에 사용되는 공간적, 시간적 정보의 조합은 적어도 3차원 이상의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시공간분석은 GIS의 분석 범위를 넓혀 주며 실시간 GIS 응용시스템 개발을 위한 주요 과업이다. 3차원 실내공간정보 표현기법과 공간분석 및 공간인지 기법을 이용한 통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3차원 실내공간인지 기술 개발을 통해 최근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위치기반서비스내 u-서비스 즉, 인간 행태의 분석, 관리 및 응용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켜주고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U-City의 성공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개발이 수행되어야 할것이다. 첫째로, 공간인지 기술을 위한 3차원 실내공간표현 방법 개발, 둘째로, 3차원 실내공간정보를 이용한 공간분석 및 공간인지 기법 개발, 마지막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3차원 실내공간인지를 위한 미들웨어 개발을 통해서 공간정보의 활용을 macro-scale 공간에서 micro-scale로 확산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세미나를 통해서, 3차원 GIS의 활용의 보편화와 대중화를 위해서는 3차원 데이터 획득 및 처리 방법, 3차원 공간데이타베이스, 공간 분석 및 가시화에 대한 기술적 이슈들을 논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Landscape Estimating System for Us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경관평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Han, In-Goo;Shin, Hyoun-Ho;Choi, B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42-243
    • /
    • 2009
  • 최근 고층화되고 있는 도시공간에서 경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각종 도시개발이 이루어지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발후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지만 현재 상황을 잘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차원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경관시뮬레이션을 통해 객관적으로 경관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시스템에서는 녹시변화율과 조망차폐율 등과 같은 경관평가지표들의 결과 값을 자동으로 산정하고, 객관적 정량데이터에 의한 개발전 후를 비교하고 다양한 대안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